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신겸·이진형(2018). 지역사회기반 섬 관광정책의 성과와 과제-행정안전부 ‘찾아가고 싶은 섬 사업’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4(1), 39-56(題名和訳:地域社会基盤, 島観光政策の成果と課題). | 미소장 |
2 | 김향자(2013). 섬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題名和訳:島観光活性化方案研究) | 미소장 |
3 | 김민철 장희정(2008). 도서의 관광콘텐츠 유형에 따른 관광매력요인: 보길도, 선유도, 우도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0(4), 123-137(題名和訳: 島嶼の観光コンテンツタイプによる観光魅力要因). | 미소장 |
4 | 김병직·양위주(2020).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해양관광목적지로서 섬 관광의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16(4), 183-198(題名和訳:ライフスタイルのタイプが海洋観光目的地としての、島観光の選択属性に及ぼす影響 ). | 미소장 |
5 | 김태헌·박숙진·김주리(2016).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공정관광체계와 관광정책의역할-서울 북촌한옥마을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2(2), 71-90(題名和訳:持続可能な観光のための公正観光体系と観光政策の役割). | 미소장 |
6 | 노봉옥(2006). 인천지역 해양관광자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옹진군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2(2), 91-111(題名和訳:仁川地域、海洋観光資源活性化方案に関する研究). | 미소장 |
7 | 손대현 장희정 김민철(2004). 우리나라의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광개발정책 개선방안: 백령도와 사량도의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16,3-23(題目和訳:我が国の海洋観光活性化のための島嶼観光開発政策改善方案). | 미소장 |
8 | 손대현(2006). 우리나라 도서관광 개발의 기본전략. 관광레저연구, 18(1), 267-283.(題目和訳:我が国の島嶼観光の基本戦略) | 미소장 |
9 | 송재호 김향자(2018). 섬 관광개발의 측정척도에 관한 연구-제주도 4 개 섬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42(10), 215-236.(題目和訳:島観光開発の測定尺度に関する研究) | 미소장 |
10 | 임화순·고계성(2012).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태도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8(1), 123-139(題名和訳:海洋観光開発に対する地域住民認識が、態度と支持に及ぼす影響 ). | 미소장 |
11 | 신진범 김지선(2017). 인천시 섬 관광 활성화 여건 진단 지표 개발. IDI 도시연구, (12), 141-172.(題目和訳:仁川市島観光活性化与件診断指標開発) | 미소장 |
12 | 양성수 오은지 정철(2019). 도서지역 관광객의 혼잡기대, 혼잡지각,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우도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논총, 31(3), 121-140.(題目和訳:島嶼地域観光客の混雑期待、混雑認知、満足度および行動意図関係) | 미소장 |
13 | 이진의 강신겸(2013). IPA기법을 활용한 섬 생태관광지 매력요인 분석. 한국도서연구, 25(2), 63-82(題目和訳:IPAを活用した島生態観光地魅力要因分析) | 미소장 |
14 | 최용복 부창산 김민철(2012). 도서 관광지의 선택속성, 서비스 가치, 만족도 및 행동의도 관계 연구: 추자도를 대상으로. 수산해양교육연구, 24(3), 406-415. (題目和訳:島嶼観光地の選択属性、サービス価値、満足度および行動意図関係研究) | 미소장 |
15 | 제주특별자치도. 공영관광지 방문객 통계 현황. | 미소장 |
16 | IBS 보도자료(2019.05.10.) 신음하는 우도)대규모 관광개발사업...수용 가능한가. | 미소장 |
17 | KBS 보도자료(2020.08.13.) 우도에 축구장 7개 규모 리조트가...“마을회 7억 받기로” | 미소장 |
18 | 서울신문 보도자료(2020.10.08.) 자연 보러 갔는데 대형 리조트가 떡하니...제주섬 난개발 축소판 ‘우도. | 미소장 |
19 | 제주의 소리 보도자료(2020.07.27.) ‘제주 우도는 지금 공사 중’쿵쾅쿵쾅...과잉관광 잇단 개발사업에 시름. | 미소장 |
20 | 한겨레 보도자료(2020.07.27.) 제주도, 비자림로 이어 우도 앞바다도 ‘바닷속 전망대’로 훼손. | 미소장 |
21 | 헤드라인 제주 보도자료(2020.07.25.) “제주도 우도를 지켜주세요”...해중전망사업반대 국민청원. | 미소장 |
22 | Butler, R. (Ed.). (2006). The Tourism Area Life Cycle (Vol. 1). Channel View Publications. | 미소장 |
23 | Hensher, D. A., Rose, J. M. & Greene, W. H.(2005). Applied Choice Analysis: A Prim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Lanza, A. & Pigliaru, F. (2000). Why are Tourism Countries Small and Fast-Growing?. In Tourism and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Springer, Boston, MA. | 미소장 |
25 | Lockhart, D. & Drakakis-Smith, D. W. (Eds.). (1997). Island Tourism: Trends and Prospects. Thomson Learning. | 미소장 |
26 | Poon, A. (1993). Tourism, Technology and Competitive Strategies. CAB International. | 미소장 |
27 | Thomas-Hope, E. M.(Ed.).(1998). Solid Waste Management: Critical Issues for Developing Countries. Canoe Press. | 미소장 |
28 | Baum, T. (1997). The Fascination of Islands: A Tourist Perspective. Island Tourism: Trends and Prospects, 21-35. | 미소장 |
29 | Blamey, R., Gordon, J. & Chapman, R. (1999). Choice Modelling: Assessing the Environmental Values of Water Supply Options. Australi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43(3), 337-357. | 미소장 |
30 | Briguglio, L. & Briguglio, M.(2008). Sustainable Tourism in Small Island Jurisdic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Malta.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1), 29-39. | 미소장 |
31 | Britton, S. G. (1982). The Political Economy of Tourism in the Third World. Annals of tourism research, 9(3), 331-358. | 미소장 |
32 | Britton, S. (1987). Tourism in Pacific Island States: Constraints and Opportunities. Ambiguous Alternative: Tourism in Small Developing Countries, 113-135. | 미소장 |
