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군사 분야에서 사용 중인 기존 영상 판독 시스템은 판독관들이 직접 영상을 분석 및 식별하여 관련 내용을 보고서에 작성하고 전파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반복 작업이 빈번하여 업무 과부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의 문장 단위로 동작하는 Seq2Seq 모델을 단어 단위로 동작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Attention 기법을 적용해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Beam 탐색 기법을 응용하여 특정 지역의 과거 식별내용을 바탕으로 현재 식별 문장을 다양하게 추천하고자 한다. 실험을 통해 Beam 탐색 기법이 기존 Greedy 탐색 기법보다 효과적으로 문장을 추천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Beam의 크기가 클 때 추천의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Existing image analysis systems in use in the military field are carried out by readers analyzing and identifying images themselves, writing and disseminating related content, and in this process, repetitive tasks are frequent, resulting in workload.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evious problem, we proposed an algorithm that can operate the Seq2Seq model on a word basis, which operates on a sentence basis, and applied the Attention technique to improve accurac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Beam Search technique, we would like to recommend various current identification sentences based on the past identification contents of a specific area. It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at the Beam Search technique recommends sentences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greedy Search technique, and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recommendation increases when the size of Beam is lar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AM 기반의 계층적 및 수평적 분류 모델을 결합한 운전자 부주의 검출 및 특징 영역 지역화 = Distracted driver detection and characteristic area localization by combining CAM-based hierarchical and horizontal classification models 고수연, 최영우 p. 439-448

다양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의 이상탐지 정확도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anomaly detection accuracy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s based on various data preprocessing techniques 박경선, 김강석 p. 449-456

이질적 이미지의 딥러닝 분석을 위한 적대적 학습기반 이미지 보정 방법론 = Adversarial learning-based image correction methodology for deep learning analysis of heterogeneous images 김준우, 김남규 p. 457-464

BERT+ 알고리즘 기반 약물 리뷰를 활용한 약물 이상 반응 탐지 = Detec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using drug reviews with BERT+ algorithm 허은영, 정현정, 김현희 p. 465-472

한글 조합성에 기반한 최소 글자를 사용하는 한글 폰트 생성 모델 = Few-shot Korean font generation based on Hangul composability 박장경, Ammar Ul Hassan, 최재영 p. 473-482

음표 임베딩과 마디 임베딩을 이용한 곡의 생성 및 정량적 평가 방법 = Creating songs using note embedding and bar embedding and quantitatively evaluating methods 이영배, 정성훈 p. 483-490

RGBD 카메라 기반의 Human-Skeleton Keypoints와 2-Stacked Bi-LSTM 모델을 이용한 낙상 탐지 = Fall detection based on 2-stacked Bi-LSTM and human-skeleton keypoints of RGBD camera 신병근, 김응호, 이상우, 양재영, 김원겸 p. 491-500

흐름이 있는 문서에 적합한 비지도학습 추상 요약 방법 = Unsupervised abstractive summarization method that suitable for documents with flows 이훈석, 안순홍, 김승훈 p. 501-512

딥러닝 기반 교재 문항 검출 실험 연구 = A study on the deep learning-based textbook questionnaires detection experiment 김태종, 한태인, 박지수 p. 513-520

군사용 지능형 영상 판독 시스템에서의 빔서치를 활용한 문장 추천 = Sentence recommendation using beam search in a military intelligent image analysis system 나형선, 전태현, 강형석, 안진현, 임동혁 p. 521-528

컴퓨팅 사고 교육 게임 데이터를 사용한 게임 점수 예측 모델 성능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game-score prediction models using compuational thinking education game data 양영욱 p. 529-534

워드 임베딩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리뷰 다중문서 요약기법 = Multi-document summarization method of reviews using word embedding clustering 이필원, 황윤영, 최종석, 신용태 p. 535-540

머신러닝 기반 사회인구학적 특징을 이용한 고혈압 예측모델 = Prediction model of hypertension us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범주 p. 54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