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윤호 (2008). 지역경제 성장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행정학보, 42(1): 365-381. | 미소장 |
2 | 강형기・허훈 (1999). 지방자치단체 경영혁신을 위한 표준적인 평가모델의 개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1(1):23-43. | 미소장 |
3 | 권경환 (2005). 기초단체장 재선이 자치단체 세출예산 지출패턴에 미친 영향분석. 지방정부연구, 9(3): 291-308. | 미소장 |
4 | 금종예・임현정 (2019). 지방정부 신뢰가 현직 기초자치단체장의 재선에 미치는 영향: 2014 년 지방선거와 2018 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3(1): 25-52. | 미소장 |
5 | 김교성ᆞ・이재완 (2000). 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41: 68-92. | 미소장 |
6 | 김덕진 (2019). 지방의회 역량 강화를 위한 제언. 한국지방정치학회 공동 정책토론회 토론문. | 미소장 |
7 | 김정숙 (2018).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동학이 세외수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22(2): 51-75. | 미소장 |
8 | 김태일 (2001). 지방의회 구성과 단체장 선출이 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규모에 미친 영향. 한국행정학보, 35(1): 69-89. | 미소장 |
9 | 문수진・이종열 (2015).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지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5(4):137-159. | 미소장 |
10 | 모성은 (1999). 지역경제 성장요인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1(1): 45-62. | 미소장 |
11 | 박기묵・최원삼 (2003). 지방자치가 지역개발과 사회복지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 시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4(2): 161-175. | 미소장 |
12 | 박지영・조정래 (2019). 기초자치단체장 재선 득표율 결정 요인-성과 요인과 정치 요인. 한국정책학회보, 28(3): 189-220. | 미소장 |
13 | 서재권・김태완 (2016). 지역경제성장의 정치적 결정요인: 광역자치단체 간 교차분석(1995∼2014). 한국정치학회보, 50(4): 171-198. | 미소장 |
14 | 안영훈 (2007). 지방의회 운영체제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 미소장 |
15 | 엄영호・손선화・박나라・김정숙 (2020). 집행부와 의회의 역량이 지방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과학논집, 51(2): 143-163. | 미소장 |
16 | 앤서니 다운스 (1957/2013). 박상훈・이기훈・김은덕(역). 경제 이론으로 본 민주주의: 민주주의에서 정당정치는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파주: 후마니타스. | 미소장 |
17 | 원구환 (2004). 참여정부의 중앙-지방정부 관계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6(4): 51-70. | 미소장 |
18 | 유병선 (2019). 지방의회의 역할・기능 강화 방안: 지방정부의 자치입법권 확대를 중심으로. 대전세종연구원연구보고서. | 미소장 |
19 | 이윤식 (2006).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평가방법에 관한 개선방안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6(3): 1-33. | 미소장 |
20 | 이재현 (2017). 지방정치와 지방정부 성과: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 패널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51(2): 23-45. | 미소장 |
21 | 이재현 (2020). 지방의회 권력구조와 지역 주민의 정치참여. NGO 연구, 15(1): 175-197. | 미소장 |
22 | 이창원・최창현・권해수 (1998). 지방자치단체장의 조직효과성 평가에 관한 연구: 계층분석절차 기법을이용한 평가지표의 개발 및 적용. 한국행정학회보, 32(1): 129-145. | 미소장 |
23 | 정명은・이종수 (2008). 지방정부의 정당구도가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미치는 영향. 도시행정학보, 21(1): 25-48. | 미소장 |
24 | 조정래 (2016) 분할정부, 정책정향, 의정활동: 수평・수직적 분할정부가 지방정부의 정책정향과 의정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1): 211-243. | 미소장 |
25 | 최근열・장영두 (2009). 지방의회 의정활동의 성과평가: 경상북도의회를 사례로. 한국행정논집, 21(3): 863-894. | 미소장 |
26 | 최성락・노우영 (2005). 지방정부의 정당구조가 지자체 사회복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행정논총, 43(1):195-215. | 미소장 |
27 | 황명찬・이성복・권경득 (1997). 지방정부의 행정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의 평가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9(4): 139-159. | 미소장 |
28 | Balaguer-Coll, M. T., Prior, D., and E. Tortosa-Ausina (2013). Output Complexit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Efficiency of Municipalities.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39(3): 303-324. | 미소장 |
29 | Beck, Thorsten, G. Clarke, A. Groff, P. Keefer, and P. Walsh (2001). New Tools in Comparative Political Economy: The Database of Political Institutions. The World Bank Economic Review, 15(1): 165-176. | 미소장 |
30 | Besley, T., Persson, T., and D. Sturm (2005). Political Competition and Economic Performance: Theory and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No. w11484).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 미소장 |
31 | Boschken, H. L. (1994).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Multiple Constituenci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4(3): 308-312. | 미소장 |
