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6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학교 문법에서는 ‘냇가’의 발음을 대개 ‘ㅅ’이 첨가된 후 경음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허웅(1968:162)에서 사잇소리 첨가 이후 여러 음운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들을 한데 모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부르면서 학교 문법에 사잇소리 현상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현상은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하나의 음운 현상으로 볼 수 없다. 현재의 사잇소리 현상은 첨가 현상과 교체 현상이 뒤섞여 있어서 음운 현상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도 문제가 있다.

이러한 사잇소리 현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유일한 방법은 사잇소리 현상을 해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첨가 현상과 교체 현상을 분리해야 하는데, 첨가 현상으로는 ㄷ 첨가 현상과 ㄴ 첨가 현상이 분석되고, 교체 현상으로는 비음화 현상, 유음화 현상이 분석된다. 이 중 ㄷ 첨가 현상은 그동안 학교 문법에서 다루지 않았던 현상이지만, 음운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ㄷ 첨가 현상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LDA를 활용한 아동문학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hildren's literature using LDA : focusing on KCI registered papers / KCI 등록 논문을 중심으로 하근희 p. 7-38

쓰기 윤리로서의 '인용' 교육 내용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methods to improve quotation education contents for ethical writing : focused on analysi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iddle school textbooks /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중학교 국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이소라, 류수경 p. 39-67

모국어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이 외국인 학습자의 말하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speaking classes using the native language on the speaking efficacy of foreign learners : focused on Vietnamese language learners / 베트남어권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박찬흥, 이경훈 p. 69-95

한·중 근대 편지 쓰기 교육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modern letter writing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letter writing textbooks / 한·중 편지 쓰기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김소연 p. 97-127

서·논술형 수능 도입을 대비한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vision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written and essay test in CSAT 최숙기 p. 129-156

교실 단위 작문 평가에서 활용 가능한 작문 자동 채점 프로그램의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an automated writing evaluation(AWE) system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based writing assessment : considering the rater’s cognitive load factor and the cognitive engineering design approach / 인지공학적 설계 접근과 채점자의 인지 부하 요인을 고려하여 김승주 p. 157-203

초등 문학교육에서 내면화 활동의 개선 방향 : Improvement direction of internalization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education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Korean textbook / 2015 개정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진솔 p. 207-233

문인수의 시에서 '동백'과 '염소', 그리고 '기러기'의 시적 변주 : Poetic variations of ‘camellia’, ‘goat’ and ‘geese’ in insu Moon’s poetry : crossing the boundaries of sub-genres / 하위갈래 간의 경계 넘기 염창권 p. 235-263

콤플렉스 중심의 인물 이해 연구 = A study on understanding complexes of characters 방은수 p. 265-291

문학교육에서 학습독자의 정서 성찰을 통한 윤리적 가치 함양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way for fostering ethical values through emotional reflection in literature education 강서희 p. 293-315

학교 문법 용어의 교육적, 일상적 사용 양상에 기반한 학습자 이해 실태 분석 : An analysis on the status of learner understanding based on the educational and daily use aspects of school grammar terminology : focused on ‘composition’ / '짜임'을 중심으로 최선희 p. 319-358

담화 의미 분석을 위한 '환경' 요소 설정 및 분석 연구 : Research on setting and analyzing ‘circumstance’ element for discourse semantic analysis : focused on adnominal clause / 관형절을 중심으로 소지영 p. 359-381

사잇소리 현상에 대한 비판과 대안 = Criticism and alternatives to the Sait-sori phenomena 이동석 p. 383-423

