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학문목적 유학생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기조절학습으로 실행하는 학문목적 발표 과제실행 연습과정을 캡스톤 디자인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문적 목적 유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학문목적 발표에 관한 경험과 선호하는 발표 과제실행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이어서 ‘자기조절학습’ 이론과 ‘경험언어학습’ 이론을 참고하여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 모형을 캡스톤 디자인하였다. 그 다음 학문목적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구성된 모형이 실행되는 과정을 온라인 플랫폼(Zoom)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목적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발표 과제실행 연습 방법을 ‘자기조절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연습 방법을 모형으로 구성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많은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적인 교육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지는 못 한 점은 한계로 남지만,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보완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형이 향후 외국인 유학생들의 발표 연습을 위한 연습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타버스의 교육적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 Exploratory study for educational application of metaverse 홍희경 p. 1-21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발표 과제실행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capstone design model to practice presentation tasks based on the online flat form : a method of applying for the foreign students of academic purpose /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들에 적용 방안 강란숙 p. 23-52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초급 한국어 말하기 연습용 챗봇 설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Korean speaking practice chatbot for beginners based on scenarios 서지혜 p. 53-75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알아본 대학생의 관심사 변화 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interests in online community activities : before and after the corona era /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중심으로 박인심, 안미리, 최은정, 심민선 p. 77-100
디지털게임 텍스트와 '게임하기'의 수행성 = The digital game texts and performativity of 'gaming' 김겸섭 p. 101-121

학습분석에서 인공지능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urvey on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learning analytics 이명숙, 박주건, 이주화 p. 123-137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육 실행 연구 = A study of education on Korean folktal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learner's cultural literacy 김혜진 p. 139-165

비유를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 Designing a teaching plan for academic writing using figurative expressions 홍미주, 송현주 p. 167-191
한국어 읽기 개작 수업 활동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 of Korean text rewriting class activities : focused on reflection journals of learners / 학습자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신은경 p. 193-214
리메이크 영화와 드라마 속 한·미 남녀 발화의 비교문화적 화행 연구 : A study on the comparative-cultural speech-acts of Korean and American male and female utterances in remake movies and dramas : focused on the 'interrogative-sentence order-speech-act' / 한국어 의문문 지시화행을 중심으로 임은영 p. 215-240
틀린 문장 고치기 과제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주어에 대한 인식 양상 및 오류 수정 능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patterns and error correction ability of college students on subject in the wrong sentence correction task : with the focus of ellipsis of subjects and sentence component correspondence / 주어 생략 및 주술 호응을 중심으로 이연정 p. 241-259
한국과 중국의 언어 교사 교육 과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languag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Sejong Institute in Korea and Confucius Institute in China / 한국 세종학당과 중국 공자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여열, 유기, 정익순 p. 261-286
<미학의 이해> 비대면 게이미피케이션 강의 사례 분석 = Case analysis of non-face-to-face gamification lectures in <Understanding Aesthetics> 황혜영 p. 287-306
핵심역량 수행활동 기반 교양영어 수업의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English classes based on core competency performance activities 김혜경 p. 307-323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정주대학 운영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college(RC)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김효진, 강성배 p. 325-347
현행 교육과정에 의한 초·중등 음악과 수업에서 대중음악 교육 개선을 위한 의견조사 연구 = A study on opinions to improve popular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classes by the current curriculum 박정은 p. 349-367
대학생의 정서지능에 따른 별-파도 그림검사의 반응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tar-wave test(SWT) according to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s 정영인 p. 369-390
상담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focused on faculty, psychological, and academic counseling / K대 교수상담, 심리상담, 학습상담을 중심으로 김경리, 오방실 p. 391-411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에 재현된 캐릭터 유형 연구 = A study on character types and reproduced in Asimov's 『I, Robot』 임선애 p. 413-427
