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이금이의 초기 동화 중 연작 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2002)와 그 소설의 토대가 되었던 두 편(‘최초의 재덕이 동화’)의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1991)와 「산타로 온 재덕이」(1996)를 비교한다. ‘재덕이 동화’는 장애 아동 재덕이를 등장인물로 한 장애 서사를 그리고 있다. 해당 작품들은 단편으로 발표되었던 것을 약 10년의 시간 격차를 두고 다시 묶어 연작 동화집의 형태로 재출간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이야기 간 문장 단위의 상세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편의 단편동화가 연작 동화집으로 재창작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내용적, 형식적 차이를 면밀히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금이의 또 다른 장애 서사,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2001)를 재덕이 동화와 함께 살펴보며, 이금이의 장애 서사에 내포된 의미와 한계를 추적하였다.
재덕이 동화 간의 차이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재창작되었다. 장애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장애인 처우의 현실, 작품의 배경이 된 농촌 현실, 2000년대 초 아동문학 장애 서사의 다수 등장, 그로 인한 작가의 시선 변화로 말미암은 몇 가지 유의미한 변화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재덕이 동화’와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두 작품은 ‘성장’을 그리는 방식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해당 구도는 장애아 재덕이와 비장애아 명구, 장애아 수아와 비장애아 영무, 솔숲산과 아스팔트길, 맑은 눈망울, 맑은 웃음 등의 화소와 인물들이 가진 상징성을 통해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금이는 장애 아동 서사 이외에도, 아동 성폭력 피해 문제, 결손가정 서사, 학교폭력 문제 등 우리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다뤄 아이들과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를 만든 작가이다. 사회의 문제를 다루어 그것에 직면하는 소재의 특성상 비판에 직면하기 쉽다. 본고에서 다룬 작품들은 모두 이금이의 초기 동화를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 제기된 문제와 한계에 대한 꾸준한 고민을 작가의 이후 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금이의 장애 아동 서사 비교를 통해 이금이가 현실의 문제들을 외면한 채 단순히 낭만적인 이야기만을 그리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금이,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푸른책들, 2019. | 미소장 |
2 | 이금이, 『내 친구 재덕이』, 푸른책들, 2019. | 미소장 |
3 | 이금이, 『동화창작교실』, 푸른책들, 2014. | 미소장 |
4 | 이금이, 『맨발의 아이들』, 현암사, 1996. | 미소장 |
5 | 이금이, 『영구랑 흑구랑』, 현암사, 1991. | 미소장 |
6 | 김천혜, 『소설구조의 이론』, 한굴학술정보[주], 2010. | 미소장 |
7 | 박옥순, 「장애인 동화에 나타난 장애인식과 폭력성-이금이, 황선미 장편동화를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한국문예창작학회, 2020. | 미소장 |
8 | 방귀희, 「장애인문학의 특성과 과제」, 『국제한인문학』 제21집, 2018, 5~40쪽. | 미소장 |
9 |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청동거울, 2013. | 미소장 |
10 | 원종찬, 「해방 이후 아동문학 서사 장르 용어에 대한 고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2009년 여름 학술대회 자료집. 『아동문학의 장르와 용어의 재검토(2)-해방이후』, 2009. | 미소장 |
11 | 이경희. 『이금이 가족동화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 미소장 |
12 | 조명아, 『이금이의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 나타난 향토적 토포필리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 미소장 |
13 | 차미경, 『고정욱의 장애인식개선동화에 드러난 장애인관의 분석』, 「대구대학교대학원」, 20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