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권, 민음사, 2011. |
미소장 |
2 |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권, 민음사, 2011. |
미소장 |
3 |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알에이치코리아, 2020. |
미소장 |
4 |
조선일보 |
미소장 |
5 |
신동아 |
미소장 |
6 |
김명인, 「한 허무주의자의 길 찾기」, 류철균 외, 이문열, 살림, 1993, |
미소장 |
7 |
김현, 「베끼기의 문학적 의미」, 이태동 외, 이문열,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
미소장 |
8 |
류철균, 「이문열 문학의 정통성과 현실주의」, 이문열, 살림, 1993. |
미소장 |
9 |
김개영,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의 전통 서사(양식)의 변용 양상」, 한국문학연구61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201-228면. |
미소장 |
10 |
김미정, 「황제를 위하여 와 “Pour l’empereur!” 사이」, 한국근대문학연구 17권 2호, 근대문학회, 2016, 141-172면. |
미소장 |
11 |
이노신,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이론에 대한 분석적 비평: 화용론과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영어어문교육 16권 4호,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223-238면. |
미소장 |
12 |
이창언, 「전두환 노태우 정권과 공안정치」, 내일을 여는 역사 53호 재단법인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13, 71-84면. |
미소장 |
13 |
심지은, 「러시아와 독일의 민담에 나타난 바보 인물의 비교연구」, 러시아연구 23권 1호,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127-154면. |
미소장 |
14 |
정재서,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에 대한 전통소설론적 접근-소설 문법의 다원화를 위하여」, 중국소설논총 7집, 한국중국소설학회, 1998, 11-25면.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