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간과 비인간, 예술가와 피조물의 사이 : Between human and inhuman, artist and object : the eighteenth-century French art and the myth of Pygmalion / 18세기 프랑스 미술과 피그말리온 신화 김한결 p. 7-24

우리도 그들처럼 : Just like them : encounter with the non-human beings in the works of Tomás Saraceno and Joan Jonas / 토마스 사라세노와 조안 조나스의 작품에서 보는 비인간 존재와의 조우 이지은 p. 25-45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 : The image of Jesus Christ in Michelangelo's The Last Judgment : focusing on Ficino / 피치노를 중심으로 현성주 p. 47-74
슈비터스의 콜라주에 나타난 색채이론의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lor theories in Kurt Schwitters' collages 최병길 p. 75-96
플럭서스의 게임 : Fluxus games : artistic practice as intermedia / 인터미디어로서의 예술적 실천 현시원, 이현진 p. 97-116
디지털 사진의 '작은 역사' : 'Little history' of digital photography : historical criteria for critiquing post-photography / 포스트 사진 비평을 위한 역사적 기준들 최종철 p. 117-136
트러블(1968-1998) 시기 북아일랜드 벽화에 표명된 두 개의 민족-종파적 정체성 = Two Ethno-sectarian identities represented in murals of Northern Ireland during the troubles 이민아 p. 137-162
포스트-팬데믹 퍼포먼스의 현존성과 재현 논의 : Present-ness and representation of post-pandemic performances : Artaud's Theater of Cruelty and Rauschenberg's Open Score / 아르토의 잔혹극과 라우센버그의 <오픈 스코어> 진휘연 p. 163-182
≪박하사탕≫(2007-2009)전과 한국미술의 동시대적 특징 = Exhibition Peppermint Candy (2007-2009) and contemporary of Korean art 김현화 p. 183-204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승완.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미술의 세계화 사업의 현황분석과 활성화 방안」. 『현대미술관연구』 18 (2007): 3-21. 미소장
2 국립현대미술관. 『Caramelo de Menta-Arte Contemporáneo de Corea, Peppermint Candy-박하사탕』 전시 도록. 국립현대미술관, 2007. 미소장
3 김영나. 『1945년 이후 한국현대미술』. 미진사, 2020. 미소장
4 김진아. 「전 지구화 시대의 전시 확산과 문화 번역: 1993년 휘트니 비엔날레 서울전」. 『현대미술학논문집』 11 (2007): 91-135. 미소장
5 니콜라 부리요. 『관계의 미학』. 현지연 역. 미진사, 2011. 미소장
6 배명지. 「세계화 지형도에서 바라본 2000년대 한국현대미술전시–글로벌 이동, 사회적 관계 그리고 현실주의」. 『미술사학보』 14 (2013): 8-35. 미소장
7 송윤지. 「동시대 미술과 대중문화」. 『한국 동시대 미술 1990년 이후』 139-67.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미소장
8 송혜영. 「아카데미 교수로서의 요셉 보이스」.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7 (2007): 32-51. 미소장
9 심상용. 『속도의 예술』. 한길사, 2008. 미소장
10 양은희. 「1990년대 이후 한국미술의 세계화 맥락에서 본 광주비엔날레와 문화매개자로서의 큐레이터」.『현대미술사연구』 40 (2016): 97-128. 미소장
11 윤난지. 「또 다른 후기자본주의, 또 다른 문화논리-최정화의 플라스틱 기호학」. 『한국 근현대미술사학』 26 (2013): 305-38. 미소장
12 윤난지. 『한국 동시대 미술 1990년 이후』. 사회평론아카데미, 2017. 미소장
13 윤난지. 『한국현대미술의 정체』. 한길사, 2018. 미소장
14 이영준. 「사진의 담론과 역사의 담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2 (1999): 117-30. 미소장
15 이준희.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신세대 미술’ 연구: 1985-1995년에 열린 소그룹 전시를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2005. 미소장
16 Bataille, Georges. La Part maudite .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2011. 미소장
17 『MMCA 현대차 시리즈 2018: 최정화-꽃․숲』 전시 도록. 국립현대미술관, 2019. 미소장
18 「박하사탕–한국현대중남미순회 귀국전」. http://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do?exhId=200910190002810 (2021년 7월 8일 검색). 미소장
19 「‘생명력’ ‘역동성’ ‘유머’ 담은 전시회」. 『뉴스포스트』. 2009년 10월 30일. 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282 (2021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
20 「시대의 아픔에 힘없이 녹아버린 순수…젊음…」. 『조선일보』. 2009년 11월 3일.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11/02/2009110201646.html (2021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
21 「한국미술의 세계화 ‘박하사탕’」. 『YTN news』. 2009년 12월 16일. https://ytn.co.kr/_comm/pop_print.php?key=200912160644464023 (2021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
22 「한국현대미술 중남미순회전 귀국전-박하사탕展-‘박하사탕’처럼 각인된 원초적 기억을 더듬다」. 『지역내일』. 2010년 1월 16일. https://www.localnaeil.com/News/View/384641/10 (2021년 7월 30일 검색).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