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오걸(2013)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과 문제점,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法學論攷, 43, pp.79-102. | 미소장 |
2 | 권희청ㆍ김지은ㆍ김영태(2018) , 학교폭력의 실상에 관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9-23. | 미소장 |
3 | 김갑석(2015) , 학교폭력개념의 법적정립을 통한 학교폭력 대응방안, 유럽헌법연구, 18, pp.311-341. | 미소장 |
4 | 김갑석(2016) , 학교폭력예방법과 예방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권침해에관한 연구, 유럽헌법연구, pp.433-455. | 미소장 |
5 | 김광수ㆍ장사형(2017) , 학교폭력 기구 및 조치과정의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7(3), pp.919-930. | 미소장 |
6 | 김대군(2013) , 관계적 폭력과 소수자 배려윤리 - 학교폭력문제를 중심으로 -, 윤리교육연구, 32, pp.79-96. | 미소장 |
7 | 김성기(2008)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의 문제점과 개정방안, 교육법학연구, 20(2), pp.27-45. | 미소장 |
8 | 김성돈(2009) , 새로운 범죄대응전략으로서 화해조정체계구축(1), 형사 사법 체계 내 형사조정제도 도입에 따른 법이론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 pp.1-127. | 미소장 |
9 | 김성태(2015) , 학교폭력예방법에 대한 고찰, 홍익법학, 16(3), pp.611-636. | 미소장 |
10 | 김승환ㆍ박승환(2019) , 학교폭력의 양상 변화에 따른 처리절차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논총, 14(2), pp.199-230. | 미소장 |
11 | 김영옥(2021)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역전문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3(2), pp.175-201. | 미소장 |
12 | 김영재ㆍ정상완(2013) , 학교폭력 거버넌스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9(6), pp.183-200. | 미소장 |
13 | 김영천ㆍ김정현(2012) , 현행 학교폭력 관련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법교육연구 7(2), pp.29-58. | 미소장 |
14 | 김용수(2018) , 학교폭력 사건 처리절차상 쟁점과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서울지방변호사회, 변호사, 50, pp.426-465. | 미소장 |
15 | 김이문(2018) , 학교폭력 예방에서 회복적 사법의 투영방안 : 가ㆍ피해학생 회복적 정의 중심으로, 자치경찰연구, 11(1), pp.66-88. | 미소장 |
16 | 김정연(2017) , 판결 및 불복절차 사례를 통해 본 학교폭력예방법의 비판적 고찰, 형사정책연구, 28(4), 112, pp.149-175. | 미소장 |
17 | 김천기(2014) ,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 이론적 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교육종합연구, 12(2), pp.133-155. | 미소장 |
18 | 김현철(2010)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선방안-시론적 고찰-, 법교육연구, 5(1), pp.69-83. | 미소장 |
19 | 김혜경(2013) , 학교폭력에 대한 형사법적 접근의 제한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조정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96, pp.257-293. | 미소장 |
20 | 도중진(2012) , 학교폭력의 분쟁조정과 회복적 사법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및시행령상의 분쟁조정제도의 실효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형사법의 신동향,pp.52-90. | 미소장 |
21 | 문영희(2014)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가해학생조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과 정책연구, 14(4), pp.1905-1932. | 미소장 |
22 | 문영희ㆍ강동욱(2015)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범위 및 피해자보호제도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그 개선방안, 법과 정책 21(1), pp.151-180. | 미소장 |
23 | Youngman Park, Jeahwan Jeong, Eunjung Kim (2015) ,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11(1), pp.9-22. | 미소장 |
24 | 박종효(2012) , 한국과 외국의 학교폭력 현황 및 실태조사에 관한 쟁점 분석, 교사와 교육, 30(1), pp.17-38. | 미소장 |
25 | 박주형ㆍ정제영ㆍ김성기(2012)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의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0(4), pp.303-323. | 미소장 |
26 | 박진규(2005) , 학교폭력과 지역사회의 역할,청소년학연구, 12(4), pp.409-440. | 미소장 |
27 | 박헌국(2018) , 학교폭력 예방대책 운영현황과 연계체계 분석, 한국경찰연구, 17(2), pp.113-150. | 미소장 |
28 | 백승민ㆍ김민지 (2016) , 한국 고등교육에서의 인권교육, 법과인권교육연구, 9(1), pp.27-50. | 미소장 |
29 | 서윤호(2013) , 학교폭력에 대한 법정책의 의미와 한계, 입법정책, 7(2), pp.85-115. | 미소장 |
30 | 성문주(2020)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함의, 디지털융복합연구, 18(2), pp.121-126. | 미소장 |
31 | 손능수ㆍ김순양(2015) ,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전달체계 및 연계 : 전달체계 및 연계망 구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19(3), pp.437-468. | 미소장 |
32 | 신강숙(2014) , 행정심판 사례를 통하여 본 학교폭력예방법 고찰, 강원법학, 41(2), pp.647-686. | 미소장 |
33 | 안윤숙ㆍ김흥주(2013)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 14(2), pp.387-413. | 미소장 |
34 | 오경식(2009)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분석과 개선방안, 소년보호연구, 12. pp.181-218. | 미소장 |
35 | 오영근(2008) , 개정소년법의 과제와 전망, 형사정책연구, 19(2), pp.5-24. | 미소장 |
36 | 유문무(2013) , 학교폭력과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 Holism을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7(3), pp.105-125. | 미소장 |
37 | 유순덕(2018)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7(3), pp.69-96. | 미소장 |
38 | 유현숙(2014) , 행정심판 사례로 본 학교폭력의 현황 및 개선방안, 국민권익위원회 행정심판국, 2014. 11. 3, (학교폭력 갈등·분쟁 해결 및 조정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 “2014 학교폭력 갈등·분쟁조정 심포지엄” 발표문) | 미소장 |
39 | 윤은경(2015)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에관한 소고, 강원법학, 46, pp.457-493. | 미소장 |
