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준비교리는 청교도 특유의 회심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교리는 17세기 유럽의 많은 개혁파 신학자들이 공유하던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교리 속에 있는 인간의 역할에 관하여 많은 논쟁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청교도 뿐만 아니라 헤르만 비치우스와 같은 대륙 개혁파 신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청교도들의 준비교리와 비교할 때, 네덜란드 제2종교개혁 신학자들이 가진 준비교리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목적은 비치우스의 준비교리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준비가 인간의 공로적인 역사가 아니라 회심을 위하여 사람의 마음을 개간하는 하나님의 은혜로운 사역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청교도 준비교리가 비치우스가 제시하는 것과 몇가지 다른 점이 있어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는 이중적인 중생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는 신적인 생명이 영혼에 심겨지는 것이고, 둘째는 심겨진 생명이 나타나는 것이다. 첫 번째 의미의 중생에서 인간은 어떤 공헌도 하지 못한다. 또한 그는 구원얻는 믿음에 지성과 의지라는 두 개의 기능이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구원을 위해서는 이 둘이 반드시 갱신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러므로 지적인 변화는 언제나 중생 이후에 일어난다. 청교도들은 준비가 중생 혹은 회심 이전에 온다고 보았으나 비치우스는 자신의 이중 중생 개념으로 말미암아 그 동일한 과정이 첫 번째 중생 이후에 오며, 결국에는 두 번째 의미의 중생 과정 중에 일어나는 의지의 변화와 더불어 완성되는 구원얻는 믿음을 위한 준비가 된다고 보았다. 비치우스에 따르면, 이것은 전적으로 중생을 위해서 택자의 영혼에 행하시는 하나님의 사역이며, 이때 하나님은 택자들이 치명적인 죄를 범하지 않도록 방지하시거나 그들의 지성을 중생시키심으로 신적인 진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신다. 그러므로 비치우스의 이중적 준비 개념에는 좁은 의미의 중생을 위한 그 어떤 인간 편의 공로도 포함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doctrine of preparation, known as a distinctive Puritan understanding of conversion, was shared by other Reformed orthodox theologians. Nevertheless, it has been subjected to various controversies regarding human role for preparation. Although any study on other continental Reformed theologians would be helpful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tter, it is regretful that the Nadere Reformatie divines’ understanding of the issue was almost neglected. The goal of this essay is, therefore, to expound Witsius’s understanding of the preparation and to prove that this preparation is not human meritorious work, but God’s work for conversion. Moreover, the Puritan doctrine of preparation is not different in essence from Witsius’s, despite some seemingly different points. His idea of regeneration had two-fold meaning: the first moment of infusing divine life into a soul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infused life. For the former, the humanity can't contribute meritoriously. He believed that saving faith had two faculties, the intellect and the will, both of which must be renewed by the Holy Spirit. Thus, intellectual change always takes place after regeneration. Whereas the Puritans taught the preparation to come before regeneration, Witsius’s concept of regeneration made him regard the same process both as coming after the first sense of regeneration and eventually as preparation for saving faith completed with the change of the will. There is another preparation preceding the first regeneration. According to him, this is totally divine work on the souls of the elect for their regeneration by preventing the elect from committing fatal sin and helping them to understand divine truth by regenerating their intellect. Therefore, in his understanding of the double preparation concept, no appreciation of the human contribution to regeneration in its narrower sense was mad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요나서와 '하나님의 선교'(Mission of GOD)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n the book of Jonah and mission of GOD 김남일 p. 7-31

야고보서 5:14의 ἀσθενεῖ τις ἐν ὑμῖν ("너희 중에 병든 자가 있느냐") 해석문제 = The matter of interpretation of ἀσθενεῖ τις ἐν ὑμῖν ("Is any of you sick") in James 5:14 주기철 p. 33-69

기독교에 대한 초기 헬라-로마 지식층의 태도 : The attitude of early Graeco-Roman intellectuals toward Christianity : from Celsus' criticism of Jesus / 켈수스의 예수 비판을 중심으로 신민석 p. 71-103

