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국가발전과 국민 삶의 질적인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는 경제 성장지표의 한계로 행복지표가 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방자치제도의 실시와 더불어 행복과 정부와의 관계가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1994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중앙정부의 지시나 업무를 수행하는 단순한 전달체계로의 기능에만 머물던 과거와는 달리 지방정부는 국민들에게 가장 인접한 정부로서 국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에 대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다수의 행복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이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고 인천시를 대상으로 한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개인적 요인에는 가족과의 관계, 소득, 직업, 계층, 여가, 사회자본이, 환경적 요인에는 주거환경, 의료보건 환경, 교육 환경, 수질 환경, 대기 환경, 문화체육 환경, 교통환경, 보행환경이 포함되었다. 또한, 다문화 사회적 특성이 증가하는 현 상황을 고려하여 외국인에 대한 태도도 독립변수에 포함하였다. 인천시 사회조사 2019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관적 귀속계층, 가족과의 관계, 사회자본, 외국인에 대한 태도, 여가, 주거환경, 교통환경, 보행환경, 대기환경, 사회안전 등이 인천시 시민들의 행복과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령이 어릴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기혼이면 덜 행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 행복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천시 시민들의 행복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외국인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Since economic indices cannot reflect qualitative aspects of national development and lives of the people, happiness index has receiv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In South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government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launch of local autonomy in 1994. Local governments has been empowered to the role of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people as the closest government to the lives of the people. Thus, many happines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However, most studies focus on city of Seoul while there are few studies addressing the case of the City of Incheon. This study tries to explore determinants of happiness of citizens in Incheon. Independent variable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ersonal and environmental. Personal variables include family relationship, income, job, subjective class, leisure, social capital. Environmental variables are housing/neighborhood‧health‧education‧culture/sports‧transportation‧walk environment, water quality, air quality and social safety. Plus, considering that South Korea is getting more diverse society, attitude towards foreigners are selected as one of factors.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class, family relationship, social capital, attitude towards foreigners, leisure, housing/neighborhood‧transportation‧walk environment, quality of air and social safety gave positive effect to the happiness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younger, the more educated and those who are married are less happy.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happiness determinants of citizens in Incheon and showed that attitude towards foreigners can be a significant factor in happiness study.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교준·임재영·최슬기,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8권 제2호, 2014. 미소장
2 김단야·진은애, 「미세먼지가 서울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 「국토계획」 제53권 제4호, 2018. 미소장
3 김병섭·강혜진·김현정, 「지방정부서비스가 주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주거영역 삶의 질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3권 제3호, 2015. 미소장
4 김병섭·최성주·최은미, 「국민행복, 삶의 질, 그리고 공공서비스의 관계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9권 제4호, 2015. 미소장
5 김창진·원준희·허훈, 「경기도 내 소득계층과 주민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30권 제2호, 2018. 미소장
6 김현정, 「소득불평등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계층상승 가능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5권 제2호, 2016. 미소장
7 법무부, 「2021년 1월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1. 미소장
8 변미리, 「서울시민의 행복 체감도와 행복지표 활용방안」, 서울: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202, 2015. 미소장
9 변미리·최정원, 「서울 시민의 행복 메커니즘: 시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조사연구」 제17권 제2호, 2016. 미소장
10 서울특별시, 「생활권 미세먼지 그물망 대책」, 서울: 서울특별시, 2019. 미소장
11 손웅비·강현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행복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제1차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제21권 제2호, 2019. 미소장
12 신상준, 「개인의 생활환경과 사회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천광역시 시민을 대상으로-」, 「IDI 도시연구」 제11권 제2호, 2017. 미소장
13 양계민,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0권 제4호, 2009. 미소장
14 엄영호·엄광호, 「지역에 대한 애착이 주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 제31권 제2호, 2017. 미소장
15 여성가족부, 「2018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2018. 미소장
