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90년대 이후 스웨덴 노인돌봄서비스의 시장화가 추진되어왔고, 시장화는 복지행정의 분권화에 의해 촉진되었다. 노인돌봄서비스의 시장화는 주요 정당들과 이해당사자 단체들 사이의 폭넓은 합의에 의해 추진되었고, 따라서 큰 정치적 갈등 없이 순탄하게 진행되었다. 그런데 선진 자본주의국들에서 복지국가의 시장주의적 개혁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들은 시장주의적 개혁을 둘러싸고 심각한 정치적 대립이 발생하리라는 것을 전제로 한 것들이어서 1990년대 이후 스웨덴의 노인돌봄서비스의개혁과정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합의에 의한 시장주의적 개혁을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 구성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하고 이에 입각하여 스웨덴 노인돌봄서비스의 개혁과정을 설명했다. 스웨덴에서 합의에 입각하여 노인돌봄서비스의 시장화가 추진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장기 집권 정당 사민당의 정치적 시지평이 길어 단기적으로 정치적 불이익이 될 수 있는 개혁정책을 기꺼이 추진할 수 있었다는 점, 노인돌봄서비스 개혁이 논의된 정책 논의 플랫폼인 국가연구위원회가 정치세력간의 합의를 촉진하는 제도 틀이었다는 점, 1970년대의 장기불황과 1980년대 말의 심각한 인플레이션이 사민당에게 새로운 정책노선을 모색하도록 강하게 압박했다는 점, 1990년대 초가 되면 노인돌봄서비스의 시장화에 반대하는 정치세력이 소멸하여 강력한 ‘복지다원주의 연합’이 형성되었다는 점, 노인돌봄서비스의 공급주체인 콤뮨들이 1990년대에 재정조건이 매우 악화되어 비용절감을 위한 개혁에 나서야 했다는 점.
The Swedish elderly care services have been marketized since 1990s, and the marketization has been facilitated by the decentralization of welfare administration. The Marketization of elderly care services has been pursued, based on broad consensus among main political parties and interest groups, without severe political conflicts. The representative theories explaining the market-oriented reforms of the welfare state in advanced capitalist economies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market-oriented reforms would cause severe political confrontations. So they are inadequate for explaining the reform processes of the Swedish elderly care services. This paper suggests the elements to be included in the analytical framework which can explain the market-oriented reforms based on consensus. Based on the framework, this paper points out the main factors which made possible the market-oriented reforms based on consensus: the long time horizon of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with very long period of reign, which made it possible to pursue reform policies which may cause political cost in the short run; that the government investigation committees as policy discussion platform functioned as institution facilitating consensus building among main political actors; that the Swedish Social Democratic Party was pressed hard to seek new policy alternatives by the depression in 1970s and high inflation in late 1980s; that strong welfare pluralism coalition was built in early 1990s as the political forces opposing the marketization of elderly care disappeared; that the municipalities providing elderly care services had to pursue reforms for cost saving, faced with very bad financial condition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창현(2008). “스웨덴 노인복지 분권화 연구: Ädel 개혁의 함의”.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5(2), 241-264. | 미소장 |
2 | 김현숙(2010). “1992년 Ädel 개혁 이후 스웨덴 노인보호서비스제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 『EU 연구』, 27, 181-212. | 미소장 |
3 | 박승희(2012). 『한국 사회보장론: 스웨덴을 거울삼아』.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4 | 신정완(2009). “스웨덴의 ‘제3의 길’ 정책의 실패 원인: ‘정책 부조화’ 문제를 중심으로”. 『사회경제평론』, 32, 67-99. | 미소장 |
5 | 신정완 (2018). “1930-40년대 인구문제 관련 스웨덴 국가연구위원회들에서의인구정책과 가족정책 논의”. 『사회보장연구』, 34(2), 95-124. | 미소장 |
6 | 조남경(2014). “스웨덴 노인 재가돌봄서비스의 발전과 변화”. 『사회서비스연구』, 5(1), 81-124. | 미소장 |
7 | 최연혁(2009). “사회갈등구조의 진단과 제도적 접근: 스웨덴의 SOU 모델을중심으로 본 한국의 대안모색”. 『스칸디나비아 연구』, 10, 63-95. | 미소장 |
8 | 최태욱(2014).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시장의 우위에 서는 정치를 위하여』.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9 | Ahlqvist, B., & Enqvist, L. (1984). Samtal med Feldt (펠트와의 대화). Stockholm: Tidens förlag. | 미소장 |
10 | Andersson, G., & Karlberg, I. (2000). Integrated care for the elderly: The background and effects of the reform of Swedish care of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1. | 미소장 |
11 | Andersson, J. (2006). Between growth and security: Swedish social democracy from a strong society to a third way. Manchester and New York:Manchester University Press. (Translated from Swedish by Mireille L. Key). | 미소장 |
12 | Bergh, A., & Erlingsson, G. Ó. (2009). Liberalization without Retrenchment: Understanding the Consensus on Swedish Welfare State Reforms. Scandinavian Political Studies, 32(1), 71-93. | 미소장 |
13 | Blomqvist, P. (2016). NPM i välfärdsstaten: hotas universalismen? (복지국가 내의 신공공관리: 보편주의가 위협받는가?). Statsvetenskaplig tidskrift, 118(1), 39-67. | 미소장 |
