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계경문. (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무인이동체를 둘러싼 법적 문제점 연구.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28(7): 519-527. |
미소장 |
2 |
교통안전법. (개정 2020. 6. 9, 법률 제17445호) |
미소장 |
3 |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개정 2016. 12. 2, 법률제14277호) |
미소장 |
4 |
김기갑. (2020). 4차 산업혁명과 경찰의 조직역량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7(4): 29-47 |
미소장 |
5 |
김남철. (2019). 도로교통법상 범칙금 및 벌점부과의 법적 과제: 독일 도로교통법과의비교를 중심으로. 「공법연구」, 47(4): 369-397. |
미소장 |
6 |
김만배·명묘회·김성규. (2009). 첨단교통 단속장비와 도로교통법 개정방안. 「법과정책연구」, 9(1): 273-301. |
미소장 |
7 |
김연주. (2018). 자율주행자동차 운전면허제도에 관한 법적 연구: 도로교통법을 중심으로. 「중앙법학」, 20(3): 201-248. |
미소장 |
8 |
김연주. (2019).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대비와 공도주행을 위한 입법동향에 관한 고찰:일본도로교통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58: 477-515. |
미소장 |
9 |
김연주. (2020).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도로교통법 대응에 관한 소고(小考): 운전면허규정을 중심으로. 「강원법학」, 61: 179-215. |
미소장 |
10 |
김연주. (2021).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대비 도로교통법상의 운전과 운전자에 대한 검토. 「교통기술과정책」, 18(2): 34-42. |
미소장 |
11 |
김원중. (2011). 한국과 미국(뉴욕주)의 도로교통법상 운전자 위반행위 제재에 관한 비교연구. 「미국헌법연구」, 22(1): 47-79. |
미소장 |
12 |
김원중. (2012). 영국 도로교통법(령)의 법체계에 관한 검토. 「유럽헌법연구」, 11: 91-122. |
미소장 |
13 |
김원중. (2019). 「도로교통법」 상의 법률용어개념의 불명확성에 관한 검토. 「유럽헌법연구」, 29: 211-245. |
미소장 |
14 |
김태수. (2013).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 사고발생시 조치의무의 문제점. 「중앙법학」, 15(3):201-224. |
미소장 |
15 |
김종갑·곽영걸. (2016). 긴급자동차 우선통행과 특례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2(4): 25-46. |
미소장 |
16 |
남선모. (2007). 현행 도로교통법의 실무적용상 문제점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 28:313-336. |
미소장 |
17 |
도로법. (개정 2020. 2. 4, 법률 제16954호) |
미소장 |
18 |
도로교통법. (개정 2021. 1. 12, 법률 제17891호) |
미소장 |
19 |
문채규. (2011). 교통사고 관련 형사법규들의체계적 해석. 「법학연구」, 33: 119-150. |
미소장 |
20 |
박균성. (2021). 「행정법강의」.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21 |
박상민. (2017). 교통사고와 형법. 「비교형사법연구」, 19(1): 85-114. |
미소장 |
22 |
설재훈. (2015). 안개 사고 관련 「도로교통법」규정에 고칠 점 있다. 「월간교통」, 48-50. |
미소장 |
23 |
손재영. (2017). 새로운 위험개념과 경찰법의위기: 독일 바이에른 경찰직무법(PAG)의개정에 따른 위헌 논란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7(4): 33-54. |
미소장 |
24 |
신형석. (2013). 도로의 법률적 의미와 범위에대한 소고: 도로교통법 제2조 제1호를 중심으로. 「서울법학」, 21(1): 237-269. |
미소장 |
25 |
신희철·이재용·김사리. (2016). 「개인용 교통수단의 보급에 따른 제도개선 방향」. 서울:한국교통연구원. |
미소장 |
26 |
윤석찬. (2014). 자전거사고에 대한 민사책임법리. 「재산법연구」, 30(4): 143-164. |
미소장 |
27 |
윤해성. (2016).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재고찰. 「한국경찰연구」, 15(4):97-130. |
미소장 |
28 |
이일세. (2018). 도로교통법 위반 운전자 등에대한 범칙금벌점 및 과태료 부과에 관한고찰. 「강원법학」, 53: 499-543. |
미소장 |
29 |
이종영·김정임. (2018). 독일의 자동주행자동차의 도로운행을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 「법학논문집」, 42(1): 141-182. |
미소장 |
30 |
이충상. (2000). 도로교통법의 운전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및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운행과의 차이. 「법조」, 49(4): 162-183. |
미소장 |
31 |
임규철. (2021). 도로교통법상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개선방향에 있어서의 비판적 연구: 전동킥보드를 중심으로. 「비교법연구」, 21(1): 343-375. |
미소장 |
32 |
정광정. (2006). 도로교통법의 개정과정과 현행법에 있어서의 교통안전교육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1: 435-455. |
미소장 |
33 |
정세종. (2014). 무인단속에 따른 경찰의 교통과태료 제도 합리화 방안. 「한국치안행정논집」, 11(1): 115-136. |
미소장 |
34 |
정태종. (2020). 자율주행자동창의 운행과 안전에 관한 공법적 과제. 「법학연구」, 28(1):91-122. |
미소장 |
35 |
주차장법. (개정 2021. 1. 12, 법률 제17900호) |
미소장 |
36 |
최미경·배재현. (2021). 전동킥보드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현황과 향후 과제. 「이슈와 논점」, 1794. |
미소장 |
37 |
최병규. (2019). 전동킥보드의 자동차해당여부에 대한 고찰. 「재산법연구」, 36(1): 207-230. |
미소장 |
38 |
최상욱. (2017). 교통사고발생시 미조치죄에 대한 소고. 「강원법학」, 50: 909-935. |
미소장 |
39 |
최승원. (1999). 「경찰사례연구」. 서울: 이화여대 법학연구소. |
미소장 |
40 |
최승원·배유진. (2011). IT 컨버전스의 이해와법·기술 방향. 「행정법연구」, 30: 433-456. |
미소장 |
41 |
홍정선. (2020). 「행정법원론(상)」. 서울: 박영사.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