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19)는 2019년 말에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세계로 전파된 대유행을 발생시켰다. 코로나19의 원인 병원체는 SARS 바이러스와 계통학적으로 유사한 신종바이러스로 밝혀 졌기에 SARS-CoV-2로 명명되었다. 코로나19의 증상은 비특이적이고, 환자뿐만 아니라 무증상 감염자에 의한 전파가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호흡기 검체에서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이 진단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 초기에는 신속하고 정확한 진 단을 통하여 감염자를 감별하고 적절한 격리 및 치료 등의 대처가 질병 확산 예방에 중요했다.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에 대해 간략 한 문헌 고찰과 함께 대한진단검사의학회가 유관 학회, 산업계, 정 부 등의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정확한 분자진단검사법을 조기에 전국적으로 정착시킨 과정과 경험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originated in Wuhan, China, at the end of 2019. The cause of COVID-19 is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a novel virus phylogenetically similar to the SARS virus. The symptoms of COVID-19 are non-specific, and transmission of SARS-CoV-2 can occur through contact with infected persons as well as asymptomatic carriers. Therefore, it is vital to diagnose COVID-19 by detecting the virus in respiratory samples. In the early period of the COVID-19 outbreak, infected people were identified through a rapid and accurate diagnosis. Accordingly, an initial response, such as appropriate quarantine and treatment, was critical in preventing the spread of the disease. This report briefly reviews the literature on COVID-19 and shares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for the early establishment of molecular diagnostic testing with the cooperation of stakehold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코로나19 판데믹 사태에서 대한진단검사의학회의 초기 대응 현황 = Initial response of the Korean Society for Laboratory Medicine to the COVID-19 pandemic 윤승규, 고대현, 김영은, 노경호, 이재현, 조진희, 지미숙, 홍기호, 박형두, 권계철 p. 217-222

암의 진단 분류와 유전체 분석 =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genomic analyses of cancer 김종원 p. 223-229

혈액종양 질환에서 Y 염색체 소실의 의의 = Significance of Y chromosome loss in hematologic malignancies 곽민선, 정인화, 김위종, 최혜원, 한진영 p. 230-234

Comparison of three automated calcitonin immunoassays for evaluating the equivalence near the clinical decision point = 임상적 중요 농도에서의 동등성 평가를 위한 세 가지 칼시토닌 자동 면역검사의 비교 Junhyup Song, Yonggeun Cho, Sang-Guk Lee p. 235-244

간암 검진기관 현황조사 및 알파태아단백 검사 수행기관 대상 숙련도 분석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liver cancer screening institutions and proficiency of institutions that conduct alpha-fetoprotein tests 이종권, 김택수, 송정한, 이우인, 장다훈, 김열, 서민아, 전사일, 박형두 p. 245-253

Evaluation of matrix effect in body fluid chemistry on Roche Cobas 8000 c702 system = Roche Cobas 8000 c702 자동분석장비에서의 체액 검체 화학검사 기질효과 평가 Jong Do Seo, Chihchiao Li, Seunghwan Kim, Youngwon Nam, Joon Hee Lee, Kyunghoon Lee, Junghan Song, Sang Hoon Song p. 254-266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CareGENE™ zika virus reverse transcription-PCR kit for urine specimen = 소변 검체를 이용한 careGENE™ 지카바이러스 RT-PCR 키트의 성능평가 Gun Woo Kim, Borae G. Park, Seung Yeon Kwak, Woong Sik Jang, Jeounghun Nam, Chae Seung Lim p. 267-274

SARS-CoV-2 항체 검사를 위한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 항원을 이용한 ELISA의 분석적, 임상적 성능 평가 = Evaluation of clinical and analytical performance of a nucleocapsid protein antigen-based ELISA for detecting antibodies against SARS-CoV-2 서인범, 김하나, 김채은, 박종찬, 김수현, 민도식 p. 275-282

Evaluation of a targeted next-generation sequencing assay for BRCA mutation screening in clinical samples = 임상검체에서 BRCA 돌연변이를 검출하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의 임상적 효용성 평가 Man Jin Kim, Byeong Ju Song, Si Eun Kim, Chang Seon Lee, Ji-Eun Im, Ensel Oh, Keunsook Lee, Sung Im Cho, Kwang Joong Kim, Sung Sup Park, Moon-Woo Seong p. 283-289, [1-3]

Evaluation of the AccuPower® RV1 real-time RT-PCR kit and the AccuPower® RV1 multiplex kit for SARS-CoV-2 and influenza virus detection = AccuPower® RV1 Real-Time RT-PCR 키트와 AccuPower® RV1 Multiplex 키트의 SARS-CoV-2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에 대한 평가 Man Jin Kim, Hyunwoong Park, You La Jeon, Ho Seob Shin, Sung Im Cho, Boram Kim, Jee-Soo Lee, Sung Sup Park, Moon-Woo Seong p. 290-296

Detection of circulating tumor cells using three-dimensional and conditionally reprogrammed culture methods = 삼차원 조건적 역분화 배양법을 이용한 순환종양세포의 검출 Cheongang Park, Young-Ju Jeong, Sung-Hwan Park, Dae-Dong Kim, Chang-Ho Jeon p. 297-304

Gastric signet ring cell carcinoma with metastasis to the bone and bone marrow in a patient with 12-year-disease-free interval and unusually long survival time = 12년의 무병기간과 드문 장기 생존기간을 보인 위암 환자에서 발견된 반지세포암종의 골과 골수 전이의 1예 Hyung Woo Kim, Mi Jin Gu, Jong Ho Lee p. 305-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