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여생도들이 임관 후 조종사가 되는데 필수적인 +Gz 내성 검사결과와 생도시절의 신체조성, 체력 간 관계를 분석하여, 체육교육에 활용하고 우주인 양성 관련 기초자료를 축적하고자 수행하였다.

방법 특정기수 전체 여졸업생 13명의 4학년 시절 신체조성과 체력을 +Gz 내성에 따라 +9Gz 검사 통과 3명, +5Gz 검사 통과 2명, 정책자원 8명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One-way ANOVA로, +5Gz 이상의 검사 통과자 5명과 정책자원 8명, +9Gz 검사 진입 3명과비진입자원 10명으로 나누어 각각 독립 t-test로 분석하고, 모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첫째, 생도시절 신체조성은 +9gz 검사 통과자들이 평균 165.17cm, 55.9kg, 1학기 체지방율 25.53%(p<.05)으로 가장 높은경향을 보였다. 둘째, 4학년 시절 체력은 +9gz 검사 통과집단이 1, 2학기 모두 3km 달리기와 윗몸일으키기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9Gz 통과자는 20% 수준이어서, 전투조종사 되기가 어려움을 알 수 있었으며, 전투조종사에서 나타난 유의하게 높은체지방율과 우수한 체력의 경향은 교육적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다만, 해당 기수 졸업생 전체 자료를 추적하였으나 인원이 적고체지방율 외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아, 조종사 양성에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추후 다년간의 자료로부터 신중한연구가 요구되며, 도출된 신체조성의 중요성은 젊은 여성들의 미적 가치와 충돌할 수 있어 결과의 교육적 활용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ping /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효원, 정남운 p. 1-12
대학수업에서의 플립러닝 기반 디자인씽킹수업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instuction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university class 조영재 p. 13-32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핵심역량,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core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이혜주 p. 33-43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지각된 스트레스와 위생행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perceived stress and hygiene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rona era 김수영, 양수정 p. 45-54
한국어 미각 형용사 의미에 대한 인식 양상 및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s of recogni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aste adjectives in Korean : focused on Chinese learners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려 p. 55-66
한⋅중 사이버대학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cyber universities of Korean and Chinese 책리하, 박창언 p. 67-78

언택트 시대 비대면 국어 수업에 대한 중학교 학습자 반응 연구 = A study on middle school learner's response to non-face-to-face Korean classes in the untact era 류은수, 오현아 p. 79-99
중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열의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in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grit on academic achievement 김이영, 전지은, 박미란, 어윤경 p. 101-115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가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tudents 홍세훈 p. 117-127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정신적 안녕감과 정신병리 차이 분석 = Analysis of differences of mental well-being and mental psychopathology of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정광석 p. 129-137
학습자의 비판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다문화교양교육 콘텐츠 분석 :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to improve learner's critical literacy : The Merchant of Venice and Romiette and Julio / <베니스의 상인>과 <로미에와 홀리오> 한도인 p. 139-153
동음이의어 정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발화 특성 = Analysis of utterance types by flexible words definition in school aged Korea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이희란 p. 155-163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분석 =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 at school among early adolescents 김수지, 조민아 p. 165-183
대학생 맞춤형 진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A Delphi research study for developing a customized career education model for college students 김정희, 김지은 p. 185-196
(A) study on Korean EF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perception = 한국 EFL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인식 Kang, Ji-Young, Cha, Kyung-Whan p. 197-210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여가교육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 인식 =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leisure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최은정, 박재정 p. 211-223
어린이집 직무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nvironment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이채호 p. 225-236
명상을 적용한 암 환자 영적 돌봄 단일 사례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연구 =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a single case of spiritual care for cancer patient using meditation 김미정 p. 237-250
포스트 팬데믹 시대, 교양체육 댄스스포츠 수업의 온라인 교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online teaching program for dance sports as liberal arts and sports in the post-pandemic era 조미혜, 양민아 p. 251-266
대학의 플립드러닝 수업 질 관리를 위한 인증기준 설계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certification criteria for the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유병민, 남영옥, 이화영, 엄희창 p. 267-282
중년여성의 학력콤플렉스 극복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middle-aged woman's experience in overcoming academic complex 임선경, 김명찬 p. 283-299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on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 백지영, 백영숙, 오현숙 p. 301-314
예비 유아숲지도사의 양성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rainees in the early childhood forest instructor training course 김보경, 조경희 p. 315-333
