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성 중에서도 특히 태아를 품고 있는 임산부가 건강한 자기서사를 재건 및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태교 스토리텔링의 구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옛이야기 속 삶의 여러 동선을 통해 임산부의 마음 건강성을 확보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예방적 속성’과 ‘서사 교육’이라는 이중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인문학적인 방법론의 모색이며, 태교 연구의 활성화 및 제도적 정착을 위한 태교 스토리텔링 구축에 대한 시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임신-출산-양육’의 힘듦을 공감하고 옛이야기가 지닌 힘과 그 안에 함축된 다양한 요소에 주목한다. 옛이야기 속 다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의 힘’을 자연스럽게 태아에게 전달하여 형성시킨다면, 옛이야기에 대한 경험과 기억이 임산부와 태아에게 자연스럽게 체화(體化)되어 삶의 힘든 시기를 잘 넘기고 이겨내게 하는 자양분으로 작용할 것이라 여긴다.

태교 스토리텔링은 ‘문학 예방’과 ‘서사 교육’을 접목한 것으로 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교 스토리텔링은 임산부가 태아와 교감하고 소통하며 임산부와 태아를 위한 이야기를 제공할 수 있다. 옛이야기를 통해 임산부가 공감할 수 있는, 도움이 될 만한 서사를 마련하고 태교 스토리텔링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둘째, 태아의 뇌 발달과 신체 발달에 도움이 되는 옛이야기를 제공할 수 있다. 태아의 건강한 자기서사의 형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셋째, 임산부가 태아에게 실시하는 태교 스토리텔링은 임산부의 재사회화 및 건강한 양육이란 무엇인지를 배우는 학습의 장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임산부 자기서사의 재건 및 건강성을 확보하고 양육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임산부는 모성에 대해 이해하고, 그 속에서 실제 자녀 양육의 어려움과 문제 상황에 대한 대안을 마련한다. 그러한 경험을 통해 삶의 유연성과 적응력을 높여 건강한 삶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prenatal storytelling for the reconstruction and formation of a healthy self-descriptive narrative among women, especially pregnant women. This study is an essay on the creation of prenatal storytelling to revitalize prenatal research and establish an institutional settlement to examine the dual effects of “preventive attributes” and “epic education” that can secure and manage the health of pregnant women through various routes of life in old stories.

In this study, we sympathize with the difficulties of women's "pregnancy-birth-raising" and pay attention to the power of old stories and the various factors implied in them. If the "power of possibility" that can be diversified in the old story is naturally conveyed to the fetus, the experience and memory of the old story will naturally be embodied in pregnant women and the fetus, serving as a nourishment to overcome the difficult times of life.

Prenatal storytelling is a combination of “literature prevention” and “narrative education,” and the goal is as follows. First, it can communicate with and provide stories for pregnant women and their fetuses. Through the old story, one can prepare a helpful narrative that pregnant women can sympathize with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prenatal storytelling. Second, old stories help develop the brain and body of the fetus an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ir healthy self-description. Third, prenatal storytelling by pregnant women to their fetuses can also serve as a ground for learning what re-socialization and healthy parenting for pregnant women are. Through a story of rebuilding and securing health and self-descriptions, pregnant women can understand motherhood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to the difficulties and problematic situations of raising their children. It is argued that such experiences will lead to a healthy life by increasing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팬데믹이 강제한 디지털 교육 환경 속 고전문학교육 장면 분석 = Analyzing classical education in the post covid-19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 교육 공간/플랫폼의 확장을 중심으로 조희정 p. 5-40

외국 국어 교과서의 운율 교육내용 비교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prosody education through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French and German middle-school language textbooks / 프랑스와 독일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송지언 p. 41-84

해외 한국어문학 전공자 대상 창작 중심 시조 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the Sijo creation class for overseas Korean literature majors : the cas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at Istanbul University, Turkey / 터키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홍윤 p. 85-110

문학교육 방법으로서 대화의 성격과 구조 : Nature and structure of dialogue as a method of literary education : Sijo education using a cyclical dialogue class model / 순환적 대화 수업 모형을 통한 시조교육 서명희 p. 111-142

우화소설의 지식 담론 활용과 그 후대적 변용 = Utilization of knowledge discourse in fable novels and its later transformation 정충권 p. 143-176