문학 리텔링 독서의 치유성 : The healing by literature retelling : focusing on writing about the three deaths of the L'Étranger / <이방인>의 세 가지 죽음에 대한 글쓰기를 중심으로 이은숙 p. 429-448
조선후기 무인시조의 은유적 표상과 상징 = Metaphorical representation and symbol of the late-Joseon period's warrior Sijo 하성운 p. 449-466
칠언율시의 가창 유형별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inging in Chil-eon-yulsi 윤해린 p. 467-490
김종삼 중기시 연구 : A study on the Kim Jong-Sam's middle period poetry : with focus on repeated failure of representation and perception of the subject / 반복되는 표상의 실패와 주체 인식을 중심으로 장예영 p. 491-510

현대소설에 나타난 텍스트적 성격과 담론적 발현 양상 : Textual expression and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s : focusing on the narrative construction and receptive meaning of Vegetarian / 『채식주의자』의 서사 구축과 수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오영록 p. 511-523
구술 증언록의 문화 융합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성 : Possibility of using oral testimony as cultural and convergence content : focusing on oral testimony, 『The 3·8 Democracy Movement is not over』 / 구술 증언록 『3·8민주의거는 끝나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이내관 p. 525-547
뱀[蛇] 서사의 다층성과 문화콘텐츠로의 재현 : Multi-layered nature of snake narratives and their reproduction as cultural content : with a focus on the nature of the snake as a snake ghost and monster / 사신(蛇神)과 요괴의 성격을 중심으로 유형동, 이명현 p. 549-582

민요 반주교육을 위한 토리별 가야금 연주법 제안 = A suggestion of Gayageum playing method for folk song education by musical characteristics 김민지 p. 583-605
과 <이탈리아 교향곡>을 중심으로"> 그랜드 투어가 멘델스존의 작품 세계에 미친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grand tour on Mendelssohn's works : focused on "Scottish" and "Italian" Symphonies / <스코틀랜드 교향곡>과 <이탈리아 교향곡>을 중심으로 이지선, 김준호 p. 607-628
진주삼천포⋅평택⋅이리농악의 진법과 장단 비교분석 : Comparison analysis of choreographic and rhythm of Jinju-Samcheonpo, Pyeongtaek, Iri Nongak : focus on Obangjin / 오방진을 중심으로 박안지 p. 629-650
TV 예능 프로그램의 글로컬리즘과 문화 번역 연구 = A study on glocalism and cultural translation of TV entertainment programs 김영성 p. 651-670

위드 코로나 시대,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협력 방향 모색 = The with-corona era, seeking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and arts & culture community 손예령, 고민지 p. 671-701
새만금 간척지역 박물관 유물수집을 통해 본 지역사회의 참여 양상 = Aspects of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through antiquity collecting in the Saemangeum reclamation area museum 양지영, 이정우 p. 703-723
TV 쇼 프로그램의 생존방식과 트랜스미디어 전략 : TV show survival and transmedia strategy : with the spin-off program as the center / 스핀오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선민 p. 725-740
경쟁가치모형에 의한 공공기관 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직무관여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puublic[실은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competing value mode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임훈 p. 741-758
태권도공연 체험이 관광지이미지 및 관람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A effect of Taekwondo performance experience factors on touristic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Jeonju Hanok Village /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이숙경, 김선영 p. 759-777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 재한일본인들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stortion of the Gisaeng' history and image by Japanese residents in the Daeh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era : focusing on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Gisaeng 「Gisaeng=Galbo(prostitute) : Ilpae, Ipae, Sampae」 by Tsuneya Seifuku and Imamura Tomo / 쓰네야 세이후쿠와 이마무라 도모에 의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 「기생=갈보 매춘부 : 일패, 이패, 삼패」를 중심으로 水谷淸佳, 이정남 p. 779-801
영상콘텐츠 제작특화 탄소계산기의 국제 비교연구 =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arbon calculators in film and television production industry : 데이터 입력 조건 수준, 결과 제시, 후속 방안을 중심으로 김세환 p. 803-822
다원주의 미술의 일상 통합의 제 문제 = Awareness about the integration of art with everyday life 김성호 p. 823-840
미얀마 낫(Nat)신앙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the beliefs in nat in Myanmar : focusing on Buddhist elements / 불교적 요소를 중심으로 김경숙 p. 841-854
밈의 미학적 선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esthetic selection of meme : centering on the neuroaesthetic transmission of meme / 신경미학적 밈 전달을 중심으로 신종천 p. 855-882
실감형 진로체험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 Case study of development of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activity program' / 중학교 자유학기제 중심으로 김기윤, 정은실 p. 883-906
(A) comparative study of lifelong learning system in different countries = 국가별 평생학습체제 비교연구 Kim Juseuk p. 907-925
