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발달지연 영유아 부모의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발달지연 영유아 가족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P시에 위치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가족중심 발달지연영유아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4가족 부모 8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발달지연 영유아 부모의 가족탄력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탄력성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가족강인성 향상과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문제해결 및 대처전략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함의를 기초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to help their healthy growth.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ight parents of four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family-center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located in P city. The verified results by the Wilcoxn signed ranks test are as follows: First,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ardiness, family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coping strategies. The clinical intervention based on this study’s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가족스트레스연구회(1994), 엄마의 스트레스 , 창지사. | 미소장 |
2 | 김계숙(2016),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애 예후에 관한 기대감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 , 31: 163-192. | 미소장 |
3 | 김미옥(2001), “장애아동의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 8: 9-40. | 미소장 |
4 | 김찬혁(2021), “발달장애 치료, 만 3세 전에 시작해야 효과 커”, 청년의사 (1월 13일), |
미소장 |
5 | 노희원・김현주(2019), “모-자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유아와 모의 상호작용 행동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 23(2): 35-51. | 미소장 |
6 | 박선희(2008), “모래상자놀이가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박진숙(2013), “집단모래상자놀이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박창현(2020), “2019 장애 영유아 양육 정책의 현주소와 해결해야 할 정책 과제를 살펴본다”, 육아정책포럼 , 63: 16-23. | 미소장 |
9 | 송영혜(2008), “상담에서 모래상자놀이의 활용”, 아동심리치료연구소 연수자료집 . | 미소장 |
10 | 송영혜(2012), “기초연구: 모래상자 놀이의 과거와 미래: 상담 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 놀이치료연구 , 16(2): 1-15. | 미소장 |
11 | 오승아・이양희(1999), “장애아동 가족의 Resilience 관련 요인 척도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2: 21-48. | 미소장 |
12 | 이선애(2004), “만성질환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사회복지학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이원남・김경신(2017),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21(4): 27-50. | 미소장 |
14 | 이주희・정현주(2009), “가족스트레스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 30(4): 15-31. | 미소장 |
15 | 이진숙・심희옥・한유진(2012), 모래놀이치료: 심리치료사를 위한 지침서 ,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6 | 이진희(2016),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과 방어기제 유형 변화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장용주(2008), “취학전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7(1): 67-87. | 미소장 |
18 | 전귀연(199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 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장덕희・서은주・윤현자(2018), “집단모래놀이상담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효과”, 인문사회 21 , 9(6): 885-898. | 미소장 |
20 | 정현주(2008),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 13(3): 89-110. | 미소장 |
21 | 최희정・이인수(2009),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 , 17(2): 175-194. | 미소장 |
22 | 한길자(2009), “자아성장 모래상자놀이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한금선・김영자・이평숙・이숙자・박은숙・박영주・유호신・강현철(2004), “만성정신질환자 가족기능 예측모형”, 정신간호학회 , 2: 146-155. | 미소장 |
24 | 한송희(2016),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Hartshorne, T. S., Schafer, A., Stratton, K. K., & T. M. Nacarato(2013), “Family Resilience Relative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In Becvar, D. S. (Ed.), Handbook of Family Resilience , 361383. | 미소장 |
26 | Humphry, R. & L. Wakeford(2006), “An Occupation-Centered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60: 258-267. | 미소장 |
27 | McCubbin, H. I., Olson, D., & A. Larsen(1981),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Scales (F-COPES)”, In McCubbin, H. I., Thompson, A. I.,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 455-507,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 미소장 |
28 | McCubbin, M. A. & H. I. McCubbin(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Families, Health, &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 St. Louis, MO:Mosby. | 미소장 |
29 | McCubbin, M. A., McCubbin, H. I., & A. I. Thompson(1996), “Family Hardiness Index (FHI)”, In McCubbin, H. I., Thomspson, A. I.,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 239-305,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 미소장 |
30 | McCubbin, H. I., McCubbin, M. A., Thompson, A. I., Han, S. Y., & C. T. Allen (1997), “Families under Stress: What Makes Them Resilient”,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 89(3): 2-11. | 미소장 |
31 | Olson, D. H., Portner, J., & Y. Lavee(1985),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Scales-FACES Ⅲ (Research Instrument and Manual) ,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 미소장 |
32 | Sato, N., Araki, A., Ito, R., & K. Ishigaki(2015), “Exploring the Beliefs of Japanese Mothers Caring for a Child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 21(2): 232-260. | 미소장 |
33 | Walsh, F.(200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 New York: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