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옌롄커(閻連科)의 《작렬지(炸裂誌)》와 '신실주의(神實主義)' / 趙映顯 1
목차 1
國文提要 1
I. 들어가는 말 2
II. '지방지(地方誌)' 형식과 '민족지(民族誌)' 4
III. 《작렬지》에서의 '신실주의' 9
IV. '신실주의'와 마술적 리얼리즘 12
V. 나오는 말 20
參考文獻 21
Abstract 23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皮子文藪》에 수록된 詩歌의 창작 전략 | 박혜경 | p. 1-26 |
|
보기 |
元代의 白戰體 散曲 考察 | 김덕환 | p. 27-49 |
|
보기 |
明代 北京 文人試館의 출현과 역할 | 이기훈 | p. 51-70 |
|
보기 |
《申報》 창간 초기에 게재된 上海 京劇戲園(丹桂茶園, 金桂軒) 공연 관련 평론 내용 고찰 | 여승환 | p. 71-97 |
|
보기 |
고통의 각인과 그 극복과정의 흔적들 : 옌리(嚴力) 시에 나타난 '국가폭력'을 중심으로 | 이희현 | p. 99-130 |
|
보기 |
《河岸》 속 ‘文革’의 상흔과 재현 : 공간구조와 인물 형상을 중심으로 | 장윤선 | p. 131-160 |
|
보기 |
옌롄커(閻連科)의《작렬지(炸裂誌)》와 '신실주의(神實主義)' | 趙映顯 | p. 161-184 |
|
보기 |
한중 인터넷 소설 속 갈등해결 양상 비교 : '사이다' 추구 현상을 중심으로 | 최재용 | p. 185-217 |
|
보기 |
“白”與“伯” : 用字變化的微觀歷史 | 高中正, 朴晟佑 | p. 219-247 |
|
보기 |
‘漢語拼音正詞法’의 시행과 ‘一語雙文制’ | 김상원 | p. 249-276 |
|
보기 |
한국 孔子學院 교재의 내용 실태에 관한 분석 | 朴現圭, 朱剛焄 | p. 277-297 |
|
보기 |
중국 조선족학교 교가에 나타난 음악적 문제점 연구 | 김수진 | p. 299-333 |
|
보기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