16 윤인진,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2권 제2호, 2008. 미소장
17 윤인진·송영호, 「한국인의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 미소장
18 이명우·홍윤미·윤기웅, 「여가 활동이 국민 행복에 미치는 영향: 여가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제30권 제2호, 2016. 미소장
19 이승종 외, 「커뮤니티웰빙 지표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평가비교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7권 제2호, 2013. 미소장
20 이연경·이승종, 「사회계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5권 제1호, 2017. 미소장
21 이우민·서승연·이경환,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7권 제2호, 2016. 미소장
22 이일현,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 출판사, 2014. 미소장
23 이종수, 「공동체의 형성이 주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30권 제2호, 2018. 미소장
24 이지은·강민성·이승종,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18권 제2호, 2014. 미소장
25 이진향·오미옥, 「사회적 자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거제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3호, 2014. 미소장
26 이현국·이민아, 「공공서비스 성과인식과 행복」, 「한국행정학보」 제48권 제2호, 2014. 미소장
27 인천광역시, 「2019 인천의 사회지표」, 인천: 인천광역시, 2019. 미소장
28 임준홍·홍성효, 「주거환경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주거환경」 제12권 제2호, 2014. 미소장
29 전지훈·정문기, 「공동체 인식과 행복의 영향관계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9권 제1호, 2017. 미소장
30 정명은·김미현·장용석, 「서울시민의 행복과 사회자본 관계 분석: 행복한 시민, 따뜻한 지역공동체」, 「서울도시연구」 제15권 제1호, 2014. 미소장
31 정보람·전인수, 「소득수준과 문화적 여건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화정책논총」 제31권 제1호, 2017. 미소장
32 조근식 외, 「춘천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춘천: 강원연구원, 2019. 미소장
33 조승헌, 「행복정책 연구」, 인천: 인천발전연구원, 2011. 미소장
34 조준택·박지선, 「범죄율과 범죄두려움이 서울시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4호, 2016. 미소장
35 최말옥·문유석, 「부산지역주민의 행복감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1호, 2011. 미소장
36 최영출, 「지역 주민의 생활 여건과 행복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8권 제1호, 2014. 미소장
37 한국개발연구원(KDI), 「나라경제 5월호 특집」, 2021. 미소장
38 행정안전부, 「2019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통계표」, 2020. 미소장
39 Akay, A., Constant, A., & Giulietti, C.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the well-being of native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103, 2014. 미소장
40 Betz, W., & Simpson, N.B.,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on the well-being of native populations in Europe”, IZA journal of migration, Vol. 2, No. 1, 2013. 미소장
41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 95, No. 3, 1984. 미소장
42 Diener, E., Scollon, C.N., & Lucas, R.E.,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happiness. In Assessing well-being”,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2003. 미소장
43 Dolan, P., & Metcalfe, R.,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Recommendations on meausres for use by national governments”, Journal of social policy, Vol. 41, No. 2, 2012. 미소장
44 Easterlin, R.A.,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In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Cambridge: Academic Press, 1974. 미소장
45 Ivlevs, A., & Veliziotis, M., “Local-level immigration and life satisfaction:The EU enlargement experience in England and Wal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Vol. 50, No. 1, 2018. 미소장
46 Knies, G., Nandi, A., & Platt, L., “Life satisfaction, ethnicity and neighbourhoods:Is there an effect of neighbourhood ethnic composition on life satisfa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60, 2016. 미소장
47 Kuroki, M., “Racial diversity, immigrants and the well-being of residents:evidence from US countie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Vol. 31, No. 1, 2018. 미소장
48 Layard, R.,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New York: The Penguin Press, 2005. 미소장
49 Longhi, S., “Cultural diver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ZA Journal of Migration, Vol. 3, No. 1, 2014. 미소장
50 Maddens, B., Billiet, J., & Beerten, R., “National identity and the attitude towards foreigners in multi-national states: The case of Belgium”, Journal of ethnic and migration studies, Vol. 26, No. 1, 2000. 미소장
51 O'Connor, K.J., “The effect of immigration on natives well-being in the European Union”,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180, 2020. 미소장
52 Stiglitz, J.E., Sen, A., & Fitoussi, J.P., “Report by the commission o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2009. 미소장
53 Veenhoven, R., “The four qualities of lif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 1, No. 1, 2000. 미소장
54 Veenhoven, R., Measures of gross national happiness, In Statistics, Knowledge and Policy 2007 Measuring and Fostering the Progress of Societies, Paris: OECD Publishing, 2007. 미소장
55 「‘新 고려인 타운’인천 함박마을·(上)활력인가 슬럼화인가 중앙亞·러시아...단기간 ‘전국 3위’ 다문화 마을로」≪경인일보≫2020년 8월 10일자. 미소장
56 「8년째 청소년 사망원인 1위 자살..27%는 ‘우울감’ 경험」≪중앙일보≫ 2020년 4월 27일자.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