참고문헌 (1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옥미(2003),『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미소장
2 구본관·박재연·이선웅·이진호·황선엽(2015),『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미소장
3 김무림(1986), 사잇소리와 어중경음화의 음운적 기술,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미소장
4 김무림(1987), 사이 ‘ㅅ’의 기저형 설정에 대하여,『한국어문교육』 2, pp.45-52. 미소장
5 김무림·김옥영(2009),『국어음운론』, 새문사. 미소장
6 김미형(2005),『생활음운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7 김봉국(2014), 고등학교『독서와 문법』 교과서 속의 음운변동 내용에 대한 검토,『우리말연구』 38, pp.29-44. 미소장
8 김정수(1987), 한말[韓語] 목청 터짐소리 /ㆆ/의 실존,『한글』 198, pp.3-14. 미소장
9 김정우(1994), 음운현상과비음운론적정보에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10 김정우(1995), 사잇소리의 음운론적 기저형에 대하여,『경남어문론집』 7·8 미소장
11 김정인(2020),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내 사잇소리 현상 기술과 문제점,『국어교육』 170, pp.301-329. 미소장
12 김태경(1996), 사잇소리의 실현 과정과 개재 원인,『한국언어문화』 14, pp.135-161. 미소장
13 김태경(2005),『국어의 음운 제약과 음운 변동 현상』 한국학술정보(주). 미소장
14 김차균(1984), 현대 국어의 사이ㅅ,『언어학』 7, pp.67-82. 미소장
15 김차균(1991), 현대 국어의 사이ㅅ의 음운론,『어학연구』 27(3), pp.567-584. 미소장
16 김차균(1992), 사이ㅅ의 음운론,『국어학』 22, pp.191-236. 미소장
17 문수미(1989), 현대국어의사잇소리에관한음성학적고찰,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18 문양수(1997), 국어의 사잇소리 현상,『인문논총』 37, pp.63-80. 미소장
19 박창원(1997), 사잇소리와 사이시옷(Ⅰ),『이화어문논집』 15, pp.461-482. 미소장
20 박창원(2004), 사잇소리의 공시론과 통시론,『한국(조선)어교육연구』 2, pp.531-565. 미소장
21 배양서(1969), 형태소 “사이시옷”의 소리값,『한글』 144, pp.321-342. 미소장
22 배영환(2010), 학교문법의‘음운의변동’에대한비판적고찰,『언어학연구』 17, pp.95-115. 미소장
23 배주채(1996),『국어음운론 개설』, 신구문화사. 미소장
24 배주채(2003),『한국어의 발음』, 삼경문화사. 미소장
25 배주채(2015),『한국어음운론의 기초』, 삼경문화사. 미소장
26 백두현·이미향·안미애(2013),『한국어 음운론』, 태학사. 미소장
27 신승용(2013),『국어 음운론』, 역락. 미소장
28 신승용·안미애 (2012), 유성 자음 뒤 경음화의 특성 및 원인에 대한 고찰,『동아인문학』 22, pp.119-140. 미소장
29 신지영·차재은(2003),『우리말 소리의 체계』, 한국문화사. 미소장
30 신지영(2011),『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미소장
31 신현호(2017), 국어 어문규정 ‘사잇소리 현상’의 모호성과 문법 교과서 ‘사잇소리현상’의 문제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미소장
32 양순임(2007),『말소리』, 제이앤씨. 미소장
33 오원교(1981), 「사잇소리」에 대하여,『어문학』 41, pp.47-60. 미소장
34 오원교(2000), 사이 ㅅ의 소리값,『어문학』 71, pp.91-106. 미소장
35 오정란(1988),『경음의 국어사적 연구』, 한신문화사. 미소장
36 유창돈(1963), [ㄷ] 첨가현상의 연구 -사잇소리 현상고-,『동방학지』 7, pp.19-39. 미소장
37 이강훈(1976), 국어의 복합어 및 한자어 내부에서 일어나는 경음화 현상,『서울여자대학논문집』 5, pp.161-196. 미소장
38 이관규(2000), 사잇소리 현상과 되소리되기의 학교문법론적 접근,『21세기 국어학의 과제』, 월인. 미소장
39 이동석(2013),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새국어교육』 94, pp.193-224. 미소장
40 이동석(2020), 팔종성법의 실현 양상과 음운론적인 해석,『국어사연구』 31, pp.63-135. 미소장
41 이래호(2011), 고등학교 국어 검정 교과서의 ‘음운 규칙’ 관련 기술에 대한 고찰,『한국언어문학』 77, pp.355-385. 미소장
42 이문규(2003), 국어지식 영역 음운 관련 단원의 내용 검토,『어문학교육』 27, pp.243-264. 미소장
43 이문규(2004),『국어 교육을 위한 현대 국어 음운론』, 한국문화사. 미소장
44 이병운(1994), 형태론적 경계와 음운과정,『어문교육논집』 13·14, pp.323-347. 미소장
45 이윤동(1983), 현대국어 유성음간 무성자음의 강화에 대하여,『어문학』 43, pp.127-153. 미소장
46 이익섭(1955),『국어학개설』, 민중서관. 미소장
47 이진호(2005),『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미소장
48 이진호(2009),『국어 음운 교육 변천사』, 박이정. 미소장
49 이진호(2014),『국어 음운론 강의』(개정판), 삼경문화사. 미소장
50 이진호(2015), 학교 문법에서의 음운론 내용에 대한 비교 고찰,『언어와 정보 사회』 25, pp.305-323. 미소장
51 이진호(2021),『국어 음운론 강의』(개정 증보판), 집문당. 미소장
52 이해숙(2015), 2011 개정 국어과 교과서 음운 변동목록 및 범주화 분석,『새국어교육』 105, pp.185-216. 미소장
53 이화진(2015),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1』교과서의 ‘음운 변동’ 기술 양상과 문제점 -설명에 제시된 예시 자료를 중심으로,『국어교육학연구』50(3), pp.161-192. 미소장
54 임지룡·이은규·김종록·송창선·황미향·이문규·최웅환(2005),『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박이정. 미소장
55 전철웅(1976), 현대 한국어의 경음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미소장
56 전철웅(1979a), 음소변동에 관한 일고찰,『선청어문』 10, pp.65-95. 미소장
