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digital cinema semiotics’ theoretically. This is an attempt to rethink the conventional cinema semiotics based on today’s digital conditions. There have been attempts to introduce the linguistics model (Metz), phenomenology (Mitry), and bodies-passions (Greimas & Fontanille) to explain the “sign” of cinema. To synthesize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proposed to view the ‘sign’ of the cinema as the ‘cinematograph.’ Cinematograph is one of the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with its own logic and system, meaning movement-graphic. This is because, unlike the “sign” of cinema, cinematographs are closely related to our bodies, perception system, and (un)consciousness as a writing system. Meanwhile, the digitization of the cinema allows the analysis of the movement-value of cinematographs. The computability of cinematographs is the condition of digital cinema semiotics. And this paper proposes a skeleton algorithm as a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 This algorithm can help qua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s action-movement value. Of course, it isn’t quite meaningful to analyze the value of one separated action-movement. It is similar to the attribute of ‘sign’ defined by Saussure. The meaning of the sign is constituted only through ‘differences’ and ‘combinations.’ Therefore, the cinematograph’s movement-value should be analyzed in terms of differences and combinations with other data, not just itself.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디지털 영화 기호학을 위한 이론적 시론 : Theoretical review of digital cinema semiotics and proposal of skeleton algorithm / 이론적 검토와 스켈레톤 알고리즘의 제안을 중심으로 강수환 p. 487-518

배우 송강호가 재현하는 영화 속 아버지 담론 연구 = The study on the father discourse of the Korean movie represented by film actor, Gang-Ho Song 서인숙 p. 519-550
희토류와 전자폐기물에 대한 미디어 유물론 연구 : Media materialism of rare earths and e-wastes : focusing on Parikka’s concept of ‘medianatures’ / 파리카의 '미디어자연' 개념을 중심으로 심효원 p. 551-578

초월의 빛 혹은 일상의 위로 : Transcendental light or quotidian comfort : reading Koreeda’s Maboroshi along with the original novel /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환상의 빛>을 원작 소설과 함께 읽기 이혜수 p. 611-632
다성적-다감각적 내러티브와 여성 주체들의 대항-역사쓰기 : The polyphonic-multisensory narrative and the female subjects’ writing of counter-history : Im Heung-soon’s Good Light, Good Air, an installation (2018) and a feature-length documentary (2020) / 임흥순의 <좋은 빛, 좋은 공기> 설치작품(2018)과 다큐멘터리 영화(2020) 이선주 p. 579-610

