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색채이론과 관련하여 뉴턴(Newton)은 분광실험을 통해서 색채를 객관적(客觀的)으로 존재하는 실체로 파악하였다. 반면, 괴테(Gpethe)는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의 태도에 의해 달라지는 주관적(主觀的) 실체로서의 의미로 접근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들 모두 색채는 인간의 심리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색채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색상‧명도‧채도, 그리고 배색 등을 고려한 ‘총체적 접근’(Gestalt)이 요구된다. 한편, 색채를 객관적 관점에서 볼 때, 색채에 대한 인간의 심리 및 태도는 일정한 일치성(一致性)을 갖는다. 그러나 주관적 관점으로 볼 때, 항상 일치성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반성(相反性)을 갖기도 한다. 예컨대, 비록 동일한 색채환경일지라도 잠재적 성범죄자와 잠재적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은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색채가 인간심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색채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의 특성을 하나하나 파악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색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1차색(빨간색, 파란색, 노란색)과 무채색(희색, 회색, 검정색)을 중심으로, 그것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특성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범죄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1차색과 무채색의 색채적 특성이 인간의 공포‧두려움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In relation to color theory, Newton identified color as an objective entity through spectroscopic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Goethe approached it as a subjective entity that is changed by the attitudes of human beings who recognize it.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hat all of them emphasize that color has a certain effect on human psychological 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or on human psychology, it is necessary to take a total approach(Gestalt) considering color, b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scheme. On the other hand, when we look at color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human psychology and attitude toward colors have a certain consistency, but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ey do not always have a consistency. It may have a counter-reflective nature, for example, even in the same color environment, the feelings of potential sex offenders and potential victims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is regard,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how color affects human psychology. Al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because the kinds of colors are very diverse. This study recognizes these limitations and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olors (red, blue, yellow) and achromatic colors (white, gray, black) that are the most basic colors in the color. This study recognizes these limitations and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of human psychology, focusing on primary colors(red, blue, yellow) and achromatic colors(white, gray, black) which are the most basic color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imary and achromatic colors affect the formation of fear in humans, focusing on crime movies from a Gestal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정착에 나타난 심리적응과정분석 = Analysi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process during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 defector women in South Korea 남지연 p. 7-23
데이트 폭력 피해의 원인과 피해회복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auses of dating violence and recovery method 박병주 p. 25-36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ollege student's depression : mediating role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mmature defensive coping / 자녀의 불안정 성인애착, 미성숙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 백성은 p. 37-51
보호관찰관의 직무만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probation officers' job satisfaction 부민서, 조윤오 p. 53-67

Effects of gender and work orientations on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 성별과 직무지향성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Myung Woo, Lee p. 69-89
교정상담의 이론과 현대적 과제 : The theory of correctional counseling and modern challenges : focusing on human-centered psychotherapy / 인간중심치료를 중심으로 이무선 p. 91-103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다중이용시설의 테러대응 방안 연구 = A study on countermeasures against terrorism in multi-use facilities through media report analysis 이민형 p. 105-118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 that affects juvenile’s suicidal ideation : focus on social bond factors / 사회유대 요인을 중심으로 이승우, 남재성 p. 119-136
학생자살 사후개입에 참여한 교직원의 경험 및 개선방안 = Exploring of improvements on the step of post-intervention for a student suicide : a qualitative study focusing on the staffs in school 이영화, 이정숙 p