8주간 전신 또는 하지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성인 여성의 신체관절각에 미치는 영향과 두 필라테스 방법 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8-week whole-body or lower extremity Pilates program on body joint angles in adult wom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Pilates methods 김현정, 백형진, 이한울, 김주영 p. 927-940
노인운전자의 안전운전이 가족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afe driving and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s satisfaction among older drivers 이성은 p. 941-954
융복합 교양교과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메타인지 행복학>의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nvergent liberal arts curriculum : <Post-Corona Era : Metacognitive Happiness Study> 윤미영 p. 955-976
포토보이스 방법론을 활용한 남자 대학생의 행복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appiness experience of male college students using photo voice methodology 전주람, 최경 p. 977-1001
네스의 생태존재론과 미적행위 분석 = An analysis of Naess's ecological ontology and the beautiful actions 김성하 p. 1003-1018

참고문헌 (7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민영(2016).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과제 개발 연구 : 사고 확장 과제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 강명희, 김세온(2002).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18(1), 3-22. 미소장
3 김수현, 이명근(2012).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 과제기반언어학습의 효과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1), 2012년, 153-157. 미소장
4 김성옥(2010). “발표 담화표지 학습이 학문적 구두 발표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강소산(2019).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 새국어교육 119권, 345-373. 미소장
6 김운옥(2019). “완성형 평가(cloze method)를 활용한 발표 교육 연구 - 베트남 학문 목적 학습자의 담화 표지사용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 69, 23-64. 미소장
7 김윤주(2016). “외국인 학부 유학생의 발표양상 연구”, 화법연구 32, 25-52. 미소장
8 김지학, 차봉준, 김은정, 한래희(2018). “유학생 대상 학문목적한국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사고와 표현 11(1), 125-156. 미소장
9 김유리(2013).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강란숙(2016). “쉐도잉 기법 사용 기반 발표 연습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반응 분석 연구 - 한국인 대학생 프리젠테이션 대회 수상작을 모델링 동영상 자료로 활용”, 문화와융합 38(6), 135-169. 미소장
11 남민지(2015). “중국인 학습자의 발표 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 학문 목적 발표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류계영(2010). “그림자처럼 따라 읽기가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 향상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문 목적학습자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무민민. (2020). “중국인 대학원생의 한국어를 활용한 학문 목적 발표 능력 향상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밍휘(2017).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구어 화제 전환 표현 교육 연구: 설명적 말하기 담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5 박선윤(2015). “학문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도구 개발 방안”,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박선희, 이예나(2019). “발표 담화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상 불일치 양상 연구”, 언어과학연구 90, 113-133. 미소장
17 박성익, 김미경(2004).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과 학습효과에 관한 고찰”, 아시아교육연구 5(2), 137-158. 미소장
18 박혜미(2011).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과제 유형 개발 방안 : 말하기 숙달도 평가 과제 분석을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박향춘(2015). “중국인 학습자의 발표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고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0 방염(2018).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1 백소영(2014).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 연구”, 어문연구 81, 283-301 미소장
22 상효경. (2013).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학업자아 개념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미소장
23 서윤미(2012). “섀도잉(Shadowing) 학습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4 서희전, 강명희, “온라인 학습공동체에서 학습자특성, 학습자 간 상호작용, 학습결과 간의 관계분석,” 교육공학연구 2(2), 1-28. 미소장
25 신효원(2007). “한국어 교실 관찰 도구 K-COLT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어교육 18(2), 177-198. 미소장
26 손상희(2020).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을 활용한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연구- 제품디자인을 적용하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123-134. 미소장
27 안민화(2015).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담화 응집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안민정(2016).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교재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특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이나은(2010), “Shadowing 학습법이 중학생의 구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이덕희(2004). “요구분석을 통한 학문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이민아(2013). “학문 목적 중국 학습자의 발표를 위한 교육 방안 연구 : 설명하기와 설득하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2 여미란(2018).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토론 평가 연구 : 교육토론(Academic Debate)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이선영(2016).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통제 전략 사용 양상”, 우리어문 연구 56집, 321-352. 미소장
