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조경수목 판매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자귀나무의 묘목 상태에 따른 재배 후 활착과 생장 특성에 대하여 실증 조사·분석 하였다. 자귀나무 묘목의 상태는 묘고, 근원직경, 잔존길이, 단근면적, 뿌리 짓무름이 매우 불균질하 였다. 조경수목 유통시장에서 판매하는 자귀나무 묘목을 재배한 결과 활착률은 76.7%로 활착률이 매우 낮은 편이었다. 자귀나무 묘목이 고사하는 주요 원인은 묘고, 근원직경, 잔존길이, 단근강도, 단근면적 때문이라기 보다는 짓무름이 심한 것이 주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자귀나무 묘목 재배 후 수고생장, 근원직경생장, 잔뿌리 건중량은 개체별로 매우 불균질하게 나타났다. 자귀나무 묘목 재배 후 생장은 묘목의 묘고, 근원직경, 잔존길이, 단근강도가 크고, 짓무름이 적은 것 일수록 묘목 재배 후 수고생장, 근원직경생장, 잔뿌리 건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자귀나무 묘목 재배 후 수고생장, 근원직경 생장, 잔뿌리 건중량이 개체별로 매우 불균질하게 생장한 것은 묘목의 묘고, 근원직경, 잔존길이, 단근 상태가 매우 불균질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조경수목의 묘목 상태가 불량하거나 불균질하게 되면 재배 후 불균질한 생장을 하게 된다. 조경수목의 생장이 불균질하게 되면 조경수목 구입자 요구 불충족으로 매출의 손실, 경쟁우위가 낮아짐, 재배관리의 어려움, 생산성의 손실, 농장 이미지의 실추, 고객만족도 낮아짐, 제때에 규격품 판매의 곤란 등으로 조경수목 재배농가의 경제에 직․간접으로 큰 어려움을 겪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경수목이 제대로 생장하고 균질한 규격품으로 생산되기 위해서는 조경수목의 묘목은 충실하면서도 균질한 것이 유통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ded out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characteristics after cultiva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distributed in the landscaping trees market. The condi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was very heterogeneous in sapling height, root diameter, remaining length, root cut strength, and root rot. As a result of cultiva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sold in the landscaping trees market, the survival rate was very low at 76.7%. It was assumed that the main cause of die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was severe root rots rather than sapling height, root diameter, remaining length, root cut intensity, or root cut strength. After cultiva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height growth, root diameterr growth, and feeder root dry weight of fine-roots were found to be very heterogeneous for each sapling. The growth after cultiva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showed that the height growth, root diameter growth, and dry weight of fine-roots of the saplings were found to be large when they had large sapling height, root diameter, remaining length, and root cut strength but with small root. As such, it was assumed that the cause of very inhomogeneous height growth, root diameter growth, and dry weight of fine-roots after cultiva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for each sapling was the heterogeneous conditions of the saplings such as sapling height, root diameter, remaining length, or root cut. If the condition of landscaping tree saplings is poor or inhomogeneous, the growth after cultivation will also be heterogeneou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주국립공원 용담정 일대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of Yongdamjeong in Gyeongju National Park 유주한, 곽수빈 p. 145-159

청령천습지(경주 안강)의 관속식물상 = Vascular plants of Cheongryeongcheon wetland (Angang, Gyeongju) 유주한, 김영훈 p. 160-173

한국 전통사찰의 정원 문화경관 연구 : Characteristics of cultural landscapes about the garden of the traditional Korean temple : in the case of Hwaeomsa / 화엄사를 중심으로 이행열, 신현실 p. 174-188

생활권습지 기반 생태계서비스 간편평가지표(RAWES) 개선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the ‘rapid assessment index of ecosystem services (RAWES)’ based on living area wetlands 박미옥 p. 189-197

역사관광지의 주민참여형 마을정원 계획 : Village garden plan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historic tourist sites : for Jeonju Hanok Village /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이애란 p. 198-207

신 환경 패러다임에 대한 유아숲 지도사들의 인식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forest kindergarten teacher on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이수경, 이위, 이시영 p. 208-218

중국 산업 유산지 기강공원 조성에서 시민참여 과정 고찰 = A study on the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 of Qijiang Park planning using industrial heritage in China 손지아, 양건석 p. 219-228

자귀나무 묘목 상태에 따른 재배 후 경시적 생장 특성 = Growth characteristics over time after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saplings 김화정, 한용희, 김도균 p. 229-238

기후변화 적응대책에 대한 공무원과 전문가의 인식 비교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priority awareness by sector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measures : focused o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 충청남도 홍성군을 대상으로 구본학, 권순효, 서주영, 박미옥 p. 239-254

도시 전통시장의 입체녹화 도입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이 미치는 행동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ctivation recognition through the physical improvement of urban traditional markets on the use of parks 최재현 p. 255-266

외암리 마을 수로특징에 대한 일본사례와의 비교 고찰 =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way in Oeam Village with the Japanese cases 홍광표, 이혁재, Kunihiro Sasaki p. 26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