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 뉴스 이용자들의 인식과는 별개로 AI 뉴스앵커가 뉴스 미디어 현장 곳곳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상황에 주목하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AI 뉴스앵커에 대한 신뢰도와 뉴스 시청 의도(시청률), 인간앵커 대체에 대한 수용 정도(수용 태도), 그리고 한국에서 뉴스 이용자가 가진 AI 뉴스앵커에 대한 장단점 인식은 어떠한지 각각 고찰하였다. 본 연구결과 AI 뉴스앵커의 신뢰도는 주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는데, 실제로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신뢰도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는 AI 뉴스앵커에 대한 장단점 인식을 가진 뉴스 이용자들이 그들의 신뢰도에 따라서 시청 의도 및 인간앵커 대체에 대한 수용 정도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비록 본 연구결과에서 학력별 신뢰도와 시청 의도 관계, 그리고 성별 신뢰도와 인간앵커 대체 관계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다른 집단에서 신뢰도는 시청 의도와 인간앵커 대체에 대한 수용 정도에서 모두 주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AI 뉴스앵커를 가장 먼저 출시한 중국에서 진행된 여러 선행연구는 AI 뉴스앵커 활성화의 주요 요인으로서 신뢰도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 역시 인간앵커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한 AI 뉴스앵커의 신뢰도는 주요한 변인임을 다시 확인해 준다. 본 연구에서도 미래의 주요 뉴스 이용자인 젊은 층에서 AI 뉴스앵커의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앞으로도 AI 뉴스앵커의 영역이 계속 확대될 것임을 말한다.

권호기사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대원 (2017). 인공지능이 쓴 기사에 대한 소비 선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방송학보』, 31권 6호, 5~46. 미소장
2 김동환·이준환 (2015). 로봇저널리즘: 알고리즘을 통한 스포츠 기사 자동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9권 5호, 64~95. 미소장
3 김영주·오세욱·정재민 (2015). 『로봇 저널리즘: 가능성과 한계』(연구서2015-0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4 김현경 (2018).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법적 취급 차별화 방안 검토. 『충남대학교 법학연구』, 29권 2호, 119~162. 미소장
5 김형주 (2018). 인공지능 철학 국내 연구동향 분석-인공지능 철학의 생장점에서. 『인공지능 인문학연구』, 1권, 39~68. 미소장
6 박지은 (2020). ‘안녕하세요’ 김주하 AI 앵커가 반갑게 인사했다. 『한국기자협회보』 (2020.11.17.). 미소장
7 박흥식 (2008). 『뉴스앵커의 평판이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상파TV 3사의 메인 뉴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 신하얀·권상희 (2021).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뉴스앵커에 대한 수용 의도의 선행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권 4호, 205~219. 미소장
9 안윤기 (2019). 소통, 이성, 그리고 인공지능. 『인공지능 인문학연구』, 3권, 99~120. 미소장
10 양승찬·서희정 (2017). 온라인 뉴스에서 제공되는 집합적 정보가 개인의이슈에 대한 지각, 태도,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44권, 5~47. 미소장
11 양천효·유홍식 (2015). 뉴스 보도에서 예시와 프레임의 공존이 수용자의이슈 지각과 판단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36권, 61~96. 미소장
12 윤재홍 (2008). 방송기자의 텔레비전 뉴스 보도 기준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9권, 123~158. 미소장
13 이정교·우린(2012). 뉴스 앵커의 카리스마가 수용자의 뉴스 신뢰도, 뉴스시청의도, 프로그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앵커의 동일시와 공신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6권 4호, 173~214. 미소장
14 이지영 (2019). 머니브레인, ‘사람을 닮은 AI 아나운서 개발한 이유는…’. 『BLOTER』(2019.7.19.). 미소장
15 이윤영 (2021). AI 아나운서 확산에 따른 법적 논란에 관한 영역별 쟁점의고찰.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9권 2호, 83~111. 미소장
16 이윤영·안종묵 (2018). 로봇저널리즘(Robot Journalism)의 사례와 이슈에관한 탐색적 고찰. 『커뮤니케이션학연구』, 26권 2호, 165~186. 미소장
17 허 신 (2021). 『인공지능 앵커의 중국에서 운영사례와 활용 방안 고찰』.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8 董学明 (2019). AI 합성 앵커’가 뉴스산업에 미치는 영향(AI合成主播’对新闻业态的影响). 『中国新华社』, 2019-3호, 55~84. 미소장