On the redirection of destructive drives : slave rebellion in modern science fiction Bradley, Joff P.N p. 633-651
"About a life shaped by exploitation" : the uncanny racialized capitalism and the (black) performative in Sorry to Bother You Lee, Shinyoung p. 653-680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수환. 디지털 기호학으로의 이행에 관한 매체 철학적 연구 .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2 강수환. 박승보, 김영훈, 유은순. 영화 서사 속 갈등의 정량화 연구: 등장인물의얼굴면적 비교를 중심으로 . 『방송공학회논문지』 24.1 (2019): 153-63. 미소장
3 강찬석. 『키넥트 개발 입문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감교류로보틱스연구센터, 2012. 미소장
4 그레마스, A. J.(Greimas, A. J.), 자크 퐁타뉴(Jacques Fontanille). 『정념의 기호학』. 유기환, 최용호, 신정아 역. 강, 2014. 미소장
5 김미경, 차의영. 스켈레톤 벡터 정보와 RNN 학습을 이용한 행동인식 알고리즘 . 『방송공학회논문지』 23.5 (2018): 598-605. 미소장
6 데리다, 자크(Derrida, Jaques), 베르나르 스티글러(Bernard Stiegler). 『에코그라피』. 김재희, 진태희 역. 민음사, 2014(제2판). 미소장
7 메츠, 크리스티앙(Metz, Christian).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1』. 이수진 역. 문학과지성사, 2011. 미소장
8 메츠, 크리스티앙(Metz, Christian). 『영화의 의미작용에 관한 에세이 2』. 이수진 역. 문학과지성사, 2011. 미소장
9 박일우. 영화기호학을 향한 일반기호학의 제언 . 『기호학연구』 26 (2009): 9-34. 미소장
10 소쉬르, 페르디낭 드(Saussure, Ferdinand de). 『일반언어학 강의』. 최승언 역. 민음사, 1990. 미소장
11 심형근. 영화 <로얄 테넌바움> 미장센에 나타난 감성색채 이미지 분석 . 『한국콘텐츠학회지』 20.5 (2020): 261-70. 미소장
12 이현석, 김승필, 정완영. 키넥트의 모션 인식 기능을 이용한 수화번역 시스템 개발 .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14.4 (2013): 235-42. 미소장
13 최승원. 시대 변화에 따른 영화영상의 페이스에 대한 고찰: 영상편집을 중심으로 . 『애니메이션연구』 15.2 (2019): 104-21. 미소장
14 키틀러, 프리드리히(Kittler, Friedrich). 『기록시스템 1800 1900』. 윤원화 역. 문학동네, 2015. 미소장
15 히데타카, 이시다(石田英敬).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 윤대석 역. 사회평론, 2017. 미소장
16 히데타카, 이시다(石田英敬). “Body and Letters in the Age of New Media: How can we reformulate the Semiotic Project in the context of East Asia?,” 『기호학 연구』 35 (2013): 33-49. 미소장
17 히데타카, 이시다(石田英敬). “Technological Grammatization and psychic apparatus: On Sigmund Freud’s «Note on the ‘magic block’»(1925).” 『영상문화』 27 (2015): 41-55. 미소장
18 히데타카, 이시다(石田英敬). (ed) 『メ予ア表象』. 東京大学出版会, 2015. 미소장
19 히데타카, 이시다(石田英敬). 東浩紀. 『新記号論: 脳とメディアが出会うとき』. ゲンロン, 2019. 미소장
20 Aberman, Kfir, Rundi Wu, Dani Lischinski, Baoquan Chen, and Daniel Cohen-Or. “Learning Character-Agnostic Motion for Motion Retargeting in 2D”, SIGGRAPH 2019. 미소장
21 Citizen Kane. Dir. Orson Welles. Mercury Productions, 1941. 미소장
22 Deleuze, Gill. Cinema 1: The Movement-Image, trans. Hugh Tomlinson and Barbara Hammerjam. Minnesota UP, 1986. 미소장
23 Deleuze, Gill. Cinema 2: The Time-Image, trans. Hugh Tomlinson and Barbara Hammerjam. Minnesota UP, 1986. 미소장
24 Freud, Sigmund. General Psychological Theory: Papers on Metapsychology. Simon & Schuster, 2008. 미소장
25 Freud, Sigmund.The Interpretation of Dreams, trans. A. A. Brill, Wordsworth Editions Ltd, 1997. 미소장
26 Gardiner, Eileen, and Ronald G. Musto. The Digital Humanities. Cambridge UP, 2015. 미소장
27 Lacan, Jacques. Écrits, trans. Bruce Fink. W. W. Norton & Company, 2006. 미소장
28 Manovich, Lev. “Cultural Analytics: Visualizing Cultural Patterns in the Era of ‘More Media’.” Domus 923. Mar. 2009. 미소장
29 Manovich, Lev.Cultural Analytics. The MIT P, 2020. 미소장
30 Mitry, Jean. The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Cinema, trans. Christopher King. Indiana UP, 1997. 미소장
31 Pasolini, Pier Paolo. interviewed by Michel Random, Pier Paolo Pasolini: vivre et encore plus. Institut culturel de l’audiovisuel. 미소장
32 Serrancolí, Gil, Peter Bogatikov, Joana P. Huix, Ainoa F. Barberà, AJ. Sánchez Egea, Jordi T. Ribé, Samir Kanaan-Izquierdo, and Antoni Susín. “Marker-less monitoring protocol to analyze biomechanical joint metrics during pedaling,” IEEE Access, 8(2020): 122782-122790. 미소장
33 Stiegler, Bernard. Technics and Time, 2: Disorientation, trans. Stephen Barker. Stanford UP, 2009. 미소장
34 Stiegler, Bernard. What Makes Life Worth Living: On Pharmacology. Polity, 20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