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가공용 고구마(증미와 해외 수집종)의 당 함량 증진을 위한 저장조건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총당, 환원당, 유리당 함량 모든 처리구에서 9°C 저장 시 높았다. 증미 품종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당 함량은 9°C 기준 0일차 13.75 ~138.42 mg/g sample에서 10일차 42.30~376.57 mg/g sample로 증가한 다음 감소하였으며, 환원당 및 유리당 함량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큐어링 처리한 고구마의 당 함량이 처리하지 않은 고구마에 비해 높았다. 저장 후 증자한 고구마가 당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maltose는 무증자 시 검출되지 않다가 증자처리 시 증미와 수입 품종에서 각각 108.76 및 79.36 mg/g sample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장 고구마의 당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저장온도 9 °C, 저장기간 10일이 가장 적합하며, 수확 후 큐어링 처리를 통해 고구마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무(Raphanus sativus L.)의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를 통한 항산화 효능 = Antioxidant effect of Raphanus sativus L. through the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황경아, 황혜정, 황유진 p. 1145-1151
국내산 조와 손가락조의 기능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 Functional compound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and finger millet (Eleusine coracona) 원동재, 우관식, 이진영, 추지호, 고지연, 이병원, 이유영, 김미향, 강문석, 김현주 p. 1152-1160
새싹 귀리 온도 및 생육 일수에 따른 기능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 =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by temperature and growing days of sprouted oats 이유영, 손유림, 강문석, 김미향, 이진영, 김현주 p. 1161-1167
팥 앙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1차, 2차 및 3차 자숙액의 항산화성 및 생리활성 비교 = Comparision of antioxidant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rocessed waters generated during red bean paste preparation 이연지, 김원석, 전유진, 김용태 p. 1168-1176
국내 다소비 베이커리 빵류의 지방, 당, 나트륨의 함량 비교 = Fat, sugar, and sodium content in commonly consumed bakery bread in Korea 이소희, 최은지, 엄지애, 윤성원, 이조원, 김현정, 김인환, 이삼빈, 김혜영A, 안장혁, 문보경, 서동원, 신정아, 성지혜, 김병희 p. 1177-1187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면류 및 빵·과자류의 일부 비타민 B군과 비타민 C의 함량 = Contents of selected vitamin B and vitamin C in noodles, snacks and breads consumed in Korea 신희윤, 김병희, 김민희, 김영화 p. 1188-1196
Pectinase 처리에 따른 미숙 복숭아 당절임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 =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unripe peach sugaring solutions with pectinase 황희영, 김미정, 박승우, 정우식 p. 1197-1202
계란흰자를 대체한 병아리콩 수용액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쌀머핀의 특성 = Properties of rice muffin with the addition of chickpea aqueous solution instead of egg whites 윤기홍, 김원모, 이규희 p. 1203-1210
큐어링 및 저장조건에 따른 고구마의 당 함량 변화 = Changes in sugar content of sweet potatoes with changes in curing and storage conditions 이혜원, 홍채영, 조연재, 유태용, 신태환, 정미남, 이준수, 정헌상 p. 1211-1217
붉은 양배추의 첨가가 돈육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ed cabbage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 고하윤, 이솔희, 김학연 p. 1218-1226
제주산 말 지방과 카놀라유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불포화지방산 강화 유화형 소시지의 품질 특성 = Enhancem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on emulsion-type chicken sausage by using Jeju horse fat and canola oil 문효석, 남정현, 천지연 p. 1227-1238
피스타치오 분말 매트릭스가 튀김 도넛의 품질 특성과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Matrix effect of pistachio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 stability of deep-fried doughnuts 이지예, 서정희 p. 1239-1247
커피 프랜차이즈 점포의 특성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도와 종사자의 특성에 따른 위생 지식 =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ffee franchise shops and sanita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구숙경, 정선윤, 김인용, 정윤화 p. 1248-1257
국내산 사과의 품종별 Procyanidin B2, C1 함량 및 분석법 검증 =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procyanidin B2, C1 content in Korean apple cultivars 김지영, 장하나, 김기창, 강해주, 황인국 p. 1258-1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