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녀가 쉼터경험이 쉼터 당시의 삶과 쉼터 퇴소 후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 접근의 현실적 한계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1개의 보호시설에 거주하였던 현재 성인이 된 6명의 가정폭력 피해 자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쉼터에서의 생활, 쉼터 퇴소 후 생활)와, 9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쉼터에서의 생활이 당시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결과는 ‘생명이 위협받는 삶에서 벗어남’, ‘폭력 바로 바라보기’, ‘새로운 삶이 열리는 공간’, ‘인생의 든든한 지원군이 있는 곳’인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쉼터 퇴소 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는 ‘노력하면 달라진다는 희망’, ‘마음의 치유’, ‘나를 위한 주체적인 삶’, ‘타인과 심리적 거리두기’, ‘지워지지 않는 흔적’인 5가지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가정에 대한 개입 방안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외상사건에 대한 회복을 위한 쉼터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n the children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life experience in shelters, both at the time of the shelter experience and after leaving the shelter. Methods: Using the purpose sampling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children who are currently adults who lived in one shelter located in Seoul. Results: Apply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wo categories, nine sub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Subcategories include “Getting out of life threatened,” “Looking at violence right away,” “A space where a new life opens,” “Where there is a strong supporter of life.”, “Hope that effort will change,” “Healing of the mind,” “Independent life for me,” “Psychological distancing from others,” and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and data necessary for intervention measures for families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role of shelters for the recovery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trauma case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진아 (2017). 가정폭력을 경험한 부부에 대한 정서중심 부부치료 사례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5(3), 419-437. | 미소장 |
2 | 강희숙, 신경애 (2014). 폭력가정의 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집단 미술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0(2), 337-364. | 미소장 |
3 | 김선숙, 고윤순, 허남순 (2008). 가정폭력 쉼터퇴소자의 사회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27. | 미소장 |
4 | 김순규 (2007). 보호요인이 피학대 아동의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9(2), 266-269. | 미소장 |
5 | 김재엽, 조학래, 양혜원 (2003).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문제와 개입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5, 27-54. | 미소장 |
6 | 김재엽, 양혜원, 김희수 (2005). 아내폭력 노출이 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분속: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0), 67-101. | 미소장 |
7 | 김정란 (2003). 가정폭력노출 실태분석을 통한 피해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력 향상방안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2), 1-23. | 미소장 |
8 | 김주현, 이연호 (2008). 가정폭력피해여성의 비폭력적 결혼관계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3, 5-41. | 미소장 |
9 | 김혜영, 석말순 (2003). 아동기 학대적 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6, 71-97. | 미소장 |
10 | 나은숙, 정익중 (2007).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8(4), 35-49. | 미소장 |
11 | 류은주 (2009). 가정폭력피해여성들의 생애사 연구: 자립과 자립 이후의 사회적응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8), 5-34. | 미소장 |
12 | 문영희 (2011). 아동학대방지와 학대피해아동의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문지혜, 정혜정 (2015). 대학생이 지각하는 성장기 폭력 경험과 폭력허용도 및 데이팅 폭력의 관계. 가족과 가족치료, 23(4,) 627- 653. | 미소장 |
14 | 민대기, 최미경 (2016). 아동, 청소년 여학생의 가정 및 학교 폭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혼합모형을 이용한 종단자료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1), 101-110. | 미소장 |
15 | 박상태 (2018).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보호시설 경험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박영란 (2007).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가정폭력 피해자의 욕구와 피해자 보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한국여성학, 23(3), 189- 214. | 미소장 |
17 | 박희숙 (2002). 여성폭력쉼터 이용자들의 경제적자립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신나라 (2019). 가정폭력 피해가정의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쉼터거주 피해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50(4), 119-150. | 미소장 |
19 | 신민섭, 오경자, 홍가의, 김해숙 (2004).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11-636. | 미소장 |
20 | 신영화 (2003). 가정폭력에 노출된 성인아이 성향 자녀의 가족에 대한 개입. 한국가족치료학회, 11(1), 127-153. | 미소장 |
21 | 신혜섭 (2005). 가정폭력 요인과 가족구조 요인이 남녀 학생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문화, 17(2), 63-88. | 미소장 |
22 | 여성가족부 (2017). 가정폭력실태조사결과.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jsessionid=NbcPKm8kjsLDQO49u8nh8cjC.mogef20?mid=news405&bbtSn=70489 | 미소장 |