33 | Campling, L. & Rosalie, M. (2006). Sustaining Social Development in a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 The Case of Seychelles. Sustainable Development, 14(2), 115-125. | 미소장 |
34 | Cheng, T. M., C. Wu, H. & Huang, L. M. (2013). The Influence of Place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for Island Tourism in Penghu, Taiwan.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1(8), 1166-1187. | 미소장 |
35 | Choi, A. S., Ritchie, B. W., Papandrea, F. & Bennett, J. (2010). Economic 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Sites: A Choice Modeling Approach. Tourism management, 31(2), 213-220. | 미소장 |
36 | Cross, M. & Nutley, S. (1999). Insularity and Accessibility: The Small Island Communities of Western Ireland. Journal of Rural Studies, 15(3), 317-330. | 미소장 |
37 | Dodds, R., Graci, S. R. & Holmes, M. (2010). Does the Tourist Care? A Comparison of Tourists in Koh Phi Phi, Thailand and Gili Trawangan, Indonesia.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18(2), 207-222. | 미소장 |
38 | Farrell, B. H. (1986). Cooperative Tourism and The Coastal Zone. Coastal Management, 14(1-2), 113-130. | 미소장 |
39 | Gladstone, W., Curley, B. & Shokri, M. R. (2013). Environmental Impacts of Tourism in The Gulf and The Red Sea. Marine pollution bulletin, 72(2), 375-388. | 미소장 |
40 | Harrison, D. (2003). Themes in Pacific Island Tourism. Pacific Island Tourism, 1-23. | 미소장 |
41 | Jayawardena, C. (2002). Mastering Caribbean Tourism.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 미소장 |
42 | Kassean, H. & Gassita, R. (2013). Exploring Tourists Push and Pull Motivations to Visit Mauritius as A Tourist Destination. African Journal of Hospitality, Tourism and Leisure, 2(3), 1-13. | 미소장 |
43 | Kim, S. & Kim, N. (2020). A Social Cost-Benefit Analysis of the Vehicle Restriction Policy for Reducing Overtourism in U-do, Korea. Sustainability, 12(2), 612. | 미소장 |
44 | Kurniawan, F., Adrianto, L., Bengen, D. G. & Prasetyo, L. B. (2016). Patterns of Landscape Change on Small Islands: A Case of Gili Matra Islands, Marine Tourism Park, Indonesia.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7, 553-559. | 미소장 |
45 | Kurniawan, F., Adrianto, L., Bengen, D. G. & Prasetyo, L. B. (2019). The Social-Ecological Status of Small Islands: An Evaluation of Island Tourism Destination Management in Indonesia.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31, 136-144. | 미소장 |
46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 미소장 |
47 | Louviere, J. J., Flynn, T. N. & Carson, R. T. (2010). Discrete Choice Experiments are Not Conjoint Analysis. Journal of Choice Modelling, 3(3), 57-72. | 미소장 |
48 | Lyu, S. O. (2017). Which Accessible Travel Products are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ing to Pay More? A Choice Experiment. Tourism Management, 59, 404-412. | 미소장 |
49 | Mansperger, M. (1993). The Impacts of Tourism in Small-Scale Societies: An Illustration on Yap. Tok Blong SPPF, 43, 19-21. | 미소장 |
50 | McElroy, J. L. (2003). Tourism Development in Small Islands Across the World.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85(4), 231-242. | 미소장 |
51 | Naidoo, P., Ramseook-Munhurrun, P. & Durbarry, R. (2012). The Brand Image of A Small Island Destination. Tourismos, 7(2), 261-278. | 미소장 |
52 | Scheyvens, R. & Momsen, J. (2008). Tourism and Poverty Reduction: Issues for Small Island States. Tourism Geographies, 10(1), 22-41. | 미소장 |
53 | Semrad, K. & Rivera, M. A. (2015). A Destination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The Comparison of Tourists and Stakeholders’ Perceptions: The Case of Curaçao. J Tourism Hospit, 4(171), 2. | 미소장 |
54 | Tang, Z. (2015). An Integrated Approach to Evaluating the Coupling Coordination between Tourism and The Environment. Tourism Management, 46, 11-19. | 미소장 |
55 | Uyarra, M. C., Cote, I. M., Gill, J. A., Tinch, R. R., Viner, D. & Watkinson, A. R. (2005). Island-Specific Preferences of Tourists for Environmental Features: Implications of Climate Change for Tourism-Dependent Stat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32(1), 11-19. | 미소장 |
56 | Wilkinson, P. F. (1987). Tourism in Small Island Nations: A Fragile Dependence. Leisure Studies, 6(2), 127-146. | 미소장 |
57 | Brau, R., Lanza, A. & Pigliaru, F. (2003). How Fast are the Tourism Countries Growing? The Cross-Country Evidence. | 미소장 |
58 | Shareef, R. (2004). Country Risk Ratings of Small Island Tourism Economie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