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목표이익 달성이 기업의 자기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 Consistency in meeting or beating earnings expectations and cost of equity capital 김현태, 이재형, 최영수 p. 1343-1369
온라인 여가활동, 심리적 안전감, 사회적 지지 그리고 직장행복 : Online leisure activities, psychological safety, social support and work happiness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 조절된 매개모형 정기백, 최석봉 p. 1371-1390
흡수역량과 경영성과의 관계에 대한 혁신유형의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ypes of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sorptive capacity and business performance 서은화 p. 1391-1417
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의 변화자기효능감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thical leaderhsip on change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최우재, 천미림, 유재미 p. 1419-1440

분배공정성이 내재적 동기부여, 직무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stributive justices on intrinsic motivation, job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 심리적 계약위반의 조절효과 양동민, 심덕섭 p. 1441-1464
긴급재난지원금의 소상공인 지원 효과 : Analysis of the effect of emergency disaster subsidy for small business : retail business-centric / 유통업 중심으로 문경준, 이창우, 한용희 p. 1465-1490
장기투자자의 포트폴리오선택과 ESG투자의 최적배분 요인분석 = The portfolio choice on long term investors and the factor analysis of ESG optimal investment 현상균, 이정석, 이준희 p. 1491-1504
서비스 종업원의 사회자본이 개인-환경 적합성과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f service employees on emotional labor : moderating effect of job complexity / 직무복잡성의 조절효과 이명성, 이승원, 한상린 p. 1505-1533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관계부처합동 (2020). 긴급재난지원금 사업지침(2차). 미소장
2 김미루․오윤해 (2020). 1차 긴급재난지원금 정책의효과와 시사점. 한국개발연구원. 미소장
3 김태근 (2020). 미 연방정부의 코로나19 팬더믹대응 정책에 대한 고찰: 현금지원정책(Economic Impact Payment)을 중심으로. 국제사회보장리뷰, 13, 21-35. 미소장
4 남재현․이래혁 (2021).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이가구소비에 미치는 영향: 소득 계층별 비교를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8(1), 63-95. 미소장
5 박성욱 (2020). 주요국의 코로나19 위기 정책대응 및시사점. 한국금융연구원. 미소장
6 박연주 (2020). 제로페이(Zero-pay)인식이 사용의향및사용자확대 예측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미소장
7 박희석․반정화․정현철․김수진 (2020). 코로나19사태가 서울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소상공인및 관광업 대응방안. 서울연구원. 미소장
8 배영임 (2020). 코로나19, 언택트사회를 가속화하다. 이슈&진단, 416호, 경기연구원. 미소장
9 백유영 (2019). 공적 및 사적 이전소득이 한국가계의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행정전문대학원. 미소장
10 신기동․유민지 (2020). 코로나19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전략. 이슈&진단, 425호, 경기연구원. 미소장
11 안효상․서정희 (2020). 코로나19 이후 불확실성 시대의 새로운 소득보장. 산업노동연구, 26(3), 63-118. 미소장
12 이관후 (2020). 긴급재난지원금의 의미와 평가: 정책의 실효성과 지자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경남발전, 2020년4월, 46-55. 미소장
13 이금열 (2015). 국내가구의 소득 구분에 따른 주거점유형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대학원. 미소장
14 이민정․김양중․송민정 (2020). 재난지원금이 소상공인 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 소상공인긴급생활안정자금을 사례로. 충남연구, 4(1), 71-89. 미소장
15 이승주 (2020). 기본소득의 소득분배를 통한 소비효과 예측. 한국행정연구원. 미소장
16 이지은 (2011). 한국 가계의 이전소득이 소비지출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석사학위논문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7 이진표 (2017). 메르스가 대형마트 매출액에 미친 영향 분석: A대형마트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미소장
18 이찬경 (2019). 신용카드 이용행태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연구: 부가서비스 요율 분석방법론을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이철성․김승희․김영기 (2018). 온누리상품권과 신용카드가 전통시장내 소상공인들의 성과에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21(2), 77-86. 미소장
20 이태석․김미루․오윤해․이영욱․권형준․이승은․이지현․한승희․한영은 (2020).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관한연구Ⅱ. 한구개발연구원. 미소장
21 이홍상 (2021). 소상공인 사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미소장
22 임동준 (2021). 코로나19사태가 한국식품시장에 미친영향: 식품 유통업계 구매 판매 동향을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3 임태경 (2020). 준실험설계에 의한 코로나19 지원정책의 지원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위한 직접지원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3), 27-46. 미소장
24 장백산 (2020). 청년가구의 소득불확실성이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일반대학원. 미소장
25 장정재 (2020). 중국․홍콩․대만의 코로나 대응 경기부양과 시사점. 정책포커스, 1-12. 미소장
26 조재현 (2015). 유동성제약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항상소득과 일시적소득 소비탄력성의 비교 검증.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7 통계청, 한국은행, 소상공인진흥공단. 국내경제심리지수,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 미소장
28 한국금융연구원 (2020). 일본정부, 코로나19 대응 사상 최대 규모 긴급 경제 대책 마련. 주간금융브리프, 29(10), 25-27. 미소장
29 행정안전부 (2020). 정부 ’긴급재난지원금’ 전국2, 216만 가구에 14.2, 357억원 지급, 행정안전부, 2020.9.23일 보도자료. 미소장
30 홍민기 (2020). 코로나19와 긴급재난지원금이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월간노동리뷰, 12월호. 미소장
31 Abadie, A (2005). Semiparametric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es. Review of Economic Studies, 72(1), 1-19. 미소장
32 Friedman, M. (1957).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Princeton. New Jersey :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33 Modigliani, R., & Brumberg, R. (1962). Utility analysis and the consumption function: An introduction of cross-section data, In post-keynesian economics, K. Kuribara (Ed.), 388-437. New Brunswick, New Jersey : Rutgers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