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국제관계학에서 상위정치와 하위정치의 상호작용은 국제정치경제 혹은 세계정치경제라는 영역에서 폭 넓게 다루어져 왔다. 그렇지만 통상, 금융 그리고 투자와 원조에 대한 연구에 비해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인 ‘안보’와 ‘경제’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이론적, 역사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그다지 풍부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에 많이 언급되는 ‘지경학’이라는 화두의 등장은 경제와 안보 사이의 상호작용을 본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글은 개념적 검토와 역사적 고찰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부분에서는 지경학에 대한 논쟁의 시작과 전개 양상을 서술하고, 이 논쟁의 내용을 패러다임 내 논쟁과 패러다임 간 논쟁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에 논의를 정리할 수 있는 적절한 분석틀을 모색해 볼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 분석틀을 냉전, 탈냉전/세계화, 그리고 탈·탈냉전의 시기에 각각 적용하여 그 특징적 양상을 관찰하고, 현재의 시기에 있어서의 이론적, 정책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지경학 논의는 학문적 연구와 더불어 실천의 대상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 국가의 구체적인 정책적 선택에 앞서 그 대상에 대한 이론적, 역사적 고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은 지경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글은 기본적으로 지경학을 안보와 경제가 수평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열린(open-ended) 과정으로 보고, 이에 대한 경제적 국가책략 수행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회-지배인(Council-Manager) 모델은 한국 지방정치에 적실한 정부형태인가? : Will council-manager model be a suitable government form for local politics in South Korea? : a critical review on reformation of local government structure /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다양화에 관한 비판적 검토 김한나 p. 1-34

보장과 통제 : Assurance and control : trade-off in the ROK-U.S. alliance from the case of 1987 strategic trade MOU / 1987년 수출통제 양해각서로 본 한미동맹의 교환 메커니즘 이재원 p. 63-99

중국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인식 및 정책 : China's perception and policy on global health governance : making challenges into opportunities for realizing China dream / 중국몽(中國夢) 실현 과정 속 '도전'을 '기회'로 만들기 서정경 p. 127-157

지경학의 시대 : The age of geoeconomics : horizontal interactions of agent/structure and security/economy / 주체/구조와 안보/경제의 수평적 상호작용 신욱희 p. 35-61

