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지능정보사회 위험인식과 정책적 함의 : 전문가와 일반인 비교를 중심으로 = Risk perception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policy implications : a comparison with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 권준이 ; 차용진 1

요약 1

I. 서론 1

II. 이론적 논의 : 심리측정 패러다임 2

2. 선행연구 5

III. 연구방법 6

1. 지능정보사회 위험 및 위험인식 측정 6

2. 자료 수집 및 방법 7

IV. 분석결과 8

1. 지능정보사회 위험 특성 8

2. 지능정보사회 위험요인 9

3. 지능정보사회 위험 공간분석 10

V. 결론 14

참고문헌 16

[요약] 19

[저자소개] 19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윤재. (2011). 원전사고와 민주적 위험 거버넌스의 필요성. 「경제와사회」, 91: 12-39. 미소장
2 강홍렬, 장종인, 이재열, 이재은, 정덕훈. (2006). 「일상의 안전을 위한 미래의 사회시스템: 지식정보사회의 위험관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소장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2018 한국인터넷백서」. 한국인터넷진흥원. 미소장
4 관계부처 합동. (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관계부처 합동. 미소장
5 국가정보화기본법. (개정 2018.10.16., 법률 제15369호). 미소장
6 김영평, 최병선, 소영진, 정익재. (1995).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한국행정학보」, 29(3): 935-954. 미소장
7 김정윤. (2016). 위험 문제해결에 대한 상황적 동기화와 미디어 활용 자본이 정보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방사능 유출 위험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8 박윤환. (2018). 4차 산업혁명 관련 소지역 고용 역량의 측정과 분석: 수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8(4):145-241. 미소장
9 박진희. (2016). 이머징 기술 위험과 참여적 리스크 거버넌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정책 216호. 미소장
10 백혜진. (2018). 뉴미디어 유형이 위험 특성, 위험 인식, 예방 행동 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건적 과정 모형의검증. 「한국언론학보」, 62(3): 215-245. 미소장
11 서보윤. (2006). 디지털사회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정보보호캠페인 전략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2 성욱준, 황성수. (2017). 지능정보시대의 전망과 정책대응방향 모색. 「정보화정책」, 24(2): 3-19. 미소장
13 송해룡, 김원제. (2009). 「전자파에 대한 위험인식 특성 및 그에 따른 리스크커뮤니케이션 정책 방안」. 한국전파진흥원. 미소장
14 송해룡, 김원제. (2014). 「한국사회 위험특성과 한국인의 위험인식 스펙트럼」.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미소장
15 오미영, 최진명, 김학수. (2008).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1): 467-500. 미소장
16 우종민, 염태경, 황진희, 오우용, 장동덕, 이효민. (2007). 기획특집: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성공적인 리스크커뮤니케이션. 「Safe Food」, 2(2): 11-18. 미소장
17 유명순. (2009). 건강 위험 인식 연구: 보건학 연구를 위한 함의. 「보건행정학회지」, 19(3): 45-70. 미소장
18 이영애, 이나경. (2005). 위험지각의 심리적 차원. 「인지과학」, 16(3): 199-211. 미소장
19 이영희. (2014). 재난 관리, 재난 거버넌스, 재난 시티즌십. 「경제와사회」, 104: 56-80. 미소장
20 이원태, 문정욱, 류현숙. (2017). 「지능정보사회의 공공정보화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정책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소장
21 이장규, 홍성욱. (2006). 「공학기술과 사회: 21세기 엔지니어를 위한 기술사회론 입문」. 서울: 지호. 미소장
22 이홍재, 차용진. (2018). 디지털 위험인식 비교 및 위험분석의 정책적 함의. 「현대사회와 행정」, 28(3): 149-171. 미소장
23 임형백.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부의 역할과 실패 비즈니스. 「한국정책연구」, 17(3): 1-22. 미소장
24 정국환, 유지연, 임종인. (2011). 「정보화 선진화를 위한 디지털위험 관리방안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소장
25 정보통신전략위원회. (2018).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년~2022년)」. 정보통신전략위원회. 미소장
26 정익재. (2014). 위험인식의 특성과 의미: 한국인의 기술위험 인지도에 대한 Psychometric 분석. 「한국안전학회지」, 29(1): 80-85. 미소장
27 정익재, 안서원. (2016). 위험지각 분석과 위험인지도 도출 – 진행자에 의한 인지모델기법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35(3): 481-503. 미소장
28 정준현, 김민호. (2017).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법조」, 66(3): 106-145. 미소장
29 좌보경, 윤문영, 백혜진. (2013). 미디어, 지각된 위험 특성, 위험 인식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발암물질 위험 이슈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7(4): 72-109. 미소장