57 전철웅(1979b), 경음화문제 해석의 한 제안,『국어교육』 35, pp.143-154. 미소장
58 전철웅(1990), 사이 시옷, 전철웅,『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pp.186-194,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 미소장
59 조경하(2005),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현상,『이화어문논집』 23, pp.5-28. 미소장
60 조재옥(1976), 국어의 사이시옷 현상,『연구논총』 6, pp.75-84. 미소장
61 주대환(2020), 한국어 복합어의 경음화현상 재분석,『인문사회과학연구』 28(1), pp.218-237. 미소장
62 최경봉·김윤신·이동석·주세형(2017),『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육론』, 창비교육. 미소장
63 최남희(1995), ‘사잇소리’에 대하여,『한말연구』 1, pp.219-242. 미소장
64 최윤현(2006), 사잇소리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경진문화사. pp.7~25. 미소장
65 최현배(1937),『우리말본』, 연희전문학교출판부. 미소장
66 최현배(1968),『새로운 말본』, 정음사. 미소장
67 하세경·문양수(2005), 국어의사잇소리현상과최적성이론,『언어학』 41, pp.267-303. 미소장
68 유창돈(1953),『국문학사요해』, 명세당. 미소장
69 유현경·한재영·김홍범·이정택·김성규·강현화·구본관·이병규·황화상·이진호(2018),『한국어 표준 문법』, 집문당. 미소장
70 한선희(1987), 복합어 형성에 있어서의 순환적 음운현상,『고황론집』 2, pp.59-79. 미소장
71 한은주(2007), 한국어 명사 합성어의 음운론적 교체에 대한 재고찰,『언어과학』14(3), pp.115-135. 미소장
72 허웅(1965),『국어음운학』, 정음사. 미소장
73 Kim, C. W.(1967), Some Phonological Rules in Korean,『어문연구』 5, pp.153-177. 미소장
74 Kim, C. W.(1970), Boundary phenomena in Korean, Research on Language and Social Interaction 2(1), pp.1-26. 미소장
75 Kim, Y. K.(1975), Korean consonantal phonology, 탑출판사. 미소장
76 이영철(1948),『중등 국어 문법』, 을유 문화사. 미소장
77 이희승(1949a),『초급 국어 문법』, 박문출판사. 미소장
78 이희승(1949b),『고등 문법』, 박문출판사 미소장
79 정인승(1949),『표준 중등 말본』, 아문각. 미소장
80 정인승(1956),『표준 고등 말본』, 신구문화사. 미소장
81 정인승(1968),『표준 문법(인문계 고등학교)』, 계몽사. 미소장
82 이원구ㆍ이은문(1966),『표준 중등문법』, 수학사. 미소장
83 이용주ㆍ구인환(1967),『중학교 국어문법』, 법문사. 미소장
84 이은정ㆍ한인석(1967),『중학 표준문법』, 지림출판사. 미소장
85 이을환ㆍ이응호ㆍ이인섭(1967),『중학문법』, 사조사. 미소장
86 강윤호(1968),『정수 문법』, 지림출판사. 미소장
87 이명권ㆍ이길록(1968),『문법』, 삼화출판사. 미소장
88 이은정(1968),『우리문법』, 문천사. 미소장
89 이을환(1968),『인문계 고등학교 최신 문법』, 양문사. 미소장
90 이인모(1968),『새 문법』, 영문사. 미소장
91 이길록ㆍ이철수(1979),『문법』, 삼화출판사. 미소장
92 허웅(1968),『표준문법』, 신구문화사. 미소장
93 김완진ㆍ이병근(1979),『문법』, 박영사. 미소장
94 성균관 대학교 대동 문화 연구원(1985b),『고등 학교 문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미소장
95 서울 대학교 사범 대학 국어 교육 연구소(1996),『고등 학교 문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미소장
96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2),『고등학교 문법』, 두산동아. 미소장
97 박영목 외 5인(2012),『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Ⅰ』, 천재교육. 미소장
98 윤여탁 외 8인(2012),『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Ⅰ』, 미래엔. 미소장
99 이남호 외 9인(2012),『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Ⅰ』, 비상교육. 미소장
100 이삼형 외 8인(2012),『고등학교 독서와 문법Ⅰ』, 지학사. 미소장
101 박영목 외 4인(2014),『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미소장
102 윤여탁 외 9인(2014),『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미래엔. 미소장
103 이관규 외 6인(2014a),『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비상교육. 미소장
104 이관규 외 6인(2014b),『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지도서』, 비상교육. 미소장
105 이도영 외 6인(2014),『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창비. 미소장
106 이삼형 외 8인(2014),『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지학사. 미소장
107 한철우 외 7인(2014),『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교학사. 미소장
108 민현식 외 6인(2019),『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천재교육. 미소장
109 방민호 외 5인(2019),『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미래엔. 미소장
110 이관규 외 6인(2019),『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비상. 미소장
111 이삼형 외 5인(2019),『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지학사. 미소장
112 최형용 외 8인(2019),『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창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