대중문화, 소프트파워, 역사에 대한 기억 : The role of Japanese popular culture in American citizens' attitudes toward Japan's war apologies / 일본 대중문화와 일본 정부 과거사 사죄에 관한 미국 국민의 정치인식 장기영 p. 101-126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선주. 2020, “미국의 자유주의 패권질서의 지속가능성: 국내정치 필요조건과 포스트-코로나 국제질서에 함의,” 『정책연구시리즈』, 2020-18 (서울: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미소장
2 김동기. 2020, 『지정학의 힘: 시파워와 랜드파워의 세계사』 (파주: 아카넷). 미소장
3 김치욱. 2020, “세계금융위기와 미국의 국제경제책략: 지경학 시각,” 『국가전략』, 26권 1호: 5-29. 미소장
4 리처드 하스(Richard Haass) 저, 김성훈 역. 2017, 『혼돈의 세계』 (서울: 매일경제신문사). 미소장
5 민병원. 2021, “국제정치의 거시적 이해와 시스템이론,” 박건영·신욱희 편, 『국제정치이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미소장
6 신욱희. 2021, “구성주의,” 박건영·신욱희 편, 『국제정치이론』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미소장
7 신혜림. 2021, “TSMC 회장 경고 “반도체 대란 주범 미중갈등…생산능력 수요보다 커”,” 『매일경제』, 3월 31일,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03/308414/ (2021/05/01). 미소장
8 유재광. 2018, “트럼프 행정부의 대 동아시아 정책 전망: 현실주의적 재조율 시각을 중심으로,” 이승주 편, 『일대일로의 국제정치』 (서울: 명인문화사). 미소장
9 윤대엽. 2019, “아베 내각의 경제적 국가책략: 다자적 헤징, 경쟁적 관여, 전략적결속,” 『아태연구』, 26권 3호: 165-196. 미소장
10 이승주. 2015, “아시아 패러독스(Asia Paradox)를 넘어서: 경제적 상호의존과 제도화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6권 2호: 167-198. 미소장
11 이승주. 2017, “불확실성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 『국제정치논총』, 57권 4호: 237-271. 미소장
12 Acheson, Dean. 1969, Present at the Creation: My Years in the State Department (New York, NY: W. W. Norton and Company). 미소장
13 Adelman, Jeremy. 2013, Worldly Philosopher: The Odyssey of Albert O. Hirschma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14 Bergsten, C. Fred. 1992, “The Primacy of Economics,” Foreign Policy, Vol. 87: 3-24. 미소장
15 Blackwill, Robert and Jennifer Harris. 2016, War by Other Means: Geoeconomics and Statecraft (Cambridge, MA: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16 Buzan, Barry. 1997, “Rethinking Security after the Cold War,” Cooperation and Conflict, Vol. 32, No. 1: 5-28. 미소장
17 Cerny, Philip G. 1993, “Plurilateralism: 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Functional Conflict in the Post-Cold War World Order,” Millennium: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22, No. 1: 27-51. 미소장
18 Copeland, Dale. 2015,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War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19 Cowen, Deborah and Neil Smith. 2009, “After Geopolitics? From the Geopolitical Social to Geoeconomics,” Antipode, Vol. 41, No. 1: 22-48. 미소장
20 Csurgai, Gyula. 2018,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Geoeconomics in Power Rivalri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Geopolitics, Vol. 23, No. 1: 38-46. 미소장
21 Evans, Peter, Dietrich Rueschemeyer, and Evelyne Huber Stephens. 1985, States versus Markets in the World System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22 Friedman, George and Meredith LeBard. 1991, The Coming War with Japan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미소장
23 Gaddis, John Lewis. 1987, The Long Peace: Inquiries into the History of the Cold War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4 Haass, Richard. 2019, “Haass: Post-Cold War Order Has “Run Its Course,” What Will Replace It Is in Doubt,” International Peace Institute(IPI), February 20, https://www.ipinst.org/2019/02/richard-haass-world-in-disarray (2021/05/01). 미소장
25 Hirschman, Albert. 1945, National Power and the Structure of Foreign Trade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26 Hsiung, James. 2009, “The Age of Geoeconomics, China’s Global Role, and Prospects of Cross-Strait Integration,” Journal of Chinese Political Science, Vol. 14:113-133. 미소장
27 Jung, Sung Chul, Jaehyon Lee, and Ji-Yong Lee. 2021,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US Alliance Network Expandability: Asian Middle Power’s Positions on Sino-US Geostrategic Competition in Indo-Pacific Region,”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Vol. 30, No. 127: 53-68. 미소장
28 Kapstein, Ethan. 1991, The Political Economy of National Security: A Global Perspective (Columbia, S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미소장
29 Keohane, Robert. 1984,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30 Kim, Dong Jung. 2019, “The Perils of Geoeconomics,” The Washington Quarterly, Vol. 42, No. 1: 153-170. 미소장
31 Koo, Min Gyo. 2020, “The Hegemonic Competition in the Indo-Pacific Region and the Making of South Korea as a Middle Sea Power,”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 32, No. 1: 1-17. 미소장
32 Lake, David. 2018, “Economic Openness and Great Power Competition: Lessons for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he Chinese Journal of International Politics, Vol. 11, No. 3: 237-270. 미소장
33 Lee, Dongxin, Yang Yanlong, and Lee Sang-Man. 2021, “A Study on East Asian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Regional Cooperation under the Adjustment of Economic Globalization,”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Vol. 26, No. 2:159-191. 미소장
34 Lee, Seung-Ook, Joel Wainwright, and Jim Glassman. 2018, “Geopolitical Economy and the Production of Territory: The Case of US-China Geopoliticaleconomic Competition in Asia,” Environment and Planning A: Economy and Space, Vol. 50, No. 2: 416-436. 미소장
35 Luttwak, Edward. 1990, “From Geopolitics to Geo-economics: Logic of Conflict, Grammar of Commerce,” The National Interest, Vol. 20: 17-23. 미소장
36 Mastanduno, Michael. 2003, “The Strategy of Economic Engagement: Theory and Practice,” Edward Mansfield and Brian Pollins (eds.), Economic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Conflict: New Perspectives on an Enduring Debate (Ann Arbor, MI: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미소장
37 Morrissey, John. 2017, “Geoeconomics in the Long War,” Antipode, Vol. 49, No. S1:94-113. 미소장
38 Oye, Kenneth A. 1992, “Beyond Postwar Order and New World Order: American Foreign Policy in Transition,” Kenneth A. Oye, Robert J. Lieber and Donald S. Rothchild (eds.), Eagle in a New World: American Grand Strategy in the Post-Cold War Era (New York, NY: HarperCollins Publishers). 미소장
39 Posen, Adam. 2021, “The Price of Nostalgia: America’s Self-Defeating Economic Retreat,” Foreign Affairs, Vol. 100, No. 3. 미소장
40 Roberts, Anthea, Henrique Moraes, and Victor Ferguson. 2019, “Toward a Geoeconomic Order in International Trade and Investment,”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Vol. 22, No. 4: 655-676. 미소장
41 Rodrik, Dani and Stephen Walt. 2021, “How to Construct a New Global Order,” HKS Working Paper, No. RWP21-013. 미소장
42 Scholvin, Sören and Mikael Wigell. 2018, “Power Politics by Economic Means:Geoeconomics as an Analytical Approach and Foreign Policy Practice,”Comparative Strategy, Vol. 37, No. 1: 73-84. 미소장
43 Smith, Neil. 2003, American Empire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44 Sparke, Matthew. 1998, “From Geopolitics to Geoeconomics: Transnational State Effects in the Borderlands,” Geopolitics, Vol. 3, No. 2: 62-98. 미소장
45 Sparke, Matthew. 2007, “Geopolitical Fears, Geoeconomic Hopes, and the Responsibilities of Geograph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97, No. 2: 338-349. 미소장
46 Troxell, John. 2018, “Geoeconomics,” Military Review, Vol. 98, No. 1. 미소장
47 Vihma, Antto. 2018a, “Geoeconomic Analysis and the Limits of Critical Geopolitics: A New Engagement with Edward Luttwak.” Geopolitics, Vol. 23, No. 1: 1-21. 미소장
48 Vihma, Antto. 2018b, “Geoeconomics Defined and Redefined,” Geopolitics, Vol. 23, No. 1:47-49. 미소장
49 Wong, Audrye. 2021, “How Not to Win Allies and Influence Geopolitics: China’s Self-Defeating Economic Statecraft,” Foreign Affairs, Vol. 100, No. 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