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정치와 법의 통합 문제 : Integration of politics and law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 relation to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 2022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관련하여 김명정 p. 5-24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법과 인권 관련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law and human rights related curriculum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foreign high school curriculum / 각국의 고등학교 선택 과목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배화순 p. 25-55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고 사회과 성취기준에 나타난 통치구조의 계열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sequence of governance structures education in period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정상우 p. 57-77

학교 인권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체계 개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a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송현정, 구정화, 박새롬 p. 79-102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적용한 초기 청소년 비행경험에서 비행지속 중단을 이끄는 영향요인 검증 : Verifying of influencing factors that interrupt the duration of early juvenile delinquency with discrete time survival analysis : focusing on the social bond theory / 사회유대이론을 중심으로 지영섭, 강혜경 p. 103-128
법교육에서 인권, 기본권, 기본적 인권의 개념과 관계 분석 : The analysis on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terms between human rights, fundamental rights, fundamental human rights in law-related education : focused on analyzing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및 사회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정순원 p. 129-154
의료인에 대한 폭력과 법제도적 보호방안 = Violence against medical personnel and legal and institutional protection measures 오수현 p. 155-169
학교폭력 분쟁해결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 : A study on directions for legislative improvement for resolving school violence disputes : focused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in Korea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양승미, 최승원 p. 171-199
사회과에서의 실천중심 정치참여 교육은 가능할까? : A study on a method of practice of public policy participation in local community / 지역사회 공공정책참여를 중심으로 이윤주 p. 201-218

참고문헌 (8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오걸(2013)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과 문제점,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法學論攷, 43, pp.79-102. 미소장
2 권희청ㆍ김지은ㆍ김영태(2018) , 학교폭력의 실상에 관한 현장의 목소리,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9-23. 미소장
3 김갑석(2015) , 학교폭력개념의 법적정립을 통한 학교폭력 대응방안, 유럽헌법연구, 18, pp.311-341. 미소장
4 김갑석(2016) , 학교폭력예방법과 예방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권침해에관한 연구, 유럽헌법연구, pp.433-455. 미소장
5 김광수ㆍ장사형(2017) , 학교폭력 기구 및 조치과정의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7(3), pp.919-930. 미소장
6 김대군(2013) , 관계적 폭력과 소수자 배려윤리 - 학교폭력문제를 중심으로 -, 윤리교육연구, 32, pp.79-96. 미소장
7 김성기(2008)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의 문제점과 개정방안, 교육법학연구, 20(2), pp.27-45. 미소장
8 김성돈(2009) , 새로운 범죄대응전략으로서 화해조정체계구축(1), 형사 사법 체계 내 형사조정제도 도입에 따른 법이론적 문제점 및 개선방안, pp.1-127. 미소장
9 김성태(2015) , 학교폭력예방법에 대한 고찰, 홍익법학, 16(3), pp.611-636. 미소장
10 김승환ㆍ박승환(2019) , 학교폭력의 양상 변화에 따른 처리절차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논총, 14(2), pp.199-230. 미소장
11 김영옥(2021)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지역전문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3(2), pp.175-201. 미소장
12 김영재ㆍ정상완(2013) , 학교폭력 거버넌스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9(6), pp.183-200. 미소장
