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영화화하였다. 영화화 과정에서 문학의 구원에 관한 주제는 전복된다. 영화는 괴테의 중세적 분위기를 영상으로 구현하면서 종교적 구원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에 내재화된 악의 기원을 구현한다. 괴테의 『파우스트』의 비극적 요소는 형이상학적 고뇌와 진리의 탐구, 그리고 감각적 욕망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비극적 요소는 끊임없이 무엇인가 추구하려는 파우스트의 의지적 행동과 생성으로 연결된다. 괴테는 극의 전개 과정에서 무한한 생성의 의욕과 변화를 구현한다. 한편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에서 비극적 요소는 정신적, 물질적 곤궁과 결핍이다. 곤궁과 결핍은 생성과 변화가 아니라 이미 소멸되거나 파괴된 굳음과 정체를 추구한다.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는 권력에 관한 4부작 시리즈 중 마지막 작품이다. 그의 영화 속 파우스트는 4부작 시리즈주인공(레닌, 히틀러, 히로히토)의 욕망을 투영하고 있다. 영화는 사랑과 구원에 대한 실천과 노력이 부재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간의 구원이 아니라 악마를 유혹하는 인간 욕망의 기원을 이야기한다.

소쿠로프는 정치적, 역사적 이념에 대한 비판과 논쟁 보다는 인간의 육체와 죽음에 주목하는 것처럼 이 작품 역시 문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생성과 변화가 아니라 권력 욕망의 기원을 육체와 죽음에서 찾으려 한다. 그 과정에서 곤궁과 결핍은 죄악과 근심으로 연결되지만 문학작품과 연관되지 않고 인간의 악마성으로 연결된다. 즉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악마는 곤궁과 결핍에서 시작하여 스스로 악마를 처단함으써 신이 되려는 인간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인간의 내재화된 악의 기원은 곤궁과 결핍에서 비롯되었다. 소쿠로프 감독의 영화가 열린 구조로 마무리되면서 다양한 해독 가능성이 있지만 이 논문은 문학작품 속 생성과 변화가 영화 속 굳음과 정체로 연결되는 지점을 독해하면서 문학 속 인물의 틀을 유지하면서 주제를 전복하는 작품 속 상징들을 발견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둥(韩东)의 『뿌리내리기(扎根)』 중의 문혁 서사론 = A study on the narrative of the Cultural Revolution of 『Taking root(扎根)』 by Handong(韩东) 김경남 p. 5-30

괴테 『파우스트』의 영화적 변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inematic transformation of Goethe’s 『Faust』 : focusing on Alexander Sokurov’s movie <Faust> /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감독의 영화 <파우스트>를 중심으로 정미숙 p. 31-48

리소르지멘토와 19세기 이탈리아 소설 : Risorgimento and 19th century Italian novels : the rise of national consciousness : Ultime lettere di Jacopo Ortis by Foscolo and Le mie prigioni by Silvio Pellico / 리소르지멘토 초기 민족의식 : 포스콜로의 『야코포 오르티스의 마지막 편지』와 펠리코의 『나의 옥중기』를 중심으로 김효정 p. 49-76

로살리아 데 카스트로와 소수자의 글쓰기 = Rosalía de Castro and minority’s writing 장재원 p. 77-106

스페인 현대사회의 어두운 이면 보고서 : A report on the dark side of contemporary Spanish society : focused on Wet men are not afraid of the rain (2013) from Juan Madrid / 후안 마드리드의 『이미 젖은 사람은 비를 두려워하지 않는다』(2013)를 중심으로 김선이 p. 107-128

결혼에 대한 발자크의 시각 연구 = A study on Balzac’s view of marriage : 『결혼 생리학』과 『부부생활의 사소한 불행들』을 중심으로 김중현 p. 129-149

미래의 노동사회와 구직에 관한 시학 : Poetics on the future labor society and job seeking : focusing on School of the Unemployed by Joachim Zelter / 요아힘 첼터의 『실업자 학교』를 중심으로 정윤희 p. 151-174

로뻬와 띠르소의 연극에 나타난 여인의 복수 = Revenge of the woman in Lope and Tirso’s plays 윤용욱 p. 175-206

비올레타 파라(Violeta Parra) 노래시의 파토스 = The pathos of Violeta Parra’s song poem 황수현 p. 207-230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니체, 김정현 옮김,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니체전집 14, 책세상, 2013. 미소장
2 안진태, 『불멸의 파우스트』, 열린책들, 2020. 미소장
3 오순희, 「소리없는 이미지들의 표현력 –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의 무성영화 『파우스트』를 예로」, 독일어 문화권 연구 28, 2019. 미소장
4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인웅 옮김, 『파우스트 1』, 문학동네, 2010. 미소장
5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인웅 옮김, 『파우스트 2』, 문학동네, 2010. 미소장
6 이채원, 『소설과 영화, 매체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12. 미소장
7 이지연⋅홍상우 엮음,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 폐허의 시간』,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HK연구사업단 학술연구총서, 한울아카데미, 2015. 미소장
8 자크 오몽, 김호영 옮김, 『영화 속의 얼굴』, 마음산책, 2006. 미소장
9 정미숙, 『영화 속 인문학 여행』,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5. 미소장
10 제프리 버튼 러셀, 김영범 옮김, 『근대세계의 악마 : 메피스토펠레스』, 악의 역사4권, 2006. 미소장
11 http://magazines.russ.ru/zvezda/2012/8/ku18.html 미소장
12 http://old.kinoart.ru/2002/7/5.html 미소장
13 http://anthropology.ru/ru/texts/ustyugova/sokurov_11.html 미소장
14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파우스트>, 2011. 미소장
15 무르나우, <파우스트>, 192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