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문적 한국어 숙달도 신장을 위한 교재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 대학의 한국어 교과목 개설 및 교재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서울 소재 A대학의 외국인 학부생 345명을 대상으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숙달도를 고려한 등급별 교재 개발과 기능 수행 및 학문적 과제 활동을 위한 언어 지식 강화형 교재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등급별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과 대학 생활 적응 및 학업 수행 지원, 대학 교과 내용 및 기초 지식 함양이라는 교재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학문 맥락의 실제적인 의사소통 과제 속에서 자연스럽게 언어 지식을 익히도록 하는 ‘의사소통 과제 중심의 언어 지식 강화형’ 교재 모형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딥러닝을 이용해 유의어의 변별 요소를 찾아보기 : Exploring the distinctive factors of synonyms using deep learning : focusing on comparison of several models / 여러 모델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유진, 여민수 p. 7-53
'X(으)ㄹ 만하다' 구문의 통사적 특성 연구 : Study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phrase 'X(eu)l manhada' : focusing on the combination with other grammatical elements / 다른 문법 요소와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유영관 p. 55-92
계량적 방법을 통해 본 한국 현대 '청년문학'과 '노년문학' 연구사 = A study o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by quantitative methods : focused on 'youth literature' studies and 'old-age literature' studies 정보람 p. 93-125
자유의 토포스로서의 시와 사랑의 역설 : Poetry as a topos of freedom and a paradox of love : focusing on Kim Soo-young's poetry / 김수영 시를 중심으로 김유희 p. 127-170
『梅社五詠』 소재 南玉의 梅花詩 연구 = Research on Plum blossom poems of Nam Ok(南玉) in 『Maesaoyeong(梅社五詠)』 한희민 p. 171-200
한국 연보의 존재 양상 일고찰 : The modalities of chronology in Chosŏn Korea : study on chronologies included i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韓國文集叢刊)" / 『한국문집총간』 소재의 인물을 대상으로 최혜미 p. 201-234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의 현황 및 과제 = Current status and future issue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research for academic purposes 곽도형, 민경아 p. 235-270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Korean textbooks for academic Korean in universities 류선숙, 김민경, 전형길 p. 271-299
KSL 학습자의 학업 수행 한국어 능력 진단을 위한 구인 설정 연구 : Study on developing constructs for diagnosing Korean language competency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KSL learners : focused on CALS constructs analysis / CALS 구인 분석을 중심으로 이준호, 박진욱 p. 301-331

1960년대 청소년 드라마의 출현과 경향 = The emergence and trend of youth dramas in the 1960s 문선영 p. 333-362

식민지 조선에서 셰익스피어 인식과 공연 양상 : Aspects of the recognitions and performances of Shakespeare in colonial Korea :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Shakespearian plays as school plays in the 1920s and 1930s / 1920~30년대 학교연극으로서 셰익스피어 극의 상연을 중심으로 이상우 p. 363-402
김규동 초기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al principles of Kim Gyu-dong's early poetry : focusing on the collision of sight and gaze / 시선과 응시의 충돌을 중심으로 오형엽 p. 403-440
노산(鷺山) 이은상(李殷相)의 시조론과 고시조 선별기획 = Lee Eun-sang's theory of Sijo(時調) and selecting project for Gosijo(古時調) 유정란 p. 441-470
근대 증산교 치병담의 전승적 특징 : The study on traditional features in the remedy narratives of Jeung-San Gyo in modern times : centered on the first edition of Desunjeongyeong / 『대순전경(大巡典經)』 초판을 중심으로 박상란 p. 471-503

자아 성찰과 자기 쓰기를 위한 한국 고전 자기서사 서술의 지향과 장르의 조감 = A study on the genre and orientation of Korean classical self-narratives for self-reflection and self-writing 안득용 p. 505-571
망자를 위한 글쓰기의 장르 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between genres of writing for the dead : focusing on Gyeomjae(謙齋) Cho, taeeok(趙泰億) / 겸재(謙齋) 조태억(趙泰億)을 중심으로 권진옥 p. 573-599
林象鼎 산문의 저술 의식 : A study on Yim Sang-jeong(林象鼎)'s prose writing ritual : focused on 「SooPillok(隨筆錄)」 / 「隨筆錄」을 중심으로 정하정 p. 601-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