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중등도 이상의 황반변성을 진단받고 AREDS2 formula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들의 복용 실태에 대해서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9년 12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학적 특성, 질병에 대한 인식, 영양제 복용 실태 등에 대해 총 24문항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100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남자가 56%였고 연령은 60대 이상이 89%였다. 질환에 대한 이해도, 금연의 필요성, 항산화 영양제의 필요성에 대해 안다고 대답한 비율은 66%, 84%, 93%였다. 복용 실태 조사에서 복용 중인 약을 정확히 알고 있는 환자는 58%였고, 이 중 AREDS2 영양제를 제대로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63.8% (전체 환자의 37%)였다. 또한, 영양제 성분에 대해서 알고 있는 환자는 8%, 영양제를 매일 복용한다고 답한 환자는 91%였다. 복용 실태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유병 기간이 길어질수록 황반변성 영양제를 복용하는 빈도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으며(p<0.05), 연령이 높고 저학력일수록 황반변성질환에 대한 인지가 낮았다(p<0.05).

결론: 황반변성 영양제 복용 실태 조사에서 정확한 AREDS2 formula를 복용하지 않는 환자들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use of second AREDS2 formula in patients with intermediate or advance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Methods: A prospectiv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July 202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4 questions on demographics, disease perception, and formula intake.

Results: The survey included 100 patients (males, 56%; age [>60 years], 89%). We found that 66%, 84%, and 93% of patients had a good understanding of their disease, had stopped smoking, and were aware of the need for antioxidant supplements; 58% of patients were aware of the supplement they were prescribed, and 63.8% (37% of total) were using the AREDS2 formula. Only 8% of patients had knowledge regarding the supplement ingredients, and 91% consumed the supplement daily. Patients with long disease duration used supplements less frequently (p < 0.05). Older patients and those with a low education level had a limited perception of the disease (p < 0.05).

Conclusions: In this prospective survey, some patients consumed supplements other than the AREDS2 formul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ways to increase the use of the AREDS2 formul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혈청 갑상샘자극호르몬수용체 자가항체와 갑상샘눈병증의 중증도 및 활동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 receptor autoantibodies and activity and severity of thyroid eye disease 이제상, 이시형, 김보연, 장선영 p. 1459-1464

복합 세균각막염과 단일 세균각막염의 임상 비교 분석 = Comparative clinical analysis of polymicrobial and monomicrobial bacterial keratitis 백승철, 조찬호, 이상범 p. 1465-1477

중등도 근시에서 라섹수술 받은 환자의 연령에 따른 단기 굴절 변화 비교 = Short-term comparison of refractive errors between two different age groups after LASEK for moderate myopia 김미정, 안지선, 문자윤, 김희영, 최진석, 박규홍, 정성근 p. 1478-1482

신생혈관녹내장에서 발생한 친수성 아크릴 인공수정체혼탁의 임상양상 =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opacification of hydrophilic acrylic intraocular lens in neovascular glaucoma 최헌진, 한동진, 신주연, 이도형, 서지원, 정인권, 이종현 p. 1483-1489

나이관련황반변성과 당뇨황반부종에서 브루크막 개방 최소 시신경유두테 폭의 반복성 = Repeatability of Bruch's membrane opening-minimum rim width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diabetic macular edema 김범준, 이우혁, 남기엽, 김지혜, 강태신, 조현경, 한용섭 p. 1490-1501

나이관련황변변성 환자들의 항산화 영양제 복용에 대한 설문조사 = Survey of AREDS2 formula intake in Korean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나정호, 임재완, 방종욱, 박강윤, 김현웅 p. 1502-1508

안과 전공의가 시행한 유리체내 주입술의 단기간 안전성 고찰 = Short-term safety evaluation of resident-performed intravitreal injection 배영환, 김하경, 배소현, 윤창기, 마대중 p. 1509-1517

정상안에서 우세안과 비우세안 사이의 시신경유두주위 빛간섭단층혈관조영 측정치의 대칭성 = Symmetry of peripapillary-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arameters between dominant and non-dominant eyes in normal eyes 류천국, 임형빈, 김정열 p. 1518-1526

말기녹내장으로 처음 진단받은 환자의 진단 경로 및 임상양상 분석 : Path to diagnosi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anced glaucoma at initial diagnosis : a tertiary single center experience / 단일 3차 의료기관 경험 장준혁, 이경화, 백성욱 p. 1527-1538

약시치료로 시력이 호전된 한 눈 굴절부등약시 환아의 입체시 평가 = Stereoacuity after successful occlusion therapy in children with anisometropic amblyopia 이상욱, 정은혜 p. 1539-1546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 Effectiveness of inferior oblique myectomy i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depending on magnitude of hyperdeviation 이수경, 한진우, 한승한, 신우범 p. 1547-1552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사용한 피하 토실리주맙의 효과 = Subcutaneous tocilizumab for thyroid eye disease 박정열, 최희영 p. 1553-1559

상안검뒷당김에 대한 필러주입술 이후 발생한 중심망막동맥폐쇄 = Central retinal artery occlusion after filler injection for upper lid retraction 박의서, 김영진, 양재욱 p. 1560-1564

장기간 예방적 경구 항생제를 이용한 재발성 톡소플라즈마 망막염 치료 = Recurrent toxoplasma retinitis treated with long-term oral antibiotics 염호석, 박승훈, 조희윤, 신용운 p. 1565-1569

섬유주절제술 후 발생한 Streptococcus Cristatus 원인의 지연성 안내염 1예 = Late-onset endophthalmitis caused by Streptococcus Cristatus after trabeculectomy 최곤수, 김훈동, 안병헌, 정종진 p. 1570-15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