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발휘하는 실제기예 탐색 : Exploring practical art who teachers demonstrate in the process teachers' classroom level curriculum developing : based on Schwab's the practical / Schwab의 the practical을 중심으로 이주영, 정광순 p. 335-351
동적 기하 환경에서 수학적 탐구 활동을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 Using 'what-if-not strategy' for mathematical exploration in a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허남구 p. 353-367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martphone dependence and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depression /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우울의 매개효과 조승희, 조안나 p. 369-379
원격학습 상황에서 대학몰입의 영향요인 탐색 = Factors influencing institutional commitment in distance education 한송이, 박상훈 p. 381-394
고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능력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of high school students self-control ability and delinquent behaviors 김종운, 이우주 p. 395-409
중학생의 환경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on grit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윤미라 p. 411-428
성인학습자의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Adult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focus on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박진솔, 장인실 p. 429-445
대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intrinsic and extrinsic major selection motivation to career decision level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and personality career difficulties / 정서 및 성격 관련 진로문제의 매개효과 신선임 p. 447-460
의미이론 기반 중년기우울 여성을 위한 삶의 의미증진 프로그램(LMP)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a life meaning-promotion(LMP)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ory of meaning 손정아 p. 461-485
나의 첫 번째 환자와 실습용 교구 사이에서 : Between my first patient and a training aid : a study on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medical students in the course of human anatomy practice / 해부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과대학생의 생각과 감정에 관한 연구 유효현, 정덕호, 이준기 p. 487-500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사화법 평가 연구 : A study on teacher communication method evaluation in online class : focusing on online teacher dialogue method using meta-conversation analysis method / 메타 대화 분석 방식을 활용한 온라인 교사화법 수업을 중심으로 김윤정 p. 501-522
유아인성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고경필 p. 523-536
예비유아교사의 인성, 자아탄력성 및 학과만족도가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ego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n their happiness flourishing 심재연, 백승선 p. 537-552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통합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ocial support on comprehensive well-being of late school-aged children : focusing on a mediation effect of school climate /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환희, 이동형, 김지연 p. 553-568

학교 교육프로그램의 외주화 현상 분석 = A study of outsourcing for school sports day : 초등학교 운동회를 중심으로 이두휴 p. 569-594

공사 여생도의 임관 후 +Gz 내성과 4학년 시절 신체조성, 체력의 관계 = Female senior cadet's +Gz tolerance, body composition, and fitness 신승환 p. 595-60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Analysis on the inquiry tendency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invasion competition activities / 영역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하혁 p. 607-620
AI 기반 수학교육 관련 국외 연구의 논지 탐색 = AI-based mathematics education : a review of issues in international research 임웅, 박미미 p. 621-635
유아 대상 원격교육 콘텐츠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valuation tool for distance education contents for young children 양수영 p. 637-652
초임 초등특수교사의 교직소진에 대한 질적연구 = A study on the burnout experience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이경면 p. 653-67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이 원장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day care center principals leadership and self-esteem on their professionalism 김희숙, 이유미, 김선정 p. 671-683
신체활동에서 더닝-크루거 현상은 존재하는가 : Does the Dunning-Kruger phenomenon exist in physical activity? : Illusion of cognitive competency and implications of sports education / 인지적 역량착각과 스포츠교육학의 시사점 김무영 p. 685-696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key words network analysis /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김규영, 최재희, 이희수 p. 697-710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 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among nursing students 김은진 p. 711-720
한중대학생의 상실과 성장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los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cross validation of religion / 종교별 교차타당성 검증 김미숙 p. 721-737
전문가 연계 학습자 주도 프로젝트 학습 설계전략 개발 = Development of design strategies for learner-driven project learning with experts 이은상, 김하늬, 이은주 p. 739-755
포스트 코로나 19에 대비한 초⋅중등 특수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및 요구 = Experience and requirement to distance learning of elementary and seco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prepare for post COVID-19 이신영, 서석진 p. 757-771
교사의 지지가 초등학생의 도움찾기 행동과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acher's supportive behaviors on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mediated by student's help-seeking behavior 임선아 p. 773-785
성인초기 거부민감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회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support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depression in early adulthood 김진희, 이주영 p. 787-800