13 김영천ㆍ김정현(2012) , 현행 학교폭력 관련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법교육연구 7(2), pp.29-58. 미소장
14 김용수(2018) , 학교폭력 사건 처리절차상 쟁점과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서울지방변호사회, 변호사, 50, pp.426-465. 미소장
15 김이문(2018) , 학교폭력 예방에서 회복적 사법의 투영방안 : 가ㆍ피해학생 회복적 정의 중심으로, 자치경찰연구, 11(1), pp.66-88. 미소장
16 김정연(2017) , 판결 및 불복절차 사례를 통해 본 학교폭력예방법의 비판적 고찰, 형사정책연구, 28(4), 112, pp.149-175. 미소장
17 김천기(2014) , 학교폭력에 대한 인정 이론적 이해와 정책적 함의 탐색, 교육종합연구, 12(2), pp.133-155. 미소장
18 김현철(2010)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선방안-시론적 고찰-, 법교육연구, 5(1), pp.69-83. 미소장
19 김혜경(2013) , 학교폭력에 대한 형사법적 접근의 제한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조정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96, pp.257-293. 미소장
20 도중진(2012) , 학교폭력의 분쟁조정과 회복적 사법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및시행령상의 분쟁조정제도의 실효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형사법의 신동향,pp.52-90. 미소장
21 문영희(2014)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가해학생조치에 관한 비판적 검토, 법과 정책연구, 14(4), pp.1905-1932. 미소장
22 문영희ㆍ강동욱(2015)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범위 및 피해자보호제도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그 개선방안, 법과 정책 21(1), pp.151-180. 미소장
23 Youngman Park, Jeahwan Jeong, Eunjung Kim (2015) ,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11(1), pp.9-22. 미소장
24 박종효(2012) , 한국과 외국의 학교폭력 현황 및 실태조사에 관한 쟁점 분석, 교사와 교육, 30(1), pp.17-38. 미소장
25 박주형ㆍ정제영ㆍ김성기(2012)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의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0(4), pp.303-323. 미소장
26 박진규(2005) , 학교폭력과 지역사회의 역할,청소년학연구, 12(4), pp.409-440. 미소장
27 박헌국(2018) , 학교폭력 예방대책 운영현황과 연계체계 분석, 한국경찰연구, 17(2), pp.113-150. 미소장
28 백승민ㆍ김민지 (2016) , 한국 고등교육에서의 인권교육, 법과인권교육연구, 9(1), pp.27-50. 미소장
29 서윤호(2013) , 학교폭력에 대한 법정책의 의미와 한계, 입법정책, 7(2), pp.85-115. 미소장
30 성문주(2020)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함의, 디지털융복합연구, 18(2), pp.121-126. 미소장
31 손능수ㆍ김순양(2015) ,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전달체계 및 연계 : 전달체계 및 연계망 구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19(3), pp.437-468. 미소장
32 신강숙(2014) , 행정심판 사례를 통하여 본 학교폭력예방법 고찰, 강원법학, 41(2), pp.647-686. 미소장
33 안윤숙ㆍ김흥주(2013)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 14(2), pp.387-413. 미소장
34 오경식(2009)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분석과 개선방안, 소년보호연구, 12. pp.181-218. 미소장
35 오영근(2008) , 개정소년법의 과제와 전망, 형사정책연구, 19(2), pp.5-24. 미소장
36 유문무(2013) , 학교폭력과 인권 그리고 인권교육: Holism을 중심으로,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7(3), pp.105-125. 미소장
37 유순덕(2018)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7(3), pp.69-96. 미소장
38 유현숙(2014) , 행정심판 사례로 본 학교폭력의 현황 및 개선방안, 국민권익위원회 행정심판국, 2014. 11. 3, (학교폭력 갈등·분쟁 해결 및 조정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을 주제로 한 “2014 학교폭력 갈등·분쟁조정 심포지엄” 발표문) 미소장
39 윤은경(2015)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에관한 소고, 강원법학, 46, pp.457-493. 미소장
40 이가영(2019) , 회복적 정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 및 개선 방안 A지역의 FGI 분석과 J중학교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31(2), pp.41-72. 미소장
41 이경희(2014) ,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윤리교육연구, 33, pp.149-168. 미소장
42 이병환(2010) ,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역유관기관의 지원체제 정립과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 16(2), pp.45-73. 미소장
43 이상윤(2008) , 집단따돌림현상의 헌법적 개념정의와 입법론적 과제, 공법학연구, 9(2), pp.3-23. 미소장
44 이상철(2019)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 내용과 향후 과제 분석, 부산교육이슈페이퍼, 33, pp.2-26. 미소장
45 이승출(2012) ,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pp.116-135. 미소장
