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동시문학 담론에서 청소년시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독자의 청소년시 감상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시는 동시문학의 근간이 되는 동심을 현재를 살아가는 아동 내면의 주체적인 목소리로 해석하고자 하는 문학적 시도에서 성립하였다. 청소년시는 불온한 정서를 형상화하여 동시문학의 외연을 넓힌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 양상은 불온한 정서를 긍정하거나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에 공감과 반감을 보였으며 ‘나’와 ‘우리’에 대한 질문을 만들어 소통하고자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시에 대한 학습독자의 반응을 토대로 교육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청소년시 제재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학습독자에게 청소년시 텍스트를 자율적으로 찾아 읽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습독자가 청소년 화자에게 공감과 반감을 느끼는 지점을 의미 구성 과정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셋째, 학습독자 간에 청소년 이미지를 소통하며 공동(共動)-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dolescent poetry embodies disturbing emotions and plays a role in expanding the scope of poetry for children. Learning readers' responses to adolescent poetry showed both sympathy and antipathy to adolescent speakers' voices, and they wanted to communicate by making questions about “I” and “We.”
Approach of adolescent poetry education method may be presented as follows: First, various adolescent poetry should be introduced a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iven autonomy in selecting poetry. Second, Learning readers should be able to continuously utilize points where they feel empathy and antipathy toward adolescent speakers. Third, learning readers should be guided to foster co-subjectivity by communicating adolescent images embodied in adolescent poetry.*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