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different background music on brain forebrain function during playing computer games using electroencephalography in e-sport = E-스포츠 컴퓨터 게임을 하는 동안 배경 음악이 전뇌 기능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
Lu Yunhang, Lee, Dal-Won, Song Zhengxue
|
p. 717-727
|
|
|
|
Perilipin 단백질과 근육 내 중성지방의 상호작용이 PPARβ/δ발현에 미치는 효과 = Interaction of perilipin protein and intramuscular triglyceride on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 beta/delta
|
허성훈, 안경준, 이종삼
|
p. 729-739
|
|
|
|
고지방식이 섭취시 그라비올라 음용과 수영 운동이 지방대사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graviola(Annona muricata) ingestion and swimming exercise on lipid metabolism and gut microbiome
|
박정욱, 서효빈, 권태동
|
p. 741-755
|
|
|
|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sleep duration and incidence risk of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 한국성인의 신체활동과 수면 및 이상지질혈증 발생의 연관성 : 한국유전체역학조사연구(2001-2012) /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2001-2012)
|
Kwon, Hyun-Jin, Maeng, Hyok-Ju, Kim, Ki-Jeong
|
p. 757-771
|
|
|
|
고강도 단시간운동에서 Active Rest의 형태에 따른 Lactate변화가 RPE에 의한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lactate change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e rest in high-intensity short-time exercise on exercise continuity by RPE
|
서영환
|
p. 773-779
|
|
|
|
최대운동 후 처치유형에 따른 젖산 및 회복시 심박수의 변화 = Change of lactate acid and recovery heart rate pursuant t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after maximum exercise
|
송혜리, 정승삼, 양윤권
|
p. 781-789
|
|
|
|
홍성군민의 건강체력 소양함양을 위한 교육 컨텐츠 개발 = Hongseong-gun health & fitness contents development for literacy education
|
신승환, 이민환
|
p. 791-802
|
|
|
|
그라비올라 음용과 수영 운동이 체중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graviola(Annona muricata) ingestion and swimming exercise on body weight and blood [l]ipid in rat
|
박정욱, 서효빈, 김용진, 남주옥, 최승식, 김도헌, 권천달, 전병덕, 노미라, 권태동
|
p. 803-813
|
|
|
|
링 종목 Jonasson 동작의 운동학적 연구 = Kinematic study of ring Jonasson motion
|
송주호, 박종훈
|
p. 815-825
|
|
|
|
여자 양궁선수들의 슛 성공유무에 따른 균형능력 비교 = Comparison analysis of balance ability in female archery athletes according to the success and failure of shoot
|
최동성
|
p. 827-835
|
|
|
|
용무도 앞굴러치기 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 Kinetics analysis of Apgulleochigi motion in Yongmoodo
|
임재오, 신의수, 이광무, 이재훈
|
p. 837-846
|
|
|
|
유소년 축구선수의 킥 동작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 Biomechan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kick motion of adolescent football athletes
|
이종훈, 전윤걸
|
p. 847-857
|
|
|
|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중 간헐적 경부 스트레칭 운동이 근골격계 건강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intermittent neck stretching exercise on musculoskeletal health risk factors during the smartphone use in adolescents
|
신의수
|
p. 859-870
|
|
|
|
투포환 글라이드와 로테이션 기술 간 하지 근활성도 비교 분석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lower limb muscles activity between shot put glide and rotation technique
|
양수연, 최상협
|
p. 871-880
|
|
|
|
국가대표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스케이팅 능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mparison of skating abilities between U18 team and adult Korean men's national ice hockey team players
|
이창영, 고인태
|
p. 881-888
|
|
|
|
기록과 순위 등급을 이용한 KLPGA 연도별 경기력 변화분석 = KLPGA performance analysis by year using records and ranking grades
|
민대기
|
p. 889-896
|
|
|
|
스쿼시 코트 특성에 따른 세계 프로스쿼시 남자선수의 경기내용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men's professional squash players' games according to the squash court characteristics
|
송시열, 최옥진
|
p. 897-906
|
|
|
|
엘리트 여자선수의 FMS™ 측정을 통한 부상 위험도 예측 = Predicting the risk of injury through FMS™ measurement of elite female athletes
|
이동률, 성준영, 이형록, 오태웅
|
p. 907-917
|
|
|
|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 체육수업 운동시간과 자아건강평가 및 우울감의 종단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time of physical education, self-health assessment, and depression in adolescent utiliz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김세형
|
p. 919-933
|
|
|
|
중년여성의 12주간 수영참여가 건강체력, 혈중지질 및 스트레스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12-week of swimming participation on health physical fitness, blood lipid and stress hormones in middle-aged women
|
이보애, 심규식, 김종원
|
p. 935-946
|
|
|
|
중학생의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에 대한 인식 차이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안다훈, 최옥진
|
p. 947-956
|
|
|
|
국가대표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Breakout 전술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breakout strategies in dump for improving an athletic performance of men's national ice hockey players
|
이창영, 고인태
|
p. 957-966
|
|
|
|
민족 간 신장 차이와 Bergmann법칙의 적용 가능성 = Applicability of Bergmann's rule and racial stature difference
|
藤井勝紀, 김준동
|
p. 967-974
|
|
|
|
12주간 복합운동이 성인 비만남성의 신체조성, 혈압, 인슐린저항성 및 CRP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12-week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insulin resistance and CRP in adult obese men
|
최석민, 오덕자
|
p. 975-984
|
|
|
|
8주간의 등허리부 저항성 운동이 목뼈 척추원반 탈출증 여성 환자의 목 장애지수와 척추 정렬, 정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8-weeks of thoracolumbar resistance exercise on neck disability index(NDI), spinal alignment and static balance ability in patient with cervical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c
|
김원문, 이장규
|
p. 985-994
|
|
|
|
TRX 운동이 여성노인의 등속성 근력 및 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 TRX exercise on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living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
최봉길, 윤형기
|
p. 995-1002
|
|
|
|
규칙적인 태권도 프로그램 참여가 중년여성 근로자의 심뇌혈관 위험인자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regular taekwondo program participation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factor,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worker
|
정민기
|
p. 1003-1013
|
|
|
|
단기간 교각 운동 적용이 요부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hort-term bridge exercise on back isokinetic muscle functions
|
이석호, 김강세, 박기덕
|
p. 1015-1022
|
|
|
|
대학야구선수의 햄스트링의 유연성 평가를 위한 FMS ASLR 검사와 능동적 다리올리기 검사의 타당성 = The validity of the FMS ASLR test and the active leg raising test to assess the flexibility of the hamstring muscles of college baseball players
|
최원호, 김병곤, 임승길
|
p. 1023-1030
|
|
|
|
동적 신경근 안정화 운동 적용에 따른 기계적 목 통증 사무직 여성의 통증, 목뼈 위치각 및 근력의 차이 = The difference in pain, cervical position angle, and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ynamic neuromuscular stabilization training in sedentary female worker with mechanical neck pain
|
김찬양, 권중원, 이진욱
|
p. 1031-1044
|
|
|
|
지체장애인 볼링동호인의 영양보조물 섭취실태와 도핑인식에 관한 연구 = The effects of life sports on the successful aging of older people in China
|
이상일, 김현륜
|
p. 1045-1055
|
|
|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순발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explosive muscular strength
|
최현호, 이동준
|
p. 1057-1066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