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사회의 빠른 변화와 경제의 급격한 발전으로, 도시 건축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도시 건축은 더욱더 집적화, 고층화 등의 현상이 심화 되었고, 이러한 밀집된 건물들이 도시의 녹색 용지를 대체하게 되면서 다양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있다. 이러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너지 절약, 친환경, 생태 등 수많은 다양한 개념들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건물들에 융합시켰다. 이러한 건축물에 대한 여러 구성 요소 중 수직 면적을 매우 넓게 형성하는 건축물 파사드의 수직녹화는 식물을 이용해서 건물의 표피를 생태화하여 에너지 절약, 친환경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시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음과 동시에, 도시의 녹화면적을 증가시키고 생태환경을 개선하여 공기의 질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며, 도시 열섬 완화, 생물 다양성 증가, 사람들의 심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등 매우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수직녹화 파사드는 깊게 연구할 가치가 있다. 기존의 수직녹화는 식물들이 자연적으로 생장하여 형성된 방식이었으나, 21세기에 들어서는 수직녹화 역시 시대가 변하고, 경제, 과학, 기술들이 발전함에 영향을 받았다. 더욱이 수직녹화가 에너지 문제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유형, 녹화 방식과 기술이 발전되었다. (연구방법) 우선 본 연구의 독창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선행논문을 연구하였다. 그다음은 발전된 녹화의 유형, 녹화 방식과 기술을 파악하기 위해 인터넷 및 책에서 기록된 세계 각국의 우수한 건축물 수직녹화 파사드의 31개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건축물 수직녹화 파사드 유형에 대해 조사 연구 하였다. 사례에서 설계된 수직녹화 파사드의 구조, 형성된 녹화 형태 및 식물의 재배 방식에 대해 분석하고, 기존의 수직녹화 파사드의 기술적인 디자인에 대해 분석하여 정리하며 이 내용을 중심으로 수직녹화디자인의 개념과 구조, 녹화 방식과 녹화 형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과) 사례를 재배 방식, 보조시설, 식물선택, 벽과의 관계와 녹화형태 총 5개 항목의 분석기준으로 연구하여 7가지의 수직녹화 디자인 유형을 얻었다. 또한 각 생장환경, 방향, 과정과 사례의 관개 부분을 참고하여, 각 유형의 관개와 앞선 5가지의 분석 기준의 측면에 나타나는 특징을 제시하며, 이에 따라 7가지의 유형을 자연적 수직녹화와 인공적 수직녹화 방식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건축물의 생태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더욱이는, 수직녹화 파사드의 온난화 방지와 자원 순환적인 역할을 고려하여, 이를 지역과 도시의 생태적 영역을 확장 시키는 데에 중요기초적인 자료로써 연구내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ight of rapid urbanization, changes in society, and economic development, urban architecture has increasingly become integrated and high-rise, replacing the city's green landscape, triggering a variety of environment problems.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several eco-friendly concepts such as energy conservation and ecology were combined into building structures. Among the many components of these structures, the vertical greening of the building facade, which forms a substantial vertical area, can help save energy by ecologicalizing the surface of buildings using plants. Vertical green facades are worthy of study because they do not take up much of the city space and have defin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the urban green area, enhancing the ecological environment to improve air quality, reducing urban heat island, increasing biodiversity, and enhancing people's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eviously, vertical greening was formed by plants that grew naturally, but in the 21st century, vertical greening was also influenced by changing times and the development of economics, science, and technology. Moreover, vertical greening had been able to solve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energy deficits, which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 types, greening methods, and technologies. (Methods) Firstly, I examined previous studies from China and Korea to secure the originality of this study. Next, In order to identify these advanced types of greening methods and technologies, this paper selected 31 examples of exceptional vertical greening building facades recorded on the Internet and books, and investigated the types of vertical greening building facades. In these cases,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vertical greening facades, greening type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s. Additionally, the technical design of existing vertical greening facades was organized, the concept, structure, methods, and forms of vertical greening design were studied, and design types of vertical greening analyzed. (Results) The case was studied based on five analysis criteria: cultivation method, auxiliary facility, plant selection, relationship with wall, and greening type, and seven vertical green design types were obtained. In addition, by referring to each growth environment, direction, process, and irrigation in 31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and the aforementioned five analysis criteria of each type are presented. Accordingly, seven type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vertical and artificial vertical greening.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the right direction for the ecological design of buildings, and furthermore, considering the warming prevention and resource circulation role of vertical greening facades, it aims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expanding ecological areas in local and urban setting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study on the Good public-facility design certification to build urban competitiveness = 도시경쟁력 구축을 위한 우수 공공시설물 디자인 인증제 연구 Kim, Kooksun p. 11-21

고령자 복지주택의 실버복지관 공간구성현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silver welfare center for the senior welfare housing 장주영 p. 23-36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메종 플래그십 스토어의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aison Flagship Store based on experiential marketing 이목영, 정재윤 p. 37-47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3차원적 결합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plan for the activation of smart farms for apartment households 김준성, 김용성, 이남규 p. 49-60

사례분석을 통한 유수지 복합화 계획 방향 연구 : Mixed use planning direction of urban water reservoir : the case of Seoul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유성윤, 서동연 p. 61-71

언택트(Untact) 시대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의 공간 사용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use of unit housing floor plan in the untact era : a case of 84㎡ unit plan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fter 2015 / 2015년 이후 한국토지주택공사 84㎡ 단위세대 평면 사례를 중심으로 임슬기, 김용성, 송석재 p. 73-84

