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17세기 중엽에 간행된 『捷解新語』에 나타난 朝鮮通信使의 訪日 기록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이는 저자 康遇聖의 3차례(1617년, 1624년, 1636년)에 걸친 통신사 수행 경험이 『捷解新語』의 성립과 깊이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5-8권의 내용은 국가 간의 교류인 관계로 사신을 맞이하는 의례와 축하연 등 공식적인 행사와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언어적인 측면에서 고대어로부터 근대어로 바뀌어 가는 과도기에 만들어진 原刊本과 100년 가까운 차이가 나는 改修本과의 언어의 불통으로 인한 부분이 가장 크다. 副詞 이외에 「めす(召す)」 「おぢゃる」 「ざっしょう(雑餉)」 「せく(狭く)」 「せばい(狭い)」 「かいしょう(海上)」 등 다양한 어휘가 당시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또한 通信使와 일본 관계자들과의 대화 내용을 통해 교류의 단면을 살펴보았으며 그들의 대화에 나타난 당시 사용되었던 어휘들에 대해서도 통시적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捷解新語』3종의 자료적 신빙성도 입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관련 연구에 많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原因」動詞結合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A contrastive study on V1-cause V2-result combinations in Japanese and Korean 李忠奎 p. 7-31

言いさしの繰り返し発話に関する考察 : A study on the repetition of interrupted speech : a study on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intimate relations / 親疎関係による使用様相と機能を中心に 小此木江利菜 p. 33-59

한일 학술논문 서론의 텍스트 구조 분석 = An analysis of the text structure of the introduction in Korean-Japanese academic articles : 국어학 분야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임정아 p. 61-84

朝鮮通信使와 『捷解新語』 = A study on envoy of the Chosun Dynasty and [Chop Hae Sin O] 박재환 p. 85-102

アジア地域の外国人留学生がもつ妖怪のイメージに関する研究 = The study on the images of YOKAI shared by foreign students from Asian counties 福重一成, 秋谷公博 p. 103-117

'아파트먼트'의 개념에 관한 최초 기사 고찰 : A research of the first article on the concept of ‘apartment’ : ‘apartment’ as sanitary urban high-density apartment house made of reinforced concrete / 철근콘크리트로 된 위생적인 도시형 고밀도 공동주택으로서의 '아파트먼트' 박상현 p. 119-133

아쿠타가와(芥川)의 모성(母性)인식 : Akutagawa’s perception of motherhood : “Sinnsuke Daidouji’s Half Life” from 「二. Focusing on “Milk”」 / 다이도지 신스케의 반생(大導寺信輔の半生)의「二. 우유(牛乳)」를 중심으로 감영희 p. 135-152

「冬と手紙と」論 : Study of “With Winter and Letters”(Fuyu to Tegami to) : analysis about rhetorical techniques in Akutagawa’s later years / 芥川晩年の修辞的技法に関する考察 早澤正人 p. 153-165

文芸雑誌『クラルテ』創刊号研究 : Research on the first issue of literary magazine 『clarte』 : focusing on the literary works of Takiji Kobayashi / 小林多喜二の作品を中心に 金大洋 p. 167-178

椎名麟三「公園の詩人」論 = A study of Shiina Rinzo’s The Poet in the Park : ドストエフスキー「大審問官」物語を手がかりに 金慶湖 p. 179-194

일본의 다문화 정책에 관한 일고찰 : A study on Japan’s multicultural policy : focusing on policies related to foreign workers / 외국인 노동자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오현석 p. 195-206

동아시아 해양문화와 일본신도의 해신 = East Asian maritime culture and the sea gods of Shinto 세키네 히데유키 p. 207-231

소철지옥의 재현과 오키나와 협동조합 및 지역운동의 대응 = Reproduction of Sotetsu hell and response to the Okinawa local movement 조경식 p. 233-244

전통의 현대적 수용과 계승을 위한 모색 =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Japanese culture envoys : 문화청 문화교류사 사업을 중심으로 김현욱 p. 245-259

유럽과 아시아대학생의 페이스북 이용행동과 삶의 만족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Facebook use behaviour and life satisfaction of European and Asian university students : from the perspectives of independent individualistic culture and interdependent group culture / 독립적 개인주의문화와 상호의존적 집단문화 관점에서 박현지 p. 261-292

韓流と観光 : The Korean Wave (Hallyu) and tourism : from the Korean Wave (Hallyu) to dark tourism for realization of the symbiotic society / 共生社会実現のためのダークツーリズムまで 金奈愛 p. 293-319

일본 마츠리를 통해 본 지역 정체성 개발 전략 고찰 : A study on regional identity development strategies through the Japanese Matsuri : focusing on the Sapporo snow festival / 삿포로 눈축제를 중심으로 강준수 p. 321-335