46 이승현(2012)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형사정책연구, 90, pp.157-190. 미소장
47 이진국(2007)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체계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입법정책, 1(1), pp.93-127. 미소장
48 이충민ㆍ박호정(2020) , 학교폭력 해결을 위한 적극적 경찰활동, 법과인권교육연구, 13(3), pp.113-142. 미소장
49 이현승(2016) ,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법학연구, 16(1), pp.143-165. 미소장
50 이현정(2017) , 학교폭력 처리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가해학생 조치별 세부기준 고시」를 중심으로, 미국헌법연구, 28(3), pp.215-251. 미소장
51 이희관(2014) , 재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대한변협학교폭력예방법 개선방안 심포지엄 자료집, pp.2-30. 미소장
52 장혜진(2018) , 학교폭력예방 및 대칙에 관한 법률의 개정 방향에 대한 소고, 입법과 정책,국회입법조사처, 10(2), pp.359-378. 미소장
53 전종익ㆍ정상우(2013)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 예방및 회복, 교육법학연구, 25(1), pp.205-229. 미소장
54 정이근(2016) , 학교폭력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의 병과 가능성과 적용상 문제점 검토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제17조를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10(2), pp.349-370. 미소장
55 정재준(2012) ,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한국일본의 비교법적 연구. 법학연구, 53(2), pp.79-108. 미소장
56 정재준(2012) , 미국의 학교폭력 방지대책,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 53(1), pp.529-570. 미소장
57 정한중(2009)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희법학, 44(1), pp.73-99. 미소장
58 정현미(2012)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의 개선방안, 소년보호연구, 20, pp.243-267. 미소장
59 정현주(2015) ,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 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CYS-Net.학교.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교복지, 32, pp.247-279. 미소장
60 조동택ㆍ이상훈(2016) , 군 장병의 부대적응과 군대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입대 전 학교폭력경험을 중심으로, 경찰복지연구, 4(2), pp.102-138. 미소장
61 천진호(2008) , 한국소년심판제도에 관한 연구, 비교형사법연구, 10(2), pp.555-580. 미소장
62 최승원(2006) , 행정법과 공익 : 이해조절법적 행정법으로, 행정법연구, 15, pp95-111. 미소장
63 최승원ㆍ배유진(2011) , IT 컨버전스의 이해와 법ㆍ기술 방향, 행정법연구, 30, pp.433-456. 미소장
64 최용석(2016) , 학교폭력 예방과 근절을 위한 효율적 방안에 관한 연구, 경찰복지연구, 4(2), pp.32-63. 미소장
65 최중진(2013) , 학교폭력의 해결과 예방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 : 회복적, 생태체계적, 그리고성장지향적 개념틀을 중심으로, 교정담론, 7(2), pp.129-164. 미소장
66 하윤수(2018) , 「학교폭력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동아법학, 78, pp.405-429. 미소장
67 허종렬(2018) , 법교육·인권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 ‘법과인권교육연구’ 10년의 성과 분석을 중심으로 - , 법과인권교육연구, 11(3), pp.31-52. 미소장
68 허종렬(2019) , 구 학교폭력예방법상 학교폭력처리과정에서의 교권침해와 개정 학교폭력예방법, 법과인권교육연구, 12(3), pp.33-52. 미소장
69 허종렬(2020) , 4차산업혁명 시대 법인권과 법인권교육 연구 동향, 법과인권교육연구, 13(2), pp.1-22. 미소장
70 허종렬ㆍ나달숙ㆍ이대성(2013) , 국내 인권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 외국의 인권 교육 제도화 사례와 시사점, 법과인권교육연구, 6(1), pp.171-202. 미소장
71 허종렬ㆍ박형근ㆍ이지혜(2012) , 미국 청소년자치법정 효과 분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학교폭력 문제에 대한 학교자치법정의 활용 가능성을 위한 시사점 -, 법과인권교육연구, 5(3), pp.107-127. 미소장
72 한인달(2008) , 한국 개정소년법의 주요내용과 동향, 비교형사법연구, 10(2), pp.375-403. 미소장
73 홍석한(2016) , 학교폭력 예방의 헌법적 의미와 학교폭력예방법상 예방교육에 대한 고찰, 22(1), 법과 정책, pp.210-247. 미소장
74 박균성, 행정법강의, 2021. 미소장
75 홍정선, 행정법특강, 2021. 미소장
76 박윤기(2009) , 학교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7 정향기(2018) , 학교폭력 예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8 조두환(2014) , 학교안전사고의 민사적 구제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9 문용린 외(2008) , 학교폭력 사안처리 실태조사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80 최계영 외(2014) , 특별한 행정불복 절차 및 행정심판 절차 특례 설치요건 등에 관한 연구,국민권익위원회 연구보고서. 미소장
81 유엔아동권리협약 한국NPO연대(엮음), 유엔아동권리협약과 선택의정서, 200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