32 | Boyne, George A. (2002). Theme: Local Government: Concepts and Indicators of Local Authority Performance: An Evaluation of the Statutory Frameworks in England and Wales. Public Money and Management, 22(2): 17-24. | 미소장 |
33 | Boyne, G. A., James, O., John, P., and N. Petrovsky (2009). Democracy and Government Performance:Holding Incumbents Accountable in English Local Governments. Journal of Politics, 71(4):1273-1284. | 미소장 |
34 | Castanheira, Micael, Nicodème, G., and P. Profeta (2012). On the Political Economics of Tax Reforms: Survey and Empirical Assessment. International Tax and Public Finance, 19(4): 598-624. | 미소장 |
35 | Choi, Yoo-Sung, and Deil S. Wright. (2004). Intergovernmental Relation (IGR) in Korea and Japan:Phases, Patterns, and Progress toward Decentralization (Local Autonomy) in a Trans-pacific Context.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9(1): 1-22. | 미소장 |
36 | Curtis, Donald (1999). Performance Management for Participatory Democracy: Thoughts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South African Local gover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12(3): 260-273. | 미소장 |
37 | Espasa, Q. M., Esteller‐Moré, Alejandro, and A. J. Mora Corral (2017). Is Decentralization Really Welfare Enhancing? Empirical Evidence from Survey Data (1994‐2011). Kyklos, 70(2): 189-219. | 미소장 |
38 | Fiorina, M. P. (1981).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Gains, Francesca, S. Greasley, P. John, and G. Stoker (2009). The Impact of Political Leadership on Organis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English Urba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Studies, 35(1): 75-94. | 미소장 |
40 | James, Oliver (2010). Performance Measures and Democracy: Information Effects on Citizens in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1(3):399-418. | 미소장 |
41 | Kaplan, R. S., and D. P. Norton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0(1): 71-79. | 미소장 |
42 | Kim, Pan S., and Jae-Young Kim (2003). Fiscal Autonomy of Korean Local Governments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the 1990s. Journal of Public Budgeting, Accounting &Financial Management, 15(3): 414-437. | 미소장 |
43 | Martin, Carolyn A. (2005). From High Maintenance to high Productivity: What Managers Need to Know about Generation Y.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37(1): 39-44. | 미소장 |
44 | Narbón-Perpiñá, I., Balaguer-Coll, M., and E. Tortosa-Ausina (2019). Evaluating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in Times of Crisis. Local Government Studies, 45(1): 64-100. | 미소장 |
45 | Nielsen, Poul A., and Donald P. Moynihan (2017). How Do Politicians Attribute Bureaucratic Responsibility for Performance? Negativity Bias and Interest Group Advocacy.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27(2): 269-283. | 미소장 |
46 | Putnam, Robert D. (1992). Civic Culture and Government Performance in the American States. Publius: The Journal of Federalism, 27(1): 99-114. | 미소장 |
47 | Schragger, Richard C. (2005). Can Strong Mayors Empower Weak Cities? On the Power of Local Executives in a Federal System. Yale Law Journal, 115: 2542-2578. | 미소장 |
48 | Sellers, Jefferey M., and Anders Lidström (2007). Decentralization, Local Government, and the Welfare State. Governance: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olicy,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s, 20(4):609-632. | 미소장 |
49 | Šťastná, L., & M. Gregor (2015). Public Sector Efficiency in Transition and Beyond: Evidence from Czech Local Governments. Applied Economics, 47(7): 680-699. | 미소장 |
50 | Weitz-Shapiro, Rebecca (2008). The Local Connection: Local Government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ith Democracy in Argentina.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41(3): 285-308. | 미소장 |
51 | Wright, D. S. (1978). Understanding Intergovernmental Relations: Public Policy and Participants’Perspectives in Local, State, and National Governments. North Scituate, MA: Duxbur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