19 李 伟 (2019). 인공지능 앵커를 통해 본 신화사 융합 혁신 발전(从人工智能主播看新华社融合创新发展). 『中国记者』,2019-8호, 142~153. 미소장
20 王俊斌 (2019). 얕은 이야기 AI 합성 앵커의 사회자 대체 가능성(浅谈AI合成主播替代主持人的可能性). 『传播力研究』,2019-4호, 109~115. 미소장
21 殷 雷 (2019). 『미디어 분야에서 AI 기술의 적용에 관한 연구(AI技术在传媒领域的应用研究)』. 하얼빈사범대학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2 何 琦 (2019). 얕은 이야기 ‘AI 합성 앵커’가 뉴스캐스트 진행 산업에 미치는 영향(浅谈 ‘AI合成主播’对新闻播音主持行业的影响).『声屏世界』,2019-3호, 33~39. 미소장
23 黄锡捷 (2020). 중국 신화통신 ‘신샤오미’가 선보여 3D판 인공지능 앵커(中国新华社‘新小微’亮相,3D版AI合成主播). 『传媒内参导读』, 2020-5호, 34~39. 미소장
24 Arpan, L. M., & Raney, A. A. (2003).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news source and the hostile media effect.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 ion Quarterly, 80, 265~281. 미소장
25 Carlson, M. (2015). The Robotic Reporter. Digital Journalism, 3(3), 416~431. 미소장
26 Caswell, D. (2017). Automated Journalism 2.0: Event-driven narratives. Journalism Practice(https://doi.org/10.1080), 1~20. 미소장
27 Cohen, N. S. (2015). From Pink Slips to Pink Slime: Transforming Media Lab or in a Digital Age. The Communication Review, 18(2), 98~122. 미소장
28 Cassidy, W. P. (2007). Online news Credibility: An examination of the perce ptions of newspaper journalist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 unication, 12, 478~498. 미소장
29 Dalen, A. (2012). The algorithms behind the headlines. Journalism Practice, 6(5/6), 648~658. 미소장
30 Derek, T. (2016). The Development of Virtual Technology. Science and Tech nology Forum, 18(6), 325~357. 미소장
31 Dialani, P. (2018). AI News Anchor, The Future id Here, Analytic Insight (Nov. 12, 2018). 미소장
32 Dörr, N., & Hollnbuchner, K. (2017). Ethical Challenges of Algorithmic Journalism. Digital Journalism, 5(4), 404~419. 미소장
33 Dörr, N. (2016). Mapping the field of Algorithmic Journalism. Digital Journalism, 4 (6), 700~722. 미소장
34 Handley, L. (2018), The ‘world’s first’ A.I. news anchor has gone live in Chin a, CNBC(November 19, 2018). 미소장
35 Jin, X., Ye, Q., & Zhang, Y. (2021). Trust and Credibility: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iving an AI Anchor as AI and Human. Conference: 71st Annual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At: Denver, United States(Virtual, 2021.5). 미소장
36 Lewis, S. C. (2020). Lack of trust in the news media, institutional weakness, and relational journalism as a potential way forward. Journalism, 21(3), 345~348. 미소장
37 McBrayer, J. P. (2020). Beyond Fake News: Finding the Truth in a World of Misinformation. London: Taylor & Francis. 미소장
38 Montal, T., & Reich, Z. (2017). I, robot. You, journalist. Who is the author? Authorship. Digital Journalism, 5(7), 829~849. 미소장
39 Thurman, N., Dörr, N., & Kunert, J. (2017). When Reporters get hands-on with Robot-writing. Digital Journalism, 5(10), 1240~1259. 미소장
40 Ugur, M. (2020). The European Union and Turkey: An Anchor/Credibility Dil emma. London: Taylor & Francis. 미소장
41 Yang, Y., Yang, J., & Yu, G. (2021). Beyond Interface: AI News Anchors as a Form of Brand-New Media Presentation. French Journal For Media Research [online]: https://frenchjournalformediaresearch.com:443/lodel -1.0/main/index.php?id=210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