옛이야기를 활용한 문학예방치료로서 태교 스토리텔링 시론 : Prenatal storytelling essays as literature prevention therapy using old stories : focusing on the <Kongjui and Patjui> / <콩쥐팥쥐>를 중심으로 박시언 p. 177-211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구비문학대계』 1-9, 원삼면 설화7, <콩쥐 팥쥐> 미소장
2 『한국구비문학대계』 8-8, 삼랑진읍 설화22, <콩쥐 팥쥐> 미소장
3 『한국구비문학대계』 5-2, 고산면 설화20, <콩조지 팥조지> 미소장
4 곽은주, 「음악치료 산전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8-2, 한국음악치료학회, 2006. 미소장
5 권순긍, 「<콩쥐팥쥐> 서사의 문학치료학」, 『문학치료연구』 30,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미소장
6 김도일, 「태교가 어떻게 태아의 도덕적 자질을 바꿀 수 있는가-『태교신기(胎敎新記)』를 중심으로」, 『중국학보』 89, 한국중국학회, 2019. 미소장
7 김병희, 「전통태교의 현대 교육적 함의-『태교신기(胎敎新記)』를 중심으로」, 『교육철학』 41, 학국교육철학회, 2010. 미소장
8 김수연, 「‘형제급난’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한국사회의 ‘형제서사’진단과 치유적 전개방향-」, 『문학치료연구』 54,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미소장
9 김수연, 「문학치료 기초서사로서 형제서사 설정문제-인간관계 발달과정에따른 관계적 사건과 심리적 자리를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47,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미소장
10 김수연,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장화홍련전>」, 『고소설연구』 40, 한국고소설학회, 2015. 미소장
11 김수연,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문학치료연구』 3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미소장
12 김수정·서지민,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4-3,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8. 미소장
13 김정은, 『옛이야기와 자기발견의 스토리텔링』, GRAVITY BOOKS, 2020. 미소장
14 김혜미, 「<환생한 송아지 신랑> 설화를 통해 본 죽음과 환생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고찰 -소설과 구별되는 설화 속 아동·청소년 성장과정을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47,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미소장
15 노경선,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위즈덤하우스, 2018. 미소장
16 류영아, 「태교음식에 대한 인식 및 실천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17 박민주·김은영, 「모성 수행기 여성의 우울에 대한 연구 : 자기 분화를 중심으로」, 『상담 및 심리치료』 31-1,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미소장
18 박인영, 「태교에 대한 대상관계이론 적용 연구-위니캇의 부모-유아 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미소장
19 박재인, 「설화 <콩쥐팥쥐>에서 나타난 경쟁 문제와 승리의 서사로서의 가치」, 『인문과학』 61, 인문과학연구소., 2016. 미소장
20 박혜연, 「임산부의 행복감이 태교 실천에 미치는 영향」, 한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21 브루노 베텔하임 지음, 김옥순, 주옥 옮김, 『옛이야기의 매력1』, 시공주니어, 1998. 미소장
22 서성은, 「매체 전환 스토리텔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23 서해정·송주은·이영진·안정아,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및 배우자와 가족의지지가 모성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1,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20. 미소장
24 손석춘, 「문학치료의 ‘사회서사’ 시론」, 『문학치료연구』 41,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미소장
25 송정란, 『스토리텔링의 이해와 실제』, 문학아카데미, 2006. 미소장
26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 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문학치료연구』4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미소장
27 신동흔, 「콩쥐팥쥐 – 품안의 자식과 내놓은 자식의 엇갈린 운명」, 『한국고전문학 작품론』, Humanist, 2018. 미소장
28 신동흔, 『스토리텔링 원론-옛이야기로 보는 진짜 스토리의 코드』, 아카넷, 2018. 미소장
29 심향분·오연주, 「그림책에 담긴 태교 내용에 관한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지』 6-3, 인지발달중재학회, 2015. 미소장
30 우진옥, 「고전서사 속 ‘나쁜 엄마’의 유형과 자녀의 대응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미소장
31 이사주당 지음, 최희석 편저, 『태교신기』, 이담북스., 2010. 미소장
32 이선형,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한국여성들의 모성인식에 대한 세대비교연구」, 『페미니즘연구』 11-1, 한국여성연구소, 2011. 미소장
33 이영숙, 「성품태교의 인식과 실천 방향에 대한 연구-태교로 시작되는 인생의 의미」, 용인시 태교도시조성 학술세미나, (사)한국성품협회, 2014. 미소장
34 이영숙, 『12성품론』, 시프마프레스, 2016. 미소장
35 이창용·권정민·박범수, 『이야기의 힘!』, 황금물고기, 2011. 미소장
36 장은지, 『인터랙티브 광고 유형이 체험요소에 따라 수용자 태도에 미치는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미소장
37 정미영·황경혜·조옥희,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 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3),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4. 미소장
38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미소장
39 정운채, 「부모 되기에 대한 고전문학의 시각」, 『통일인문학』 43, 건국대학교통일인문학연구단, 2005. 미소장
40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 영역과 <구운몽> 분석 시론」, 『문학치료연구』 3,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미소장
41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미소장
42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문학치료연구』 25,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미소장
43 조은상, 「콩쥐팥쥐」에 대한 반응을 통해 본 부모가르기서사와 우울성향 자기서사」, 『문학치료연구』 13,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미소장
44 조진형, 「태교음악이 태아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고전음악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45 조현설, 『신화의 언어』, 한겨레출판, 2020. 미소장
46 토머스 버니, 김수용 옮김, 『태아는 알고 있다』, 샘터, 2001. 미소장
47 홍은주·이재연, 「미술치료기법을 적용한 태교프로그램이 임산부의 불안, 산후, 우울 및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인간발달연구』 13-1,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미소장
48 네이버 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3268019bface406c8d40a043bbc2e7fb 미소장
49 네이버 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cb379420b2584becb6a3b0e4ed76716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