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부산 영도 일대의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Yeongdo Island, Busan / 김도형 ; 윤성효 1

요약 1

Abstract 1

서론 1

연구방법 2

지질개요 3

암석기재 3

암석화학 7

토의 15

결론 17

REFERENCES 17

저자정보 19

초록보기

부산광역시 남해안에 위치한 행정자치구 영도(Yeongdo island) 봉래산 일원을 구성하는 화산암류는안산암질∼유문암질암으로 구성된다. 안산암질암은 주로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며, 반정으로 사장석을 가지며다량의 암편(岩片)을 함유하고 있다. 유문암질암은 산출형태에 따라 봉래산 기저부는 화산각력암으로 구성되며, 용결응회암이 봉래산 주산체를 이룬다. 육안으로 피아메 구조를 관찰할 수 있고, 고도가 높아질수록 용결구조는 약하게 발달하고 응회암을 구성하는 암편 및 결정 함량은 적어진다. 본 연구지역을 형성한 마그마는섭입작용과 관련된 대륙연변부의 조구조 환경과 관련 있으며, 약간의 대륙지각의 혼염과 동시에 분별결정작용을 겪은 뒤 분출하였음을 지시한다. 고도별 주원소를 분석한 결과, 최소 4회 이상의 마그마 배취(magma batches)가 주입되어 혼합이 일어난 결과로 생각된다.

The volcanic rocks that make up Yeongdo island, an administrative district located on the southern coast of Busan, are composed of andesitic and rhyolitic rocks. Andesitic rock is mainly composed of volcanic breccia has a phenorysts of plagioclase and contains rock fragments. The rhyolitic rock is composed of volcanic angular rock at the base of Mt. Bongnae, and welded tuff forms the main mass of Mt. Bongnae.

The fiamme structure can be easily observ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higher the altitude, the weaker the welded structure develops and the less the amount of rock fragments and crystals constituting the welded tuff. It is indicated that the magma that formed this study area is related to the tectonic environment of the continental margin related to subduction, and that it erupted after undergoing fractional cystallization at the same time with some contaminant in the continental cru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in elements by altitude, it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mixing at least 4 times or more of magma batche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선사시대 출토 청동 무기류의 납동위원소비 및 미량원소 특성 = Characteristics of lead isotope ratios and trace elements of excavated bronze weapons in pre-historical age 김소진, 황진주, 한우림 p. 219-226

보기
실용적이고 최적화된 광물정량분석법 연구 = A study of practical and optimized mineral quantification 손병국, 안기오 p. 227-239

보기
동시베리아해 비구형 망가니즈단괴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non-spherical manganese nodule from the East Siberian Sea 구효진, 박무성, 서충만, 조현구 p. 241-253

보기
설악산 토양 내 황사의 퇴적과 풍화 = Dust deposition and weathering in soils of Seoraksan 정기영 p. 255-264

보기
Crystal populations within a porphyritic dike in Ulleung Island : 울릉도 반정질 암맥의 결정군집 : 화산단계 Ⅰ 도동현무암의 모든 단사휘석은 섹터누대를 가지는가? / are all clinopyroxenes in the stage Ⅰ Dodong basalt sectored? Enkhjin Munkhbayar, Jongkyu Park, Yun-Deuk Jang p. 277-291

보기
대면적 입자 측정 분석법을 이용한 셰일 가스 저류층 내 공극 구조 연구 = The study of pore structure in shale gas reservoir using large-area particle measurement method 박선영, 고용규, 최지영, 이준희 p. 209-218

보기
수정진동자미세저울을 활용한 폴리스티렌 나노플라스틱의 SiO2 표면흡착 연구 가능성 = Research possibility of using quartz crystal microbalance for polystyrene nanoplastics adsorption to SiO2 surface 명현아, 김주혁, 이진용, 권기덕 p. 265-275

보기
부산 영도 일대의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 Petrology of the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Yeongdo Island, Busan 김도형, 윤성효 p. 293-31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