14 | Edebalk, P. G. (2016). Den “nya äldreomsorgen” i Sverige: Om framväxten 1965-1993 (스웨덴에서 “새로운 노인돌봄”: 1965-1993년 기간의 발전에 관하여). Lund: Lund Universitet. | 미소장 |
15 | Erlandsson, S. et. al. (2013). Marketising trends in Swedish eldercare:competition, ch oice and calls for stricter regulation, Ch .2 in Gabrielle Meagher & Marta Szebenhely, Marketization in Nordic Eldercare. Stockholm: Stockholm University. | 미소장 |
16 | Esping-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ornwall:Polity Press. | 미소장 |
17 | Feldt, Kjell-Olof. (1991). Alla Dessa Dagar... : I regering 1982-1990 (그 모든날들...: 1982-1990년 기간에 정부에서). Stockholm: Nordstedts. | 미소장 |
18 | Feltenius, D., & Wide, J. (2015). Deltagardemokrati eller affärsangelägenhet?:Om kollektivt deltagande i en marknadiserad äldreomsorg (참여민주주의냐 사업적 용건이냐?: 시장화된 노인돌봄에서의 집단적 참여에 관하여). Statsvetenskaplig Tidskrift, 117(4), 95-123. | 미소장 |
19 | Hall, P. A., & Soskice, D. (eds.), (2001). Varieties of Capitalism: The Institutional Foundations of Comparative Advanta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0 | Helco, H., & Madsen, H. (1987). Policy and Politics in Sweden: Principled Pragmatism.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Jacobs, A. M. (2016). Policy Making for the Long Term in Advanced Democracie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9, 433-454. | 미소장 |
22 | Kendall-Taylor, A. (2011). Instability and Oil: How Political Time Horizons Affect Oil Revenue Management.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46, 321-348. | 미소장 |
23 | Kroll, C., & Blomberg, H. (2013). Svensk välfärd i ett nordiskt perspektiv (북구관점에서 본 스웨덴 복지), Ch . 24 in Hans Swärd et al. eds, Vägar till välfärd – idéer, inspiratörer, kontroverser, perspektiv (복지로 가는 길 –사상들, 영감을 준 사람들, 논쟁들, 관점). Stockh olm: Liber. | 미소장 |
24 | Ljuunggren, Stig-Bjőrn. (1992). Folkhemskapitalismen: Högrens programutveckling under efterkrigstiden (인민의 가정 자본주의: 2차 대전 이후 우익당의강령 발전). Stockholm: Tiden. | 미소장 |
25 | Pettersson, L. (2005). LOU: Den offentliga upphandlingens syfte och funktion (공공조달법: 공공조달의 목적과 기능). Luleå: Luleå tekniska universitet. | 미소장 |
26 | Pierson, P. (1994).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Reagun, Thatcher and the Politics of Retrench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Pontusson, J. (1992). The Limits of Social Democracy: Investment Politics in Sweden.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Streeck, W., & Thelen, K. (2005). Beyond Continuity: Institutional Changes in Advanced Political Econom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9 | Szebehely, M. (2000). Äldreomsorg i förändring - knappare resurser och nya organisationsformer (변화중인 노인돌봄 – 더 부족해진 자원과 새로운조직형태들), Ch. 5 in Välfärd, vård och omsorg (복지, 의료적 돌봄, 돌봄), SOU 2000:38. | 미소장 |
30 | Szebehely, M.. (2011). Insatser för äldre och funktionshindrade i privat regi (민간부문에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사업들), Ch . 7 in Laura Hartman ed., Konkurrensens konsekvenser: Vad händer med svensk välfärd? (경쟁의 결과: 스웨덴 복지에 무슨 일이 생기나?). Stockholm: SNS Förlag. | 미소장 |
31 | Szebehely, M. & Trydegård, Gun-Britt. (2007). Omsorgstjänster för äldre: skilda villkor, skilda trender? (노인돌봄서비스: 상이한 조건들, 상이한 경향들?). Socialvetenskaplig tidskrift, 14(2-3), 197-219. | 미소장 |
32 | Södersten, B. (2006). Tre decennier med den svenska välfärdsstaten (지난 30년간 스웨덴 복지국가). In Bo Södersten ed., Den problematiska tryggheten (문제가 있는 사회보장). Stockholm: SNS Förlag. | 미소장 |
33 | Trydegård, Gun-Britt. (2013). Från fattigvård till kundval – den svenska äldreomsorgens framväxt (구빈법적 돌봄에서 고객의 선택으로 – 스웨덴 노인돌봄의 발전), Ch . 10 in Hans Swärd et al. eds, Vägar till välfärd – idéer, inspiratörer, kontroverser, perspektiv (복지로 가는 길 –사상들, 영감을 준 사람들, 논쟁들, 관점). Stockh olm: Liber. | 미소장 |
34 | Vamstad, J. (2015). Valfri välfärd: Ett medborgarperspektiv på den svenska välfärdsstaten (선택이 자유로운 복지: 스웨덴 복지국가에 관한 시민적 관점). Lund: Arkiv förlag. | 미소장 |
35 | Antman, P. (1994). Vägen till systemskiftet – offentlig sektorn 1970-1993 (체제전환으로 가는 길 – 1970-1993년 기간의 공공부문). antman.se/journalistik/essaer/essaer-book-6.html | 미소장 |
36 | Socialstryelsen (2019). Statistik om äldre och personer med funktionsnedsättning efter regiform 2018 (2018년도 관리기관 유형별 노인과 장애인 통계). socialstyrelsen.se/globalassets/sharepoint-document/artikelkatalog/statistik/2019-2-20.pdf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