40 | 이가영(2019) ,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 및 개선 방안 A지역의 FGI 분석과 J중학교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31(2), pp.41-72. | 미소장 |
41 | 이경희(2014) ,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윤리교육연구, 33, pp.149-168. | 미소장 |
42 | 이병환(2010) ,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역유관기관의 지원체제 정립과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 16(2), pp.45-73. | 미소장 |
43 | 이상윤(2008) , 집단따돌림현상의 헌법적 개념정의와 입법론적 과제, 공법학연구, 9(2), pp.3-23. | 미소장 |
44 | 이상철(2019)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향후 과제 분석, 부산교육이슈페이퍼, 33, pp.2-26. | 미소장 |
45 | 이승출(2012) ,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pp.116-135. | 미소장 |
46 | 이승현(2012)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90, pp.157-190. | 미소장 |
47 | 이진국(2007)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체계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입법정책, 1(1), pp.93-127. | 미소장 |
48 | 이충민ㆍ박호정(2020) ,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적극적 경찰활동, 법과인권교육연구, 13(3), pp.113-142. | 미소장 |
49 | 이현승(2016) ,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법학연구, 16(1), pp.143-165. | 미소장 |
50 | 이현정(2017) , 학교폭력 처리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가해학생 조치별 세부기준 고시」를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8(3), pp.215-251. | 미소장 |
51 | 이희관(2014) , 재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대한변협학교폭력예방법 개선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pp.2-30. | 미소장 |
52 | 장혜진(2018) , 학교폭력예방 및 대칙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방향에 대한 소고, 입법과 정책,국회입법조사처, 10(2), pp.359-378. | 미소장 |
53 | 전종익ㆍ정상우(2013)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 예방및 회복, 교육법학연구, 25(1), pp.205-229. | 미소장 |
54 | 정이근(2016) ,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의 병과 가능성과 적용상 문제점 검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7조를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10(2), pp.349-370. | 미소장 |
55 | 정재준(2012) ,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한국일본의 비교법적 연구. 법학연구, 53(2), pp.79-108. | 미소장 |
56 | 정재준(2012) , 미국의 학교폭력 방지대책,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 53(1), pp.529-570. | 미소장 |
57 | 정한중(2009)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희법학, 44(1), pp.73-99. | 미소장 |
58 | 정현미(2012)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의 개선방안, 소년보호연구, 20, pp.243-267. | 미소장 |
59 | 정현주(2015) ,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CYS-Net.학교.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교복지, 32, pp.247-279. | 미소장 |
60 | 조동택ㆍ이상훈(2016) , 군 장병의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입대 전 학교폭력경험을 중심으로, 경찰복지연구, 4(2), pp.102-138. | 미소장 |
61 | 천진호(2008) , 한국소년심판제도에 관한 연구, 비교형사법연구, 10(2), pp.555-580. | 미소장 |
62 | 최승원(2006) , 행정법과 공익 : 이해조절법적 행정법으로, 행정법연구, 15, pp95-111. | 미소장 |
63 | 최승원ㆍ배유진(2011) , IT 컨버전스의 이해와 법ㆍ기술 방향, 행정법연구, 30, pp.433-456. | 미소장 |
64 | 최용석(2016) ,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복지연구, 4(2), pp.32-63. | 미소장 |
65 | 최중진(2013) , 학교폭력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 회복적, 생태체계적, 그리고성장지향적 개념틀을 중심으로, 교정담론, 7(2), pp.129-164. | 미소장 |
66 | 하윤수(2018) , 「학교폭력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동아법학, 78, pp.405-429. | 미소장 |
67 | 허종렬(2018) , 법교육·인권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법과인권교육연구’ 10년의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 , 법과인권교육연구, 11(3), pp.31-52. | 미소장 |
68 | 허종렬(2019) , 구 학교폭력예방법상 학교폭력처리과정에서의 교권침해와 개정 학교폭력예방법, 법과인권교육연구, 12(3), pp.33-52. | 미소장 |
69 | 허종렬(2020) , 4차산업혁명 시대 법인권과 법인권교육 연구 동향, 법과인권교육연구, 13(2), pp.1-22. | 미소장 |
70 | 허종렬ㆍ나달숙ㆍ이대성(2013) , 국내 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 외국의 인권 교육 제도화 사례와 시사점, 법과인권교육연구, 6(1), pp.171-202. | 미소장 |
71 | 허종렬ㆍ박형근ㆍ이지혜(2012) , 미국 청소년자치법정 효과 분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학교자치법정의 활용 가능성을 위한 시사점 -, 법과인권교육연구, 5(3), pp.107-127. | 미소장 |
72 | 한인달(2008) , 한국 개정소년법의 주요내용과 동향, 비교형사법연구, 10(2), pp.375-403. | 미소장 |
73 | 홍석한(2016) , 학교폭력 예방의 헌법적 의미와 학교폭력예방법상 예방교육에 대한 고찰, 22(1), 법과 정책, pp.210-247. | 미소장 |
74 | 박균성, 행정법강의, 2021. | 미소장 |
75 | 홍정선, 행정법특강, 2021. | 미소장 |
76 | 박윤기(2009) , 학교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7 | 정향기(2018) , 학교폭력 예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8 | 조두환(2014) , 학교안전사고의 민사적 구제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9 | 문용린 외(2008) ,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조사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80 | 최계영 외(2014) , 특별한 행정불복 절차 및 행정심판 절차 특례 설치요건 등에 관한 연구,국민권익위원회 연구보고서. | 미소장 |
81 | 유엔아동권리협약 한국NPO연대(엮음),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선택의정서, 200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