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서사문학의 발화동사 ‘왈’의 역동적 변화에 주목해, 소설 향유층이 공유한 ‘말하기’를 둘러싼 사유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 실제를 해명했다. 연구 대상으로 고려시대부터 19세기 초까지 총 4,550개의 발화표지(‘없음’ 포함)에 대해 ‘말하기’를 둘러싼 ‘어휘군’, ‘어휘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통계적ㆍ수사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한글 소설의 문화문해적 역량 강화 및 언어 차원의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하고, 발화동사에 결부된 감정 수사의 확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말하기’란 소리-전달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적 의사소통’임을 해명했다. 결론에서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이러한 의사소통에 대한 축적된 이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남원고사>, 이윤석, 남원고사 원전 비평, 보고사, 2009. | 미소장 |
2 | 일연, 삼국유사 상ᆞ하, 이재호 옮김, 솔, 2007, 상, 하. | 미소장 |
3 | <사씨남정기>, 조동일 편, 조동일소장 국문학 연구자료 8권, 박이정, 1999. | 미소장 |
4 | 수이전, 이대형 편역,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5 | <숙향전>,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 한국고대소설총서 1권, 통문관, 단기 4291. | 미소장 |
6 | <운영전>ᆞ<최척전>,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 소설, 월인, 1999. | 미소장 |
7 | 유씨삼대록, 한길연ᆞ정언학ᆞ김지영 옮김, 소명출판사, 2010. | 미소장 |
8 | 이해조, <고목화>, 제국신문, 1907. | 미소장 |
9 | 이해조, <빈상설>, 제국신문, 1907. | 미소장 |
10 | 이해조, 「우마공(牛馬功爭)」, 제국신문, 1908.8.8. | 미소장 |
11 | 이해조, <원앙도>, 제국신문, 1908. | 미소장 |
12 | 이해조, <홍도화>, 제국신문, 1908. | 미소장 |
13 | 이해조, <만월대>, 제국신문, 1908. | 미소장 |
14 | 권재일, 「한국어 발화동사 구문 기술」, 한말연구 7, 한말연구학회, 2000. | 미소장 |
15 | 김흥수, 「소설에서 대화 인용의 방식과 양상」, 어문학논총 19,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000. | 미소장 |
16 | 김흥수, 「소설의 대화 인용에서 인용 동사 표현의 양상: 발화 동사 ‘말하다’의 쓰임을 중심으로」, 어문학논총 21,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002. | 미소장 |
17 | 문금현, 「‘인간’ 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85,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 미소장 |
18 | 문금현,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 미소장 |
19 | 백두현, 한글문헌학, 2015, 태학사. | 미소장 |
20 | 설성경, 「춘향전 문체의 변이양상 연구」, 동방학지 7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2. | 미소장 |
21 | 이광호, 「의미소 <必>의 어휘장 변화」, 어문학 105, 한국어문학회, 2009. | 미소장 |
22 | 이설연, 「한국어 발화동사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23 | 이종덕, 「17세기 왕실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24 | 정태균, 「15세기 국어의 수행 발화 구문 유형 연구: 『釋譜詳節』을 중심으로」,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25 | 조경순, 「국어 발화동사 구문 연구」, 한국어의미학 30, 한국어의미학회, 2009. | 미소장 |
26 | 조경순, 「발화동사 구문에 대한 연구: 보고, 명령, 청구, 비하, 질책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41, 한국어의미학회, 2013. | 미소장 |
27 | 조경순, 「상호작용성 발화동사 구문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66, 한국어학회, 2015. | 미소장 |
28 | 윤혜영, 「17세기 국어의 인용구조 연구」, 단국대 박사학위논문, 2008. | 미소장 |
29 | 최기숙, 「언어의 육체성, 공감과 경험의 수사학: <남원고사>의 문체 미학」,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 미소장 |
30 | 최기숙, 「언문소설의 문화적 위치와 문자적 근대의 역설: 근대초기 ‘춘향전’의 매체 변이와 표기문자ᆞ독자층의 상호관련성」, 민족문화연구 6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미소장 |
31 | 최기숙, 「고소설의 감성 문법과 감정기호: <소현성록>의 감정 수사를 중심으로」, 고소설연구39, 한국고소설학회,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