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미연소가스를 고려한 화재실 상부층 온도 예측에 관한 연구 = Fire compartment upper-layer temperature prediction considering excess fuel gas / 강승구 ; 이길용 ; 정정호 ; 신이철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1

2. 실험개요 2

2.1. 실험장치 2

2.2. 측정항목 3

2.3. 실험조건 및 방법 3

3. 실험결과 및 고찰 3

3.1. 화원의 열방출율 3

3.2. 화재실온도 4

4. 미연소가스의 발생량을 고려한 화재실 상부층 온도예측 모델 5

4.1. McCaffrey식을 이용한 화재실 상부층의 온도 5

4.2. 미연소가스를 고려한 McCaffrey식의 검토 6

4.3. 미연소가스를 고려한 McCaffrey의 화재실 상부층의 온도예측식 검증 6

5. 결론 7

References 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특성 실험연구 = Experimental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y using cone calorimeter 박수경, 김신우, 이의주 p. 1-6

보기
미연소가스를 고려한 화재실 상부층 온도 예측에 관한 연구 = Fire compartment upper-layer temperature prediction considering excess fuel gas 강승구, 이길용, 정정호, 신이철 p. 7-13

보기
화재시뮬레이션에서 사용자 의존도가 가시도의 예측결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user dependence on the prediction results of visibility in fire simulations 한호식, 문선여, 황철홍 p. 14-22

보기
수평 자연 개구부 면적 및 열방출률이 소규모 구획실 내 온도 분포 및 개구부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Numerical simulation on effects of horizontal natural opening area and heat release rate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vent flow in small compartment 박민영, 양지현, 이치영 p. 23-33

보기
설계화재와 거실제연설비 성능에 관한 연구 = Relationship between designed fire and performance of smoke-control system in a living room 정석환, 오원신 p. 34-41

보기
코일 형상에 따른 전자담배의 열 축적 위험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rmal accumulation risk of e-cigarettes according to heating coil shape 김진선, 김성우, 권성필 p. 42-47

보기
CFD 해석을 통한 급류지역 수로관 위험성 분석 = Risk analysis of waterway pipes in rapid flow areas using CFD simulations 최아영, 최신웅, 우창규, 한동훈 p. 48-52

보기
CONTAMW을 이용한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Performance improvement of smoke-control system using CONTAMW 김부곤, 최기옥, 최돈묵 p. 53-58

보기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임시 점화원 화재 리스크 평가 = Fire risk assessment of transient ignition sources in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유정현 p. 59-67

보기
소방공무원 체력관리가 현장대응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fitness management for fire fighting officials on site response ability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exercise immersion, exercise continuation, and teamwork improvement / 참여동기,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과 팀워크 향상관계를 중심으로 권혁, 김동영, 김희동, 백인환 p. 68-81

보기
광역자치단체의 의용소방대 운용과 소방행정의 효율성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fire brigade management and the efficiency of the fire administrations of metropolitan governments 이원주, 문광민 p. 82-98

보기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기능성 콘텐츠 적합성 평가 = Suitability assessment of the functional content platform for stress reduction in firefighters 박태희, 권진석, 김수영, 장민혁, 김치중, 이지향 p. 99-104

보기
119구급대원의 업무범위 확대에 대한 법학적 검토 = Legal review of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work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personnel 임재만 p. 105-110

보기
화재대응 실패요인 분석을 통한 현장지휘관 훈련용 콘텐츠 시나리오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raining scenario content for on-site commanders through analysis of response failure factors 천우영, 이지희, 김형준 p. 111-117

보기
화재현장의 소방대원 시야 확보를 위한 영상처리 기술 효과성 검토 = Examin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an image processing technology for the visibility enhancement of firefighters in fire 신영민, 김동환, 김황진, 강동구, 배영민 p. 118-126

보기
성능위주설계시 화재경보방식에 따른 피난평가의 방향연구 = A study of the direction of evacuation evaluation according to the fire alarm method in performance-based design 허준호, 정기신 p. 127-133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Japan Association fo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Fire and Building”, Kyoritsu shuppan co., Ltd., pp. 66-67 (2002). 미소장
2 Y. Ohmiya, T. Tanaka and T. Wakamatsu, “Burning Rate of Fuels and Generation Limit of the External Flames in Compartment Fire”, Fire Science and Technology, Vol. 16, No. 1, pp. 1-12 (1996). https://doi.org/10.3130/aijs.60.149_1. 미소장
3 T. Tanaka, “Introduction to Building Fire Safety Engineering Revised Edition”, The Building Center of Japan, p. 227 (2002). 미소장
4 K. Matsuyama, T. Tujita, H. Kaneko, Y. Ohmiya, T. Tanaka and T. Wakamatsu, “A Simple Predictive Method For Room Fire Behavior”,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Vol. 18, pp. 23-32 (1998). https://doi.org/10.3210/fst.18.23. 미소장
5 M. Sato, T. Tanaka and T. Wakamatsu, “Simple Formulas for Predicting Fire Temperatures in the Room of Origin and the Connected Corridor”,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No. 489, pp. 137-145 (1996). 미소장
6 T. Tanaka, M. Sato and T. Wakamatsu, “Simple Formula for Ventilation Controlloed Fire Temperatures”, Fire Science and Technology, Vol. 17, No. 1, pp. 15-27 (1997). https://doi.org/10.3210/fst.17.15. 미소장
7 Y. C. Shin, G. W. Park and Y. H. Yoo, “A Study on Mechanism of Fire Spread between Roo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5, pp. 109-116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5.109. 미소장
8 G. H. Ko, “Numerical Study on the Validity of Scaling Law for Compartment Fir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4, pp. 29-34 (2014). https://doi.org/10.7731/KIFSE. 2014.28.4.029. 미소장
9 Y. Ohmiya and Y. Hori, “Proterties of External Flame Taking into Consideration Excess Fuel gas Ejected from Fire Compartment”,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Vol. 66, No. 545, pp.1-8 (2001). https://doi.org/10.3130/aija.66.1_7. 미소장
10 K. Harada, “Building Fire mechanism and fire safety design”, The Building Center of Japan, pp. 76-78 (2007). 미소장
11 B. J. McCaffrey, J. G. Quintiere and M. F. Harkleroad, “Estimating Room Temperatures and Likelihood of Flashover Using Fire Test Data Correlations”, Fire Technology, Vol. 17, No. 2, pp. 98-119 (1981). https://doi.org/10.1007/BF02479583. 미소장
12 J. Yamaguchi and T. Tanaka, “Temperature Profiles of Window Jet Plume”, Fire Science of Technology, Vol. 24, No. 1, pp. 17-38 (2005). https://doi.org/10.3210/fst.24.17. 미소장
13 Y. Ohmiya, Y. C. Shin, M. Noaki and S. G. Kang,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vicinity of vertical wall on opening fire plume ejected from horizontal opening”, J. Archit. Plann. Environ. Eng., AIJ, Vol. 81, No. 730, pp. 1055-1063 (2016). https://doi.org/10.3130/aije.81.105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