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논어(論語)』에 나타난 정의(正義 justice) 관념에 대해 분배적 속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기존의 경우 공자(孔子)나 유교(儒敎)의 정의관에 대해 도덕주의적 혹은 완전주의적 성격이 강한 반면 분배주의적 성격이나 이익 관련 성격은 약하거나 부재한 것으로 간주해온 경향이 강하였다. 이와 달리, 이 논문에서는 적어도 『논어』에 나타난 정의관은 도덕적 성격이 강한 것은 물론이고 분배적 성격도 마찬가지로 강하게 강조되고 있으며, 나아가 공정한 분배적 정의가 제대로 구현될 때 정치의 도덕적 정의도 구현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논리임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론에서 기존연구 검토와 더불어 공자 사상의 속성상 ‘정의’ 개념이 강조될 수밖에 없음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의(義)’로 표현된 ‘정의’의 자의(字意)를 통해, 공자 이전에 이미 유교문명권의 정치공동체에 존재하던 분배적/도덕적/법제적 정의의 관념이 있었음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논어』에 나타난 ‘의(義: 정의)’는 ‘인(仁)’과 더불어 공자의 정치사상 및 정치가의 최고 가치로 간주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아울러 치자의 정의 구현은 ‘피치자의 분배적 정의’를 실현하는 것으로 간주하였음을 설명하였다. 곧 ‘분배적 정의’의 관건인 ‘이익[利]’ 관념에 대해 공자나 『논어』는 ‘정의’와 서로 짝하는 관계로 인식하되, ‘이익을 직접 추구하는 자는 생산자인 피치자 민(民)이고, 치자인 군신(君臣)은 민의 이익 추구를 공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국가의 이익’이라고 관점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각자의 몫을 공정하게 보장하는 일’이 정의의 출발이라는 보편적 분배의 정의관이 공자에게서도 예외가 아님을 확인하는 과정이었다. 아울러 공자의 분배적 정의관은 민에게 재화만이 아니라 교육도 분배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나아가 균형적(均衡的), 도덕적(道德的), 부민적(富民的) 특징도 지님을 확인하였다.
Confucius's existing view of justice mainly emphasized its moral character and denied its distributive character. In contrast, this paper argued that the concept of Confucius's 'justice' had the nature of today's justice as well as the distributive justice. In addition, this paper explained that for his distributive justice it was related to a different approach to rulers and peopl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interest and justice. Confucius called for rulers and people to play different roles within the state, the rulers to be in charge of state management by receiving positions tailored to their qualities and abilities, and the people to exercise their rights and duties in their profit-produces. It was very important for both rulers and people to abide by the "justice in broad sense" and that was the view that it was the "interest in broad sense" at the entire national level. For this to be possible, the people were required to engage in "interest in narrow sense" that directly generated goods, and the ruler was required to devote himself to "justice in narrow sense" activities that protected/guaranteed these interestseeking activities of the people. This is 'profit-seeking with justice'. When this is possible, Confucius's ‘distributive justice’ is established. And it had ‘balanced’, ‘moral’ and ‘wealthy people’ characteristic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集註』 | 미소장 |
2 | 『孟子集註』 | 미소장 |
3 | 『大學章句』 | 미소장 |
4 | 『論語古今註』 | 미소장 |
5 | 『周易』 | 미소장 |
6 | 『周易折中』 | 미소장 |
7 |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 미소장 |
8 | 김동일, 「고전 유교 분배정의관의 특징과 의미」 『정치사상연구』 제25집 2호, 2019가을 | 미소장 |
9 | 김주성, 「저스티스(justice)와 의(義)」, 『계간 사상』 봄호, 1998. | 미소장 |
10 | 김철수, 『법과 사회정의』, 서울대학교출판부, 1983. | 미소장 |
11 | 金忠烈, 「法家에 있어서의 社會正義의 문제」 『正義의 哲學』, 對話出版社, 1977. | 미소장 |
12 | 박병기, 「정의의 동양사상적 맥락과 21세기 한국사회」,『한국학논집』 제55집, 2014. | 미소장 |
13 | 배병삼, 「정의란 무엇인가」, 『녹색평론』 116호 2011(1,2월호). | 미소장 |
14 | 송인창, 「정의에 대한 동서 철학적 성찰」, 『철학논총』 65, 2011. | 미소장 |
15 | 心憲燮, 「法/正義/刑罰」, 『正義의 哲學』, 對話出版社, 1977. | 미소장 |
16 | 安炳周, 「社會正義 具現理念의 儒敎的 展開」, 『正義의 哲學』, 對話, 1977. | 미소장 |
17 | 안외순, 「대학의 정치철학: 」, 『정치사상연구』 12집 2호, 2006. | 미소장 |
18 | 안외순, 『정치, 함께 살다』, 글항아리, 2016 | 미소장 |
19 | 안외순, < 『論語』『孟子』: 호혜적 공감의 문화정전> 네이버 열린연단 강연원고, 2020.6.6.일자. | 미소장 |
20 | 이상익, 『유가 사회철학 연구』. 서울: 심산, 2001. | 미소장 |
21 | 이상익, 「정의관의 충돌과 변용」, 『정치사상연구』 12집 2호, 2006. | 미소장 |
22 | 이승모, 「공자의 정의관에 대한 일고찰」, 『동양철학연구』 84집, 2015. | 미소장 |
23 |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 미소장 |
24 | 이연도, 「유가철학에서 본 정의」, 『중국학보』 66, 2012. | 미소장 |
25 | 이장희, 「동양철학의 현재성」, 『사회와 철학』, 16, 2008. | 미소장 |
26 | 이종은, 「儒敎에서의 正義 觀念」, 『학술원논문집』, 2020. 59/1. | 미소장 |
27 | 임헌규,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論語1』, 모시는사람들, 2020. | 미소장 |
28 | 하영삼, 『한자어원사전』, 도서출판 3, 2021(개정판). | 미소장 |
29 | Chan, J. 2014. Confucian Perfection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0 | Cheng, C.Y. 1997. “Critical Reflections on Rawlsian Justice versus Confucian Justice”,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24. | 미소장 |
31 | Chin, A. 2014. Confucius The Analects. New York: Penguin Books. | 미소장 |
32 | Cline, Erine. M. 2012. Confucius, Rawls, and the Sense of Justice. New York:Fordham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3 | Fan, Ruiping, 1997. “Confucian and Rawlsian Views of Justice: A Comparison”,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24. | 미소장 |
34 | Graham, A. C., 1986, "The Bac kground of the Menc ius Theory of Human Nature", Studies in Chinese Philosophy and Literature, The Institute of East Asian Philosophies, 1988. | 미소장 |
35 | Guo, Q. 2013. “On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and Its Theory of Justice”Frontiers of Philosophy in China. 8/1. | 미소장 |
36 | Kim. Sungmoon. 2013. “Confucianism and Acceptable Inequalities”, Philosophy and Social Criticism, 39/10. | 미소장 |
37 | Lin, D. 2017. “High Justice versus Low Justice: the Legacy of Confucian and Legalist Notions of Justice” in Sapio, Trevaskes, Biddulph, and Nesossi, Justice: The C hina Experi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8 | Strauss, L, & J. Cropesy., “Plato, Republic ”,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 미소장 |
39 | Xiao, Y. 1997. “Trying to do Justice to the Concept of Justice in Confucian Ethics”,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