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8세기 '풍속'의 발견 : 유득공의 풍속 관련 기록의 내용과 그 성격 = The discovery of the 18th century 'custom' : contents and features of Yoo Deuk-gong's records on custom / 鄭煥局 1
目次 1
국문요약 1
I. 전통시대 '풍속'의 함의와 양가성 2
II. 유득공, 세시와 풍속을 기록하다 5
III. 18세기 후반 조선과 접경지의 풍속 9
1. 한양 풍속의 구도 10
2. 지방과 접경 지역, 해외의 풍속 습유 13
IV. 유득공의 풍속 기록의 성격과 시각 17
V. 남은 문제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시경』 | 미소장 |
2 | 『莊子』 | 미소장 |
3 | 成俔, 『慵齋叢話』 | 미소장 |
4 | 유득공, 『京都雜誌』 | 미소장 |
5 | 유득공, 『古芸堂筆記』 | 미소장 |
6 | 유득공, 『熱河紀行詩註』 | 미소장 |
7 | 유득공, 『泠齋集』 | 미소장 |
8 | 柳得恭, 『燕臺再游錄』 | 미소장 |
9 | 姜浚欽, 『三溟詩話』 | 미소장 |
10 | 李鈺, 『鳳城文餘』 | 미소장 |
11 | 李遇駿, 『夢遊野談』 | 미소장 |
12 |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 미소장 |
13 | 櫻井秀, 『日本風俗史槪說』, 岩波書店, 1931. | 미소장 |
14 | 張亮采 編, 『中國風俗史』, 臺灣商務印書館, 1977. | 미소장 |
15 | 에두아르트 푹스, 이기웅ㆍ박종만 옮김, 『풍속의 역사 Ⅳ-부르주아의 시대』, 까치, 1986. | 미소장 |
16 | 정승모 외, 『조선시대세시기』, 국립민속박물관, 2007. | 미소장 |
17 |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옮기고 엮음,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 휴머니스트, 2010. | 미소장 |
18 | 홍석모저․장유승 역해, 『동국세시기-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으로 조선의 풍속을 다시 보다』, 아카넷, 2016. | 미소장 |
19 |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학자원, 2020. | 미소장 |
20 | 김윤조 외 교점, 『교감표점 고운당필기』, 한국고전번역원, 2020. | 미소장 |
21 |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연보」, 『대동한문학』 27집, 대동한문학회, 2007. | 미소장 |
22 | 나경수, 「영재 유득공 『경도잡지』의 민속문화론적 가치」, 『대동한문학』 27집, 대동한문학회, 2007. | 미소장 |
23 | 김윤조, 「『경도잡지』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32집, 동양한문학회, 2011. | 미소장 |
24 |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세시풍속과 일상의 기술」, 『역사교육』 120집, 역사교육연구회, 2011. | 미소장 |
25 | 이철희, 「유득공의 연행과 동아시아 소통의 문학」, 『실학파문학연구』(이지양 외), 사람의무늬, 2012. | 미소장 |
26 | 박은정, 「조선후기 세시풍속, 그리고 일상-세시기,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58집,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