34 이영준(2013). “외국인 유학생의 발표능력 자가평가지표 개발연구”, 교양교육연구 7(6), 589-614. 미소장
35 이은영, 주경희, 이두희(2019).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이용한 최근 소비자학 연구 트렌트 분석”, 상품학 연구37(1), 1-7. 미소장
36 이정민, 김영주(2009). “입문기 성인 학습자의 한국어 개론과정의 도입에 관한 제언”, 이중언어학 39, 239-263. 미소장
37 이혜경(2016). “외국인 유학생의 복합양식 문식성 계발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교육 내용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유정아(2011).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51-72. 미소장
39 윤유라, 이은주(2021). “대학생의 핵심역량 양성을 위한 비교과 교육프로그램으로서 독서토론활동의 가능성: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방법논총 6(1), 65-92. 미소장
40 왕문아. (2020).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표 불안감 완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1 엄나영(2017), “자기주도 섀도잉 학습법(SSDL)이 발표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 대학 한국어과 학습자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2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3 양용칠(2004). “웹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기능 습득을 지원하는 교수설계 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20(4), 3-23. 미소장
44 윤신애(2008).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 필요 분석 연구 :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5 장아남(2014). “학문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발표하기 과제 구성방안 연구 : 외국인 대학원생의 요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조영우(2018). “테크놀로지 지원 외국어학습 코칭의 가능성 탐색: 개념과 실행 모형”, 멀티미디어언어교육 21(4), 267-297. 미소장
47 종기(2019).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불안감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교육학 전공,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8 최문정(2014).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 조절 학습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9 채숙희(2016). “학문 목적의 한국어 발표 교육 내용 연구”, 한국언어문학 97, 243-272. 미소장
50 하은경(201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조별 발표 과제 수행을 위한 회의 담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1 한이연(2017).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의 발표 담화 실제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2 황현주(20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과제 단위 요구 분석 :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3 허선(2018). “베트남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연구 : 귀인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4 홍윤혜(2014). “학술적 문어담화와 구어담화의 장르 비교 분석 : 연구 논문과 연구 발표의 수사적 행위 요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5 홍은실(2014).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학문 목적 발표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6 Li Qian(2017). “중국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대학 입학 초기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국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7 Yang Xichen(2019).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에서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8 Brown(2000). The Principle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New York: Prentice-Hall. 미소장
59 Corno, L, & Mandinach, E. B.(1983).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i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8, 88-108. 미소장
60 Eyring, J. (1991). “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In M. Celce-Murcia (Ed.). Teaching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346-359. Boston: Heinle and Heinle. 미소장
61 Gregory, G. H., & Chapman, C. (2005). 수준별 개별화 교수-학습전략 (조영남 나종식 김광수 공역). 학지사. (원저 2002 출간). 미소장
62 Kolb, d. A.(1984). Experiential learning-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rentice Hall. 미소장
63 McChlery, S., & Visser, S.(2009).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earning styles of accounting students in the United Kingdom and South Africa. Research in Post-compulsory Education”, 14(3), 299-315. 미소장
64 Otto, K., 김종영 역(2009). 공포를 날려버리는 학술적 글쓰기 방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65 Pintrich, P.R & De Groot, E.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미소장
66 Smit, R., & Humpert, W. (2012).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small schoo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8), 1152-1162. 미소장
67 Tomlinson, C. A. (2001). “How to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mixed-ability classrooms”. Alexandria, VA: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미소장
68 Zimmernan, B, J., & Martines-Pons, M.(1986).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of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 614-628. 미소장
69 Zimmerman, Barry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3), 329–339. 미소장
70 Zimmerman, B. J., & Schunk, D. H. (Eds.). (2011).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