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세기 후반의 두 음악극작품, 베른트 알로이스 침머만(Bernd Alois Zimmermann, 1918-1970)의 <군인들(Die Soldaten)>(1965)과 한스 첸더(Hans Zender, 1936-2019)의 <스티븐 클라이맥스(Stephen Climax)>(1979-1984)는 ‘시간’에 대한 새로운 태도와 사고를 보여준다. 즉 과거에서 파생되어 미래로 뻗어나가는 일직선의 시간, 혹은 진보와 발전의 개념이 내재된 한 방향으로서의 시간을 바탕으로 하는 과거의 극작품들과 달리, 이들은 근본적인 시간 개념을 뒤엎고자 예술의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는 작곡가의 태도를 드러내고 시간을 지각하고 인식하고 경험하는 동시대인들의 변화된 사유를 반영하고 있다. 침머만은 과거와 현재, 미래가 원을 이루며 서로 침투하고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는 ‘공 모양의 시간(Kugelgestalt der Zeit)’ 개념을 바탕으로 오페라 <군인들>을 작곡하였으며, 이 작품은 시간의 ‘현존’으로서 현재에 대한 감각적 체현을 가능하게 한다. 첸더는 침머만의 영향을 바탕으로 시간의 다층성을 ‘서로 상반되는 감정들의 동시성(Simultaneität der konträren Affekte)’으로 확장하였는데, 그의 <스티븐 클라이맥스>는 20세기 후반 비합리적이고 불연속적이며 모순된 현대 우리 사회의 탈현대성의 자기반영으로 읽을 수 있다.

Two Operas from the late 20th century - Die Soldaten(1965) by Bernd Alois Zimmermann(1918-1970) and Stephen Climax(1979-1984) by Hans Zender(1936-2019) show a new attitude towards and a new way of thinking about ‘time’. These two pieces approach the concept of time differently to previous pieces in music theatre, in which time is based on a straight line of time derived from the past and extending to the future or based on the concept of progress and development which is inherent. They reverse the fundamental concept of time, reveal the composer's attitude to attempting new forms of art, and reflect the changing thoughts of contemporaries for perceiving, recognizing, and experiencing time. Zimmermann's opera Die Soldaten based on the concept of ‘Kugelgestalt der Zeit’, manifests the sensual embodiment of the present as the ‘existence’ of time. Zender extended the multilayered nature of time to ‘Simultaneität der konträren Affekte’ in his Stephen Climax.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소리, 생태, 그리고 생태음악학 = Sound, ecology, and ecomusicology 손민정 p. 5-27

버크민스터 풀러의 유기체주의와 디자인 경제성 : R. Buckminster Fuller’s organicism and design economy :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to sustainability and its meanings in design / 지속가능성의 철학적 배경 및 디자인적 의미 김정혜 p. 29-49

인류세의 (비)가시성 : (In)visuality of the anthropocene : exploring the concept of Umwelt and its application to In the Eyes of the Animal / 윅스퀼의 환경세계와 머시맬로우레이저피스트의 <동물의 눈으로>를 중심으로 심효원 p. 51-74

인류세와 작곡의 종말, 한국음악 = The anthropocene, the end of composition, and Korean music 라예송 p. 75-89

네트워크와 원시성 : Network and the primitive : visionary planning toward the year 2000 in Korea by Human Environmental Development Institute(HEDI) / 1970년 인간환경계획연구소의 ‘한국 2000년 국토공간구상’ 신정훈 p. 91-113

서예의 음양원리와 한글 바탕체 공간원리의 관계성 연구 = Yin and Yang in calligraphy and the spatial principles of the Hangul Batang typeface 한기현, 안병학 p. 115-139

정재호(1971-)의 회화, 건축과 아카이브의 기억술 = The art of recollecting : Jae Ho Jung’s architectural and archival paintings 최석원 p. 141-166

오윤 예술의 모티브 : Motivation of Oh Yoon art : skulls and goblin(Dokebi) / 해골과 도깨비 배종민 p. 167-192

서사극에 기반한 연극치료의 거리두기 연구 = A study on the distancing in drama therapy based on the epic theater 이선형 p. 193-212

1960년대 중후반 한국 '실기영화' 사이클의 형성과 전개 =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true story film' cycle in South Korea in the mid to late 1960s 정영권 p. 213-233

<이날치 밴드 수궁가>의 성과와 과제 = Inalchi Sugungga : achievements and next steps 김영주 p. 235-255

20세기 후반 독일 음악극에 나타난 새로운 '시간성' = The new 'temporality' in German music theatre in the late 20th century 강지영 p. 257-278

아이슬러 <피아노 소나타 2번, Op. 6>에서의 음렬적 사고와 변주 양상 = The twelve-tone and variation techniques in Eisler's Piano Sonata No. 2 박지영 p. 279-302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비를 위한 초등학교 다문화 음악교육에서의 온라인 수업 방안 = Preparing the post-Corona era : online lesson plans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홍주희, 김유희 p. 303-327