백화점 공용 공간의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UX) design in public spaces of department stores : focused on MZ generation consumer’s evaluation / MZ 세대 소비자 평가를 중심으로 홍기훈, 한태권, 김주연 p. 85-97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아파트 외부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exterior shape of an apartment using solar panels 고현우, 김용성, 이남규 p. 99-112

레비나스의 타자철학을 통하여 본 사회적 건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ocial architecture based on Levinas' typing philosophy : focused on the concept of others and hospitality / 타자, 환대 개념을 중심으로 박민지, 장용순 p. 113-125

천안 도심공원의 공간구조와 이용도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structure and utilization of urban parks in Cheonan City : focusing on Sinbuldang and Ssangyong 2-dong / 신불당 및 쌍용2동지역을 중심으로 이기석 p. 127-143

1950년대 대한주택영단 평면에서 거실의 위상과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position of living room at housing provided by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1950s 신은기, 박유정 p. 145-154

근현대 주거 건축에서 나타나는 기술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Comparative anaysis on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residential design : focusing on Villa Savoye and Maison Bordeaux / 빌라 사보아와 보르도 주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우제, 홍지학 p. 155-168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공공 행정서비스시설 재난대응 안전디자인 평가 = An analysis of disaster safety design of public administration facility for the socially weak 이석현, 이형승 p. 169-180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공간의 의미 표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patial meaning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 focusing on big data about suicide on the bridge / 교량 자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박변갑, 박성룡 p. 181-190

요양병원 대기공간의 유형에 따른 공간위계 분석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the analysis of spatial hierarchy according to the type of waiting rooms in nursing hospital 이현민, 이행우 p. 191-200

국내 통신기업의 ICT 복합체험 공간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marketing strategy for ICT complex experience space of domestic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김예나, 이정교 p. 201-212

옥토퍼스와 갈라파고스의 성능적 특성 비교 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Octopus and Galapagos : focused on the optimal volume derivation experiment based on insolation / 일사량 기준 최적 볼륨도출 실험을 중심으로 이우형 p. 213-224

노후 공공임대주택 그린 리모델링 디자인 요소별 전문가 인식도 조사 = A survey of expert perception by design element of old public rental housing green remodeling 최성경, 양소영, 이문수, 문정민 p. 225-234

VR 기반의 EEG 반응에 대한 실험연구의 선행연구 분석과 연구동향 =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search trends in experimental research on VR-based EEG response 한혜경, 김주연, 김영진 p. 235-245

필로티 공간 활용을 위한 서스펜디드 설치미술 연구 = A study on suspended installation art for utilizing Pilotis' space 조능혜, 이재규 p. 247-259

패션 브랜드의 복합문화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of fashion brands : focused on dining spaces / 식음공간을 중심으로 이은정 p. 261-278

사용자 세분화 전략에 따른 미래 사무공간 환경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offi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 segmentation strategy 박신영, 이재규 p. 279-292

실감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content : focusing on HMD and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 HMD와 3면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을 중심으로 박주현, 한정엽 p. 293-301

스마트 모빌리티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of smart mobility interior space 송규호 p. 303-312

다중목적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한 주거복합커뮤니티공간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multi objective optimization based residential community complex design 김범승, 이우형 p. 313-326

대 공간 워크스루 형 가상현실 훈련시스템의 특성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 large space walk-through virtual reality training system 최정환, 한정엽 p. 327-337

박물관 건립에 나타난 문화정책 프로세스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olicy process in the construction of museums :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olicy / 서울시 박물관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박세희, 윤재은 p. 339-350

싱가포르 도시경관 관리체계의 건축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s of urban landscape management system in Singapore 이태영 p. 351-364

한중일 정원 공간과 사용자 행위 특정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ce us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후핑리, 최경란 p. 365-378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 Effects of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이연숙, 안소미, 박재현, 이지연 p. 379-390

건축물 파사드에 있어 수직녹화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sign type of vertical green facade of buildings 장염, 양성용 p. 391-401

1990년대 이후 네덜란드 도시기반시설의 건축통합적 디자인을 통한 공공성 구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utch publicness in designing infrastructure-integrated architecture projects since the 1990s 홍지학 p. 403-415

실감형 콘텐츠를 전시공간디자인에 접목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realistic content in exhibition space design : focusing on cultural and assembly facilities / 문화 및 집회시설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경묵 p. 417-426

메타버스 플랫폼의 체험형태에 따른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platforms according to experience types : focus on representative cases of realistic and hyper-realistic metaverse / 실감, 초실감 메타버스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이하은, 한정엽 p. 427-435

애플스토어 디자인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건축의 형태 및 공간 특성 : Form and spac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architecture found in Apple Store design : focusing on the first period cases of Apple Store / 애플스토어 1기 사례를 중심으로 신동진, 김종진 p. 437-450

XR-트윈기반 환경의 공간인지음향 조성 = Composition of spatially perceptible sound in an XR twin-based environment 오상민, 한정엽 p. 451-459

몰입형 가상현실 기반 관광콘텐츠의 체험 특성과 체험가이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 guides of tourism contents based on immersive virtual reality 이하은, 한정엽 p. 461-468

리좀적 관점에서 본 퓨처 리테일 스페이스의 이질적 관계 특성 연구 = A study on heterogeneou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future retail space from the rhizomatic point of view 김재흠, 김지은 p. 469-481

가족동거 고령가구의 맞춤형 주택개조 거주 후 평가 연구 =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r elderly living with family members 이연숙, 전은정, 조승연, 박민아 p. 483-497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변화에 의한 개방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openness analysis by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 focused on the large public library reading room in China / 중국 내 대형 공공도서관 자료열람실을 중심으로 정윤, 하숙녕 p. 499-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