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유행한 추상적인 세계지도〈천하도〉를 다시 고찰하고,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천하도〉는 중심에 대륙이 있고, 그 주위를 바다가 둘러싸고 있으며 다시 그 주위는육지와 이를 둘러싼 바다로 이루어져 있다. 내대륙은 중국의 대하천과 오악을 중심으로 표현되어 있고 내해와 외대륙에는 『산해경』에 등장하는 지명이 대부분이다. 지도의 북쪽 중앙에는 공통적으로 대택이 그려져있다. 그런데 점차 〈천하도〉에 백두산이 나타난다.

〈천하도〉는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산해경』의 지리적 고증을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이었다. 이미지로된 지도는 공간을 묘사하는 데 한계가 있는 텍스트를 보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조선후기 점차 확대되어간 조선의 자주성을 중국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천하로 표현하고자 했던 욕구이기도 했다. 실재하는 지리지식과 당시 사회적 인식을 〈천하도〉 를 통해 추상적으로 표출하였다. 조선이 생각한 천하와 그 자주성의 중심에는 백두산이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여말선초 압록강 중상류 영토의 재검토 = A review of the territory in the middle and upper Yalu River in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박정민 p. 9-36

조선후기 《天下圖》에 담긴 白頭山 인식 = Awareness of Mt. Baekdu in the <Cheonhado> of the late Joseon Dynasty 문상명 p. 37-67

清代 八旗의 東北 이주와 東北 滿洲人의 多元的 정체성 = Northeast migration of eight banners and the formation of multi-ethnic identity of northeast Manchurians during the Qing Dynasty 김준영 p. 69-101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安東 ‘新시가’ 건설 = The making of Andong new town by Japan after Russo-Japanese War 오병한 p. 103-134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압록강-두만강 지역 조사와 경계 인식 = A study on the regional survey and border awareness of Joseon Government-General in the 1910's and 1920's 배성준 p. 135-168

한만 국경 이백리의 여성화 또는 군사화 : The effeminacy and militarization of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Manchuria : occurrence and prevalence of Oryokkobushi / 「압록강절」의 발생 및 유행 최현식 p. 169-219

이주민족 정체성의 산종(散種)과 '안전'의 정치적 아포리아 : Dissemi-nations and the political aporia of a migrant nation : focusing on An Su-gil’s Bukgando / 안수길의 『북간도』를 중심으로 윤영실 p. 223-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