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이금이의 초기 동화 중 연작 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2002)와 그 소설의 토대가 되었던 두 편(‘최초의 재덕이 동화’)의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1991)와 「산타로 온 재덕이」(1996)를 비교한다. ‘재덕이 동화’는 장애 아동 재덕이를 등장인물로 한 장애 서사를 그리고 있다. 해당 작품들은 단편으로 발표되었던 것을 약 10년의 시간 격차를 두고 다시 묶어 연작 동화집의 형태로 재출간되었다. 본고에서는 두 이야기 간 문장 단위의 상세한 비교 분석을 통해, 두 편의 단편동화가 연작 동화집으로 재창작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내용적, 형식적 차이를 면밀히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금이의 또 다른 장애 서사,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2001)를 재덕이 동화와 함께 살펴보며, 이금이의 장애 서사에 내포된 의미와 한계를 추적하였다.

재덕이 동화 간의 차이는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재창작되었다. 장애에 대한 사회의 인식과 장애인 처우의 현실, 작품의 배경이 된 농촌 현실, 2000년대 초 아동문학 장애 서사의 다수 등장, 그로 인한 작가의 시선 변화로 말미암은 몇 가지 유의미한 변화들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재덕이 동화’와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두 작품은 ‘성장’을 그리는 방식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해당 구도는 장애아 재덕이와 비장애아 명구, 장애아 수아와 비장애아 영무, 솔숲산과 아스팔트길, 맑은 눈망울, 맑은 웃음 등의 화소와 인물들이 가진 상징성을 통해서도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금이는 장애 아동 서사 이외에도, 아동 성폭력 피해 문제, 결손가정 서사, 학교폭력 문제 등 우리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를 다뤄 아이들과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를 만든 작가이다. 사회의 문제를 다루어 그것에 직면하는 소재의 특성상 비판에 직면하기 쉽다. 본고에서 다룬 작품들은 모두 이금이의 초기 동화를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 제기된 문제와 한계에 대한 꾸준한 고민을 작가의 이후 작품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금이의 장애 아동 서사 비교를 통해 이금이가 현실의 문제들을 외면한 채 단순히 낭만적인 이야기만을 그리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동성장서사에 나타난 '성장'의 의미 분석 : Analysis of the meaning of 'growth' in the children's growth narrative : focusing on 『Suil and Suil』 / 「수일이와 수일이」를 중심으로 김정은 p. 5-19

방정환 번역동화 「귀신을 먹은 사람」 저본 연구 : A study on Bang Jung-Hwan's translation work "The man who ate the ghost" : comparison with excavation source "The man who ate god" / 『赤い鳥』의 「神樣を食べた男」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종진 p. 21-47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동시문학 = The children's poetry literature of the post-corona era 방은수 p. 49-72

청소년소설 읽기와 청소년의 감정 격동 치유 = Reading youth novels and healing the emotional turbulence 선주원 p. 73-104

이금이 아동문학의 장애서사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disability narrative in children's literature by Lee, Geum-ee : about short stories "My Friend Jaeduk", short stories "Jaeduk the Santa Clause", serial collection "My Friend Jaeduk", nursery story "Just a Little Different from Me" / 단편동화 「내 친구 재덕이」, 「산타로 온 재덕이」, 연작동화집 『내 친구 재덕이』,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를 중심으로 장민주 p. 105-143

인간 가치 유형에 기반한 SF아동문학의 인물 분석 = Character analysis of SF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human value types 진솔 p. 145-175

일제 강점기 어린이문학 매체에 행해진 검열 실제와 문화 억압 양상 연구 = Censorship and cultural oppression patterns on children's literatur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최미선 p. 177-221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욕망과 동화의 가능성 = Three visions for children's fiction toward the post corona world 한명숙 p. 223-256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금이,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 푸른책들, 2019. 미소장
2 이금이, 『내 친구 재덕이』, 푸른책들, 2019. 미소장
3 이금이, 『동화창작교실』, 푸른책들, 2014. 미소장
4 이금이, 『맨발의 아이들』, 현암사, 1996. 미소장
5 이금이, 『영구랑 흑구랑』, 현암사, 1991. 미소장
6 김천혜, 『소설구조의 이론』, 한굴학술정보[주], 2010. 미소장
7 박옥순, 「장애인 동화에 나타난 장애인식과 폭력성-이금이, 황선미 장편동화를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한국문예창작학회, 2020. 미소장
8 방귀희, 「장애인문학의 특성과 과제」, 『국제한인문학』 제21집, 2018, 5~40쪽. 미소장
9 오세란, 『한국 청소년소설 연구』, 청동거울, 2013. 미소장
10 원종찬, 「해방 이후 아동문학 서사 장르 용어에 대한 고찰」,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2009년 여름 학술대회 자료집. 『아동문학의 장르와 용어의 재검토(2)-해방이후』, 2009. 미소장
11 이경희. 『이금이 가족동화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미소장
12 조명아, 『이금이의 아동‧청소년문학 작품에 나타난 향토적 토포필리아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미소장
13 차미경, 『고정욱의 장애인식개선동화에 드러난 장애인관의 분석』, 「대구대학교대학원」, 20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