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서사문학의 발화동사 ‘왈’의 역동적 변화에 주목해, 소설 향유층이 공유한 ‘말하기’를 둘러싼 사유와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 실제를 해명했다. 연구 대상으로 고려시대부터 19세기 초까지 총 4,550개의 발화표지(‘없음’ 포함)에 대해 ‘말하기’를 둘러싼 ‘어휘군’, ‘어휘장’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통계적ㆍ수사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변화를 한글 소설의 문화문해적 역량 강화 및 언어 차원의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하고, 발화동사에 결부된 감정 수사의 확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말하기’란 소리-전달의 문제가 아니라 ‘전신적 의사소통’임을 해명했다. 결론에서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이러한 의사소통에 대한 축적된 이해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안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시오 광독사건(足尾鉱毒事件) 속 빈곤문제 = The poverty in Ashio Kōdoku incident(足尾鉱毒事件) 김보람 p. 1-34

타이완의 '백색 테러' 시기와 이행기 정의 : The era of white terrorism and transitional justice in Taiwan : focusing on the green island new life correction center / 뤼다오 신생훈도처를 중심으로 현무암 p. 85-118

말한다는 것, 이른 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 : The meaning of speaking,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communication among the audience/readers of Korean classical novels surrounding "wal (曰/왈)" :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group/lexical field' surrounding the utterances verb of Korean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 한국서사문학사의 발화동사를 둘러싼 '어휘군/어휘장' 분석을 경유하여 최기숙 p. 169-207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Widangmungo(爲堂文庫) kept in Yonsei University. 1, focusing on 『Yeoyudangjip(與猶堂集)』 and 『Damheonseo(湛軒書)』 / 1, 『여유당집(與猶堂集)』과 『담헌서(湛軒書)』를 중심으로 임미정 p. 209-235

일제 초 개성사(開城社)의 설립과 경영 :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Gaeseong-Sa company : an Analysis of the Journal(1913) and the Liability Ledger(1913~1914) / 『일기』(1913)와 『타급장책』(1913~14)의 분석을 중심으로 홍성찬 p. 237-281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남원고사>, 이윤석, 남원고사 원전 비평, 보고사, 2009. 미소장
2 일연, 삼국유사 상ᆞ하, 이재호 옮김, 솔, 2007, 상, 하. 미소장
3 <사씨남정기>, 조동일 편, 조동일소장 국문학 연구자료 8권, 박이정, 1999. 미소장
4 수이전, 이대형 편역, 소명출판, 2013. 미소장
5 <숙향전>,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 한국고대소설총서 1권, 통문관, 단기 4291. 미소장
6 <운영전>ᆞ<최척전>,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 소설, 월인, 1999. 미소장
7 유씨삼대록, 한길연ᆞ정언학ᆞ김지영 옮김, 소명출판사, 2010. 미소장
8 이해조, <고목화>, 제국신문, 1907. 미소장
9 이해조, <빈상설>, 제국신문, 1907. 미소장
10 이해조, 「우마공(牛馬功爭)」, 제국신문, 1908.8.8. 미소장
11 이해조, <원앙도>, 제국신문, 1908. 미소장
12 이해조, <홍도화>, 제국신문, 1908. 미소장
13 이해조, <만월대>, 제국신문, 1908. 미소장
14 권재일, 「한국어 발화동사 구문 기술」, 한말연구 7, 한말연구학회, 2000. 미소장
15 김흥수, 「소설에서 대화 인용의 방식과 양상」, 어문학논총 19,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000. 미소장
16 김흥수, 「소설의 대화 인용에서 인용 동사 표현의 양상: 발화 동사 ‘말하다’의 쓰임을 중심으로」, 어문학논총 21,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2002. 미소장
17 문금현, 「‘인간’ 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에 대하여」, 새국어교육 85,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미소장
18 문금현,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미소장
19 백두현, 한글문헌학, 2015, 태학사. 미소장
20 설성경, 「춘향전 문체의 변이양상 연구」, 동방학지 7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2. 미소장
21 이광호, 「의미소 <必>의 어휘장 변화」, 어문학 105, 한국어문학회, 2009. 미소장
22 이설연, 「한국어 발화동사 연구」,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23 이종덕, 「17세기 왕실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24 정태균, 「15세기 국어의 수행 발화 구문 유형 연구: 『釋譜詳節』을 중심으로」, 단국대 석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25 조경순, 「국어 발화동사 구문 연구」, 한국어의미학 30, 한국어의미학회, 2009. 미소장
26 조경순, 「발화동사 구문에 대한 연구: 보고, 명령, 청구, 비하, 질책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 41, 한국어의미학회, 2013. 미소장
27 조경순, 「상호작용성 발화동사 구문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66, 한국어학회, 2015. 미소장
28 윤혜영, 「17세기 국어의 인용구조 연구」, 단국대 박사학위논문, 2008. 미소장
29 최기숙, 「언어의 육체성, 공감과 경험의 수사학: <남원고사>의 문체 미학」, 고소설연구 16, 한국고소설학회, 2003. 미소장
30 최기숙, 「언문소설의 문화적 위치와 문자적 근대의 역설: 근대초기 ‘춘향전’의 매체 변이와 표기문자ᆞ독자층의 상호관련성」, 민족문화연구 6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미소장
31 최기숙, 「고소설의 감성 문법과 감정기호: <소현성록>의 감정 수사를 중심으로」, 고소설연구39, 한국고소설학회, 201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