천국에서의 영광을 바라보며 : Seeking heavenly glory : vainglory and almsgiving in John Chrysostom's thought / 구제와 헛된 영광에 대한 요한 크리소스톰의 사상 배정훈 p. 105-141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와 그리스도의 "온전한 순종" 문제 : The Westminster standards and Christ's "whole obedience" : a quest for a clue from Anthony Burgess'(1600-1664) True Doctrine of Justification / 안토니 버지스(Anthony Burgess, 1600-1664)의 『참된 칭의 교리』로부터 단초 찾기 권경철 p. 143-171

Double preparation in the soteriology of Herman Witsius(1636-1708) = 헤르만 비치우스의 구원론에 나타난 이중 준비교리 Hyo Nam Kim p. 173-213

아브라함 카이퍼의 '영역주권' 사상의 현대적 의의 : Abraham Kuyper's concept of sphere sovereignty : its significance for modern days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 교회와 국가 관계의 관점에서 박태현 p. 215-247

최병헌(崔炳憲) 목사의 '이중적(二重的) 생명의 관점' 소고 : A study on Rev. Byeong-Heon Choi's 'view of double life' : focused on his "Judgment of Life and Death"(1921) / 그의 "生死一判"(1921)을 중심으로 안수강 p. 249-278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quinas, Thomas. Summa theologiae. Lyon: Lugduni, 1562. 미소장
2 Beeke, Joel R. and Paul Smalley. Prepared by Grace, for Grace: The Puritans on God’s Ordinary Way of Leading Sinners to Christ. Grand Rapids: Reformation Heritage Books, 2013. 미소장
3 Caughey, Christopher Earl. “Puritan Responses to Antinomianism in the Context of Reformed Covenant Theology:1630-1696 Ph.D. diss. Dublin: Trinity College, 2013. 미소장
4 Hall, David. “On Common Ground,” The William and Mary Quarterly vol. 44 no. 2 (1987), 193-229. 미소장
5 Harper, George W.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 A Review Article,” Calvin Theological Journal vol. 20 no. 2 (November, 1985), 255-262. 미소장
6 Helm, Paul. Calvin and the Calvinists. Carlisle, PA.: Banner of Truth, 1982. 미소장
7 Kendall, R. T.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 Cumbria, UK:Paternoster Press, 1997. 미소장
8 Marsden, George. “Perry Miller’s Rehabilitation of the Puritans: A Critique.” Church History 39, no. 1(1970), 91-105. 미소장
9 Middlekauff, Robert. The Mathers: Three Generations of Puritan Intellectuals 1596–172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미소장
10 Miller, Perry and Thomas Johnson, The Puritans (New York: American Book Company, 1938). 미소장
11 Muller, Richard A. “Fides and Cognitio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Intellect and Will in the Theology of Johna Calvin,” Calvin Theological Journal vol. 25 no. 2(1990), 207-224. 미소장
12 Miller, Perry and Thomas Johnson, “The Priority of the Intellect in the Soteriology of Jacob Arminius.”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 55 no. 1 (spring, 1993), 55-72. 미소장
13 Pettit, Norman. The Heart Prepared. Middletown, Conn.: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9. 미소장
14 Ramsey, D. Patrick. “Meet Me in the Middle: Herman Witsius and the English Dissenters.” Mid-America Journal of Theology vol.19(2008). 미소장
15 Reid, W. Stanford. “Review on Calvin and English Calvinism to 1649.”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vol. 43 (1980), 155-164. 미소장
16 Stoever, W. K. B. ‘A Faire and Easie Way to Heaven’: Covenant Theology and Antinomianism in Early Massachusetts. Middletown, Conn.:Wesleyan University Press, 1988. 미소장
17 White, Charles E. “Were Hooker and Shepard Closet Arminians?” Calvin Theological Journal 20, no. 1 (1985), 33-42. 미소장
18 Witsius, Herman. The Economy of the Covenants between God and Man:Comprehending a Complete Body of Divinity, 2vols. London, 182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