30 주영기, 유명순 (2016). 「위험사회와 위험인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미소장
31 차용진. (2001). 환경위험인식 비교분석과 정책적 함의: 용인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5(1): 127-142. 미소장
32 차용진. (2006). 위험 수용성에 관한 연구: 위험인식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한국위기관리논집」, 2(1): 36-44. 미소장
33 차용진. (2007). 위험인식과 위험분석의 정책적 함의 – 수도권 일반주민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보」, 16(1): 97-116. 미소장
34 차용진. (2012). 원자력위험인식 변화추세 및 정책적 함의: 수도권 일반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2(1):1-20. 미소장
3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018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미소장
36 허성윤, 윤석원. (2013). 심리측정 패러다임을 이용한 소비자의 농식품 위험지각 연구. 「식품유통연구」, 30(2):97-116. 미소장
37 Kim, W. J., Song, H. R., & Kim, C. W (2016). Effects of Publics’ Technology Risk Characteristics and Trust on Risk Perception, Risk Acceptability – Focused on Nano Technology -. Crisisonomy, 12(1): 69-81. 미소장
38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Food Safety Risk Analysis Part1 An Overview and Framework Manual. Rome: FAO. 미소장
39 Fischhoff, B., Slovic, P., Lichtenstein, S., Read, S., & Combs, B. (1978).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Policy Sciences, 9(2):127-152. 미소장
40 Fischhoff, B., Watson, S. R., & Hope, C. (1984). Defining Risk. Policy Sciences, 17(2):123-139. 미소장
41 Goszczynska, M., Tyszka, T., & Slovic, P. (1991). Risk Perception in Poland: A Comparison with Three Other Countries.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4(3): 179-193. 미소장
42 Hermansson, H. (2012). Depending the Conception of “Objective Risk”. Risk Analysis, 32(1): 16-24. 미소장
43 Keown, C. F. (1989). Risk Perceptions of Hong Kongese vs. Americans. Risk Analysis, 9(3): 401-405. 미소장
44 Kraus, N. N., & Slovic, P. (1988). Taxonomic Analysis of Perceived Risk: Modelling Individual and Group Perceptions within Homogeneous Hazard Domains. Risk Analysis, 8(3): 435-455. 미소장
45 Renn, O. (2002). Risk Communication and the Challenge of Hormesis. BELLE Newsletter, 11(1): 1-35. 미소장
46 Siegrist, M., Keller, C., & Kiers, H. A. L. (2005). A New Look at the Psychometric Paradigm of Perception of Hazards. Risks Analysis, 25(1): 211-222. 미소장
47 Slovic, P. (1987). Perception of Risk. Science, 236: 280-285. 미소장
48 Slovic, P., Fischhoff, B., & Lichtenstein, S. (1980). Facts and Fears: Understanding Perceived Risk, In Schwing, R. C., & Albers, W. A (Eds). Societal Risk Assessment: How Safe is Safe Enough?. Plenum Press. 미소장
49 Slovic, P., Fischhoff, B., & Lichtenstein, S. (1984). Behavioral Decision Theory Perspectives on Risk and Safety. Acta Psychologica, 56(1-3): 183-203. 미소장
50 Slovic, P., Fischhoff, B., & Lichtenstein, S. (1986). The Psychometric Study of Risk Perception, In Covello, V., Menkes, J., & Mumpower, J (Eds.).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New York: Plenum Press. 미소장
51 Slovic, P., Fischhoff, B., Lichtenstein, S., & Roe F. J. C. (1981). Perceived Risk: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Implications [and Discussion].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A, Mathematical Physical Sciences, 376(1764): 17-34. 미소장
52 Trumbo, C. W. (2002). Information Processing and Risk Perception: An Adaptation of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Journal of Communication, 52(2): 367-382. 미소장
53 의안정보시스템 (no date.) (검색일자 2019.02.17.). 「국가정보화 기본법 전부개정법률안」. http://likms.assembly .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P1E8E0L2L1Y4M1N5B3S9S2V2W6U8K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