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관 및 대학생들이 대학생 인문역량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었다. 문항 개발 단계에 앞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들의 개념들과 중첩되지 않도록 대학생 인문역량과 그 하위요인들을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C대학교를 중심으로 학부 재학생 426명이 참여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 수정 과정을 통해 30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예비조사에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타당화를 위해 64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다음,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합치도를 통한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확정된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해 추가적으로 1,237명에게 대학생 역량평가를 실시한 뒤, 학생들의 대학생 핵심역량 평가 점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문역량 평가도구의 학생 전공별 점수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도구의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평가도구에서 정의된 총 3개 요인인 성찰역량, 심미역량, 리터러시역량의 구성 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 3개 요인으로 구성된 30개 문항에 대한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며 구성타당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신뢰도 계수는 .96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모든 부합도 지수들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학생들이 스스로 본인의 인문역량 수준을 스스로 측정해볼 수 있도록 개발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타당한 평가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타당화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인문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가 지니는 의의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진영・정기수,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교양교육연구』 제11권 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 미소장 |
2 | 김우영・이병승, 「인문학적 리터러시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중등교육연구』제61권 4호,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3. | 미소장 |
3 | 김은주・성명희, 「대학생들의 인성발달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적・글로벌・창의융합・봉사헌신・소통협업 역량을 중심으로」,『윤리교육연구』제40권,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 미소장 |
4 | 김희복・김희주, 「4차산업혁명 시대의 인문성과 인문역량 모색」,『인문사회과학연구』제20권 1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9. | 미소장 |
5 | 박영신・안현아・장미숙・양길석・김경이,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교육방법연구』제29권 4호,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 미소장 |
6 | 박영주, 「대학 교양교육과 인문학적 소양」,『동아인문학』제41권, 동아인문학회, 2017. | 미소장 |
7 | 백승균, 「인문학의 개념정립」,『철학연구』제73권, 대한철학회, 2000. | 미소장 |
8 |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교육과정연구』제27권 1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 미소장 |
9 | 소경희・강지영・한지희, 「교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모델의 가능성 탐색: 영국, 독일, 캐나다 교육과정 고찰을 중심으로」,『비교교육연구』제23권 3호,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 미소장 |
10 | 송미옥・김희영, 「간호대학생의 자기-성찰 및 통찰력 측정도구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본간호학회지』제25권 1호, 대한기본간호학회, 2018. | 미소장 |
11 | 송은주,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4차 산업혁명 담론과 교육의 방향–일본과 독일의사례를 중심으로-」,『인문콘텐츠』제52호, 인문콘텐츠학회, 2019. | 미소장 |
12 | 이경숙・이상욱・박민아, 「인문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 미소장 |
13 | 이장익・김주후,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직업교육연구』제31권 2호,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 미소장 |
14 | 정연재・주소영, 「인문학적 소양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15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 미소장 |
15 | 정윤경・정연재・정기섭, 「균형잡힌 교양교육을 위한 I 대학 교양역량 진단도구 개발및 타당화 연구」,『교양교육연구』제13권 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 미소장 |
16 | 진미석・손유미・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한국행정학연구』제29권 4호, 한국교육행정학회, 2011. | 미소장 |
17 | 최성환, 「서양 분과학문 속의 인문학의 전개과정: 1800년대의 상황」,『지식의 지평』제2권, 대우재단, 2007. | 미소장 |
18 | 한상우, 「인문학 기반 데이터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연구」,『정보관리학회지』제35권 4호,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 미소장 |
19 |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한국심리학회지 : 임상』제19권 1호, 한국심리학회, 2000. | 미소장 |
20 | 정대현, 박이문, 유종호, 김치수, 김주연, 정덕애, 이규성, 최성만,『표현 인문학: 인문학의 위기를 넘어서』, 서울: 생각의 나무, 2000. | 미소장 |
21 | Brown. M.. W. & Cudeck. R.,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Bollen and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993, pp.136-162. | 미소장 |
22 | McClelland, D. C.,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973, pp.1-14. | 미소장 |
23 | OECD, DeSeCo(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y)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2005. | 미소장 |
24 | Prahalad, C.K. & Hamel, G.,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1990, pp.79-91. | 미소장 |
25 | White, R. W.,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 1959, pp.297-333. | 미소장 |
26 | Wray, D., Literacy: Major themes in education(Vol. 4), London: Routledge Falmer, 2004. | 미소장 |
27 | 가톨릭대학교 내부보고서,『가톨릭대학교 인문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위원회 결과보고서: 인문역량 정의 및 방향 모색』, 2017. | 미소장 |
28 | 교육부.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CORE) 기본계획』,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