중도탈락한 축구선수의 고등학교 생활 이야기 = The story of high school life of soccer player who were dropped out 최중근, 제성준, 이소미 p. 801-810
쌍방향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클라우드 앱 활용 실태와 인식 조사 = An investigation of teaching practices and opinions of teacher about using cloud apps in interactive online science class 신은혜 p. 811-824
내적 성패귀인, 목표설정수준, 과제비용 간 구조적 관계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uccess-failure attribution, goal setting level, and costs for math : multi-group analysis by school level / 중고생의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엄태순, 윤미선 p. 825-840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중단 위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 of the risk of study disrup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 황재동 p. 841-852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 Relationship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parenting stress, and young children's overuse of smart devices 오규호, 백지혜 p. 853-866
보육교사 권리인식이 아동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on child discipline : moderating effect of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 아동권리 인식의 조절효과 서애라, 김무영 p. 867-879
재한 몽골 중⋅고등학생의 한국어 능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acculturation str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type / 문화적응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Jambal Minjinlkham p. 881-894
대학에서 '나를 위한 글쓰기' 수업의 가능성과 의의 탐색 =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and significance of 'writing for me' class 가은아, 권대광 p. 895-913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명수 (2002). 공중근무자의 G내성 강화를 위한 체력단련프로그램. 운동과학, 11(1), 211-220. 미소장
2 김근수, 정하진, 김정운, 이율효 (2013). ‘비행입문과정’ 입과 전 공군사관생도의 신체구성, 기초체력, 최대산소섭취량,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공사논문집, 64, 165-179. 미소장
3 김근수, 정연수, 김경래, 류현승 (2016). 공군사관학교 지원여자 수험생의 체격과 체력 변화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745-759. 미소장
4 김윤섭, 허찬영 (2018). 비인지적 특질이 공군 비행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중한 연습의 조절효과. 기업경영리뷰, 9(3), 43-59. 미소장
5 김지은, 김지연, 김현, 전윤경 (2019). 국군간호사관학교 여생도의 양성평등의식, 집단자존감과 성역할 갈등. 군진간호연구, 37(1), 32-42. 미소장
6 김혜원, 강점숙, 최승혜 (2019). 대한민국 여생도의 건강관리 상태. 군진간호연구, 37(1), 70-85. 미소장
7 공군사관학교 (2016). ACTN-3 유전자다형성이 공군조종사의 체력과 공사생도의 등속성 근기능 및 고가속도 훈련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결과보고 (연구보고 16-2). 충북: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미소장
8 공군사관학교 (2017). 공군사관생도의 Grit과 성취도, G-test 결과 간 관계 연구 결과보고 (연구보고 17-A-3). 충북: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미소장
9 공군사관학교 (2018). 국내 최초 자체 우주인 양성 기반구축을 위한 조종사의 ACTN-3 유전자 표현형 별 G-내성과신체조성 특성 결과보고 (연구보고 17-2). 충북: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미소장
10 공군사관학교 (2020). 국내 최초 우주비행사 자체 선발기반구축을 위한 조종사의 G-내성과 체중손실에 대한 유전적 영향 종합 연구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19-3). 충북: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미소장
11 공군사관학교 (2021a). 교육계획서. 충북: 공군사관학교. 미소장
12 공군사관학교 (2021b). 졸업생 추수평가 결과. 충북: 공군사관학교. 미소장
13 송성우, 곽재준 (2019). 공군사관학교 여생도의 신체조성 및체력에 관한 연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6(4), 1060-1068. 미소장
14 신승환 (2017). 예비조종사의 G-test 결과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Grit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329-338. 미소장
15 신승환, 이온 (2017). 15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으로 인한 사관생도의 체력 향상도와 투지(Grit) 수준 간 상관관계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2), 591-603. 미소장
16 신승환 (2018). F-15/16 조종사의 ACTN-3, G-내성, 신체조성 간 관계 예비조사. 운동과학, 27(1), 80-88. 미소장
17 신승환, 안효연 (2018). 여생도의 체력, 종합성적과 그릿 간관계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53-67. 미소장
18 신승환, 박미혜, 이동호 (2019). G 내성 함양을 위한 공군사관학교 항공체력육성 관련 교과 개선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593-612. 미소장
19 신승환 (2020). 공사생도의 첨단 전투기 조종에 요구되는9Gz+ 내성을 위한 신체조성 육성 필요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1341-1358. 미소장
20 이상원 (2001). 여생도의 신체조성, 체력의 관계 연구.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57(2), 325-351. 미소장
21 전상윤, 최진, 김정운, 박정섭, 김병주 (2014). 공군사관학교생도의 4년간 체력 변화 연구. 공사논문집, 65, 243-258. 미소장
22 최진, 전상윤, 김근수, 이동호, 신승환 (2017). 공군사관학교체육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75-94. 미소장
23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0). 2019 국민체력실태조사. 서울: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미소장
24 현진숙, 허명행 (2004). 아로마데라피가 여생도의 생리통 및월경곤란증에 미치는 효과. 군진간호연구, 22, 1-23. 미소장
25 Epperson, W. I., Burton, R. R., & Bernauer, E. M. (1985).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weight training required on stimulated aerial combat maneuvering G-tolerance. Aviation Space & Environmental Medicine, 56, 534-539. 미소장
26 Shin, S, & Jee, H. (2019a). ACTN-3 genotype, body composition, fitness and +G tolerance in senior cadets. Aerospace Medicine & Human Performance, 90(12), 1055-1060. 미소장
27 Shin, S, & Jee, H. (2019b). Investig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Korean Air Force pilots from 1975 to 2016. Gazzetta Medica Italina, 178(4), 182-187. 미소장
28 Stevenson, A. T., & Scott, J. P. (2014). +Gz tolerance with and without muscle tensing following loss of anti-G trouser pressure. Aviation Space & Environmental Medicine, 85(4), 426-43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