23 | 여성가족부 (2019). 가정폭력실태조사결과. http://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jsessionid=NbcPKm8kjsLDQO49u8nh8cjC.mogef20?mid=news405&bbtSn=70489. | 미소장 |
24 | 유해선 (2004).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위기개입서비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가정폭력 상담소의 개입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이상준 (2006a).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심리적 요인과 학업적 탄력성. 청소년학연구, 13(1), 137-163. | 미소장 |
26 | 이상준 (2006b).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사회적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환경적 보호요인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8(2), 331-353. | 미소장 |
27 | 이은순 (2009).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에서 경험한 퇴소에 따른 어려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을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8 | 이인선, 최지현 (2014). 청소년의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학교폭력의 중복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3), 259- 281. | 미소장 |
29 | 이찬주, 주영아 (2014). 부모공감 및 회복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대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21-145. | 미소장 |
30 | 장덕희 (2001). 가정폭력 경험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8(2), 229-258. | 미소장 |
31 | 장덕희 (2004). 가정폭력 경험특성에 따른 자녀의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부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1(3), 65-91. | 미소장 |
32 | 장덕희 (2010). 보호요인이 가정폭력경험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1), 21-43. | 미소장 |
33 | 전해숙 (2008). 아동학대 및 아동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아동 우울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사회사업, 30, 55-77. | 미소장 |
34 | 정주연 (2010).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경험 여성의 이혼 후 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35 | 정혜정 (2003).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3), 73-91. | 미소장 |
36 | 최순화 (2002). 가정폭력이 자녀들의 심리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37 | 허소담 (2020).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38 | Belsky, J. (1980).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American Psychologist, 35, 320-335. | 미소장 |
39 |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 미소장 |
40 | Belsky, J. (1993). Etiology of child maltreatment: A developmental. ecological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4(3), 413-434. | 미소장 |
41 | Bogdan, R. C., & Biklen, S. K. (2007).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5th ed). Boston, MA: Pearson Allyn & Bacon. | 미소장 |
42 |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43 | Dobash, R. P., & Dobash, R. E. (1979). Violence against wives: A case against patriarchy. New York: The Free Press. | 미소장 |
44 | Faller, K. C. (1997). Child abuse: A form of family violence. 한국아동복지학회 제 8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pp. 150-173). | 미소장 |
45 | Glenn, C., & Goodman, L. (2015). Living with and within the rules of domestic violence shelters. Violence Against Women, 21(12), 1481-1506. | 미소장 |
46 | Holden, G. W. (1998). Children exposed to marital violenc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into another consequence of family violen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47 | Howells, N. L., & Rosenbaum, A. (2008). Examination of sex differences and type of violence exposure in a mediation model of family violence. Journal of Emotional Abuse, 8(1-2), 123-138. | 미소장 |
48 | Hughes, J. (2020). Women’s advocates and shelter residents: Describing experiences of working and living in domestic violence shelte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5(15-16), 3034-3053. | 미소장 |
49 | O'Keffe, M. (1998). Factors mediating the link between witnessing interperson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13(1), 39-57. | 미소장 |
50 | Padgett, D. K. (200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51 | Patton, M. (198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2nd ed). London: Sage. | 미소장 |
52 | Perez, S., Johnson, D. M., & Wright, C. V. (2012). The attenu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IPV-related PTSD symptoms in battered women living in domestic violence shelters. Violence Against Women, 18, 102-117. | 미소장 |
53 | Rutter, M. (1991).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In J. Rolf, A. S. Masten, D. Cicchetti, K. H. Nuechterlein, & S. Weintraub (Eds.), Risk,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pp. 181-21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4 | Stake, R.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55 | Van 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