참고문헌 (5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鄭光(1984)「捷解新語의 成立時期에 관한 몇 문제」『牧泉兪昌均博士還甲紀念論文集』 미소장
2 鄭光(1988)「譯科의 倭學과 倭學書」『韓國學報』第50集 미소장
3 鄭光(1988)『司譯院倭學研究』太學社 미소장
4 鄭光(2004)『역학서연구』J&C 미소장
5 鄭光(2007)「韓國における日本語敎育の歷史」『日本文化硏究』21輯 미소장
6 李元植(1984)「朝鮮通信使に隨行した倭學譯官についてー捷解新語の成立時期に關する確證を中心にー」『朝鮮學報』111 미소장
7 李康民(1990)「『捷解新語』の成立と表現」『國語國文』.60巻 12号 미소장
8 李康民(1996)「『捷解新語』와 日本語史」『漢陽日本學』4輯,, 漢陽日本學会 미소장
9 李康民(1998)「『捷解新語』의 推量表現」『漢陽日本學』6輯,, 漢陽日本學会 미소장
10 李太永(1997)『譯註捷解新語』太學社 미소장
11 정승혜(2003)『조선후기 왜학서 연구』太學社 미소장
12 趙南徳(1994)『捷解新語의 改修分析』博而精 미소장
13 小倉進平(1964)『増訂補注朝鮮語學史』刀江書院(ー初版1920年) 미소장
14 亀井孝(1958)「『捷解新語』小考」『一橋論叢』第39巻 第1号 미소장
15 亀井孝(1984)「『捷解新語注音法』ー日本語のすがたとこころー」『亀井孝論文集』吉川弘文館 미소장
16 森田武(1952)「『捷解新語の國語について―その資料性の考察―』」『國文學攷』復刊第一号 미소장
17 森田武(1955)「「捷解新語」成立の時期について」『國語國文』24巻 3号 미소장
18 森田武(1985)『捷解新語攷』『室町時代語論攷』三省堂 미소장
19 大友信一(1957)「『捷解新語』の成立時期私見」『文芸研究』26 미소장
20 浜田敦(1970)『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研究』岩波書店 미소장
21 浜田敦(1982)『続朝鮮資料による日本語研究』臨川書店 미소장
22 浜田敦(1990)「國語副詞の史的研究」『浜田敦外』新典社 미소장
23 安田章(1980)『朝鮮資料と中世國語』笠間叢書 미소장
24 安田章(1990)『外國資料と中世國語』三省堂 미소장
25 安田章(1996)『國語史の中世』三省堂 미소장
26 安田章(2000)「『捷解新語』の重要性」『日本學報』44輯 미소장
27 安田章(2006)「復権康遇聖 : 韓國人の遺した日本語史文献」『日語日文學』32輯 미소장
28 中村栄孝(1961)「『捷解新語』の成立․改修および『倭語類解』成立の時期について」『朝鮮學報』第19輯 미소장
29 李進熙(1992)『江戸時代の朝鮮通信使』講談社學術文庫 미소장
30 仲尾宏(1997)『朝鮮通信使と徳川幕府』明石書店 미소장
31 岩淵悦太郎(1997)『康遇聖の捷解新語』『國語史論集』筑摩書房 미소장
32 辛基秀(2002)『新版朝鮮通信使往来』明石書店 미소장
33 拙稿(1993a)「「すなはち」小考」『湘南文學』27輯 미소장
34 拙稿(1993b)「『捷解新語』の副詞小考」『韓日問題硏究』創刊號 미소장
35 拙稿(1994)「「一定」小考」『湘南文學』28輯 미소장
36 拙稿(1996a)「「かねて」について」『日語日文學硏究』29輯 미소장
37 拙稿(1996b)「『捷解新語』の副詞小考2」『韓日問題硏究』4輯 미소장
38 拙稿(1997)「『捷解新語』の副詞小考3」『人文論叢』5輯, 京畿大學校 人文大學 미소장
39 拙稿(1999a)「近世日本語硏究資料としての捷解新語 : 副詞硏究における資料性の考察」『京畿大學校 論文集』43輯 미소장
40 拙稿(1999b)「近世副詞小考ー「そっと」を中心としてー」『日本語文學論叢』柏原司郎先生定年記念論集 미소장
41 拙稿(2000)「副詞「しかしか(と)」小考」『湘南文學』34輯 미소장
42 拙稿(2001a)「近世日本語の副詞硏究 ー「じょうに」「べちに」を中心としてー」『日語日文學硏究』39輯 1卷 미소장
43 拙稿(2001b)「近世日本語副詞の通史的考察 ー「いかさま」を中心にー」『日本語學研究』4輯 미소장
44 拙稿(2003a)「副詞「するする」「そうじて」小考」『日本學報』55輯 1卷 미소장
45 拙稿(2003b)「副詞「けっく」小考」『日語日文學硏究』47輯 1卷 미소장
46 拙稿(2003c)『『捷解新語』の副詞硏究』(J&C) 미소장
47 拙稿(2004)「副詞「ていと(ど)」について」『湘南文學』38輯 미소장
48 拙稿(2005)「『捷解新語』の副詞研究ー「いちえん」「いっせつ」を中心にー」『日語日文學硏究』53輯 1卷 미소장
49 拙稿(2007)「『捷解新語』の語彙考」『日本近代學研究』15輯 미소장
50 拙稿(2008)「副詞「ちと」について」『日語日文學硏究』65輯 1卷 미소장
51 拙稿(2009)「副詞「げに(も)」小考」『日本語學研究』25輯 미소장
52 拙稿(2010)「副詞「なんとして」について」『日本語學研究』29輯 미소장
53 拙稿(2012)「副詞「ほどなく」について」『日語日文學硏究』81輯 1卷 미소장
54 拙稿(2016)「副詞「しだいに」の意味用法の変遷について」『日本近代學研究』54輯 미소장
55 拙稿(2017)「『捷解新語』の言語硏究資料としての価値について」『日本近代學研究』58輯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