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대학스포츠 지도자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스포츠멘탈코칭 도입의 방해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도자 경력이 5년 이상인 대학축구지도자 8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전사하여 귀납적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3개의 일반영역(직면하고 있는 현장상황, 스포츠심리학과 현장과의 괴리감, 멘탈코칭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9개의 세부영역(시간적 여유부족, 경제적여유부족, 환경적 여유부족: 중요성 인식부족, 우선순위밀림, 정보부족: 선수와 지도자간 관계에 대한 우려, 지도방향성에 대한 우려, 효과에 대한 불신)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멘탈코칭 현장도입을 위한 걸림돌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멘탈코칭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구조에 대한 타당화 검증 = Verification of validation in structure of psychological factors for table tennis performance 원지은, 오윤경, 이근철 p. 1-13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및 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 among tripartite efficacy,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 of coach 박인경, 박성아, 박승하 p. 15-28
대학 여자테니스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 훈련 적용 단일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performance in female college tennis players 문주희, 황진, 박유진 p. 29-40
축구선수의 비합리적 신념 도출 = Deduction of football player’s irrational beliefs 임송이, 윤영길 p. 41-54
체감형 VR 게임이 기분상태 변화와 운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 Impacts of motion based VR game on mood states and exercise effects 서성우, 고경훈, 박상국, 허정훈 p. 55-70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stres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in older adults 김은지, 신호진, 김동훈 p. 71-80
대학스포츠 지도자들이 인식하는 스포츠 멘탈코칭 현장도입의 방해요인 = The obstruction factors in introducing sports mental coaching on field as perceived by college sports coaches : 대학축구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윤인애, 강익원 p. 81-94
장기간 시합 미참가로 인한 여자탁구 학생선수와 실업선수의 선수 정체성 변화 = Changes in athletic identity of student and professional athletes due to long-term non-participation in competition 김단비, 김병준, 천성민 p. 95-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