평생예술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 A needs assessment for continuing arts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나영, 신정원, 고용수 p. 329-352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ugustinus, Aurelius. 성염 옮김.『고백록』. 파주: 경세원, 2016. 미소장
2 Barthélemy-Madaule, Madeleine. 류종렬 옮김.『처음 읽는 베르그송』. 파주: 도서출판 동녘, 2016. 미소장
3 Heidegger, Martin. 전양범 옮김.『존재와 시간』. 서울: 동서문화사, 2016. 미소장
4 Husserl, Edmund. Texte zur Phfänomenologie des inneren Zeitbewusstseins 1893-1917. Rudolf Bernet, ed. Hamburg: Meiner, 1985. 미소장
5 Konold, Wulf. Bernd Alois Zimmermann. Der Komponist und sein Werk. Köln: DuMont Buchverlag, 1986. 미소장
6 Zender, Hans. Die Sinne Denken. Texte zur Musik 1975-2003. Jörn Peter Hiekel, ed. Wiesbaden u.a.: Breitkopf & Härtel, 2004. 미소장
7 Zimmermann, Bernd Alois. Intervall und Zeit. V. C. Bitter, ed. Mainz: Wolke Verlag, 1974. 미소장
8 강서희. 「침머만의 오페라 <군인들>에서 시간성을 표현하기 위한 인용기법에 대한 연구」.『음악논단』39집.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https://doi.org/10.36944/JSPM.2018.04.39.1. 미소장
9 박종원. 「베르그손 철학에 있어서 의식의 의미」.『철학연구』59집. 철학연구회, 2002. 미소장
10 오희숙. 「음악적 시간성의 변화에 대한 미학적 연구 - 20세기 후반 이후 음악에 나타난 시간성 개념을 중심으로」.『음악과 민족』49집. 민족음악학회, 2015. 미소장
11 조현수. 「베르그손 철학에서 시간과 공간의 관계와 형이상학의 과제 – 베르그손 철학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시론(1)」.『철학』91집. 한국철학회, 2007. 미소장
12 홍경실. 「앙리 베르그송의 시간철학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철학과 현상학 연구』17집. 한국현상학회, 2001. 미소장
13 Denhoff, Michael. “Stille und Umkehr. Betrachtungen zum Phänomen Zeit.” in Musik Texte 24, 1988. 미소장
14 Gruhn, Wilfried. “Integrale Komposition. Zu Bernd Alois Zimmermanns Pluralismus -Begriff.” in Archiv für Musikwissenschaft 4, 1983. https://doi.org/10.2307/930706. 미소장
15 Herbort, Heinz Josef. “Bernd Alois Zimmermann: Die Soldaten.” in Musik und Bildung 3, 1969. 미소장
16 Hiekel, Jörn Peter. “Orientierungsversuche in unübersichtlichen Zeiten.” in Orientierungen. Wege im Pluralismus der Gegenwartsmusik. Mainz: SCHOTT, 2007. 미소장
17 Kang, Jiyoung. “Der komplexe Pluralismus in den Musiktheaterwerken Hans Zenders. Experimentierraum für den produktiven Umgang mit historischen, multimedialen und kulturellen Vielfalten.” Ph.D. dissertation,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2019. 미소장
18 Lenz, Jakob Michael Reinhold. “Anmerkungen übers Theater.” in Werke und Schriften. Stuttgart: Goverts Verlag, 1966. 미소장
19 Losada, C. Catherine. “Betwee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Strands of Continuty in Collage Compositions by Rochberg, Berio and Zimmermann.” in Music Theory Spectrum 31(1), 2009. https://doi.org/10.1525/mts.2009.31.1.57. 미소장
20 Lütteken, Lausenz. “Wie die Zeit vergeht. Historische Anmerkungen zu einem Problem der Jüngeren Kompositionsgeschichte.” in Archiv für Musikwissenschaft 55(4), 1998. 미소장
21 Mauser, Siegfried. “DIe Erkenntnistheoretischen Grundlagen der Zimmermann’schen Zeitphilosophie.” in Zeitphilosophie und Klanggestalt. Hermann Beyer and Siegfried Mauser, ed. Mainz: SCHOTT, 1986. 미소장
22 Ruf, Wolfgang. “Musiktheater.”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6. Kassel: Bärenreiter, 1997. 미소장
23 Schmidt, Dörte. “Die Bilder werden neu entdeckt, aber als Zeichen, die der Vergangenheit angehören. Zenders Musiktheater und die Instanz der Geschichte.” in Hans Zender: Vielstimmig in sich. Archive zur Musik des 20. und 21. Jahrhunderts Bd. 12. Jörn Peter Hiekel, ed. Hofheim: wolke, 2008. 미소장
24 Wacker, Volker. “Hans Zenders Oper Stephen Climax. Betrachtungen und Aspekte.” in Musiktheater im 20. Jahrhundert. Hamburger Jahrbuch für Musikwissenschaft, 10. Constantin Floros, Hans Joachim Marx and Peter Petersen, ed. Laaber: Laaber-Verlag, 199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