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김수영 시와 여행 = Kim Soo-young’ poetry and travel 남기택 p. 5-35
박인환의 미국 기행 관련 작품에 나타난 미국 인식의 양가성 : The ambivalence of perception in Park In-hwan's travel-related works on the America :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rose and poems / 산문과 시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염철 p. 37-62
재미한인 여성수필의 공간과 젠더지리 : The space and gender geography of Korean American women's essay : 'defference' and 'in-betweenness', 'displacement' / '차이'와 '사이', '탈장소' 최미정 p. 63-105

남해안별신굿 손님풀이 무가 텍스트 이본비교와 서사구조 = South Coast Byeolsingut 'Sonnim Puri' comparison oral texts and narrative structure 이정훈 p. 107-134

무속의례 '뒷전'의 관점에서 본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 =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sok-gut 'Dwit-jeon',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윤준섭 p. 135-158
정선군 <토방집짓기놀이>가 가지는 마당놀이로서의 성격과 개선점 = Features and improvement of the "play of log-frame house building" of Jeongseon as a Madang performance 이학주 p. 159-191
마을 의례에서 소 희생의 양상과 관련 조직에 대한 시론 : A study on the use of cattle as a sacrifice in village ritual and the 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 focusing on Gyeonggi-do cases / 경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우 p. 193-228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옥연십영(玉淵十詠)」을 통해 본 하회의 장소성 연구 = Researching on place identity of Hahoe through the analysis of Ten Scenic Views of Okyeon created by Yuseong-ryong 이홍식 p. 229-257
전환기(轉換期), 검약의 공간적 상상력 : Transition period, spatial imagination of frugality : focusing on the spatial metaphor of "Gyung-yeoung" by Kim Namcheon / 김남천 「경영」의 공간적 표상을 중심으로 이동재 p. 259-290
환멸과 분열의 이중 광기와 대응 : The double madness of disillusionment and division and resistance : focused on Park Beom-shin's autobiographical novel 『Dirty Desk』 / 박범신의 자전적 소설 『더러운 책상』을 중심으로 이상재, 김현주 p. 291-316
중국 조선족 작가가 형상화한 여성 판소리 예인, 그 소설적 상상력 : The fictional imagination of a female Pansori artist created by a Korean-Chinese writer living in China : compared to characters in Korean novels / 한국소설에서의 형상과 비교하여 차충환 p. 317-345
스마트미디어 시대 팬덤과 영화문화 : Fandom and film culture in the era of smart media : focusing on female audience network and performativity / 여성관객 네트워크와 수행성을 중심으로 정민아 p. 347-379
문화(文華)한 장원(莊園) : Culturally cultivated landscape : an art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1804 Im Gogungugokdo / 1804년작 《임곡운구곡도(臨谷雲九曲圖)》의 회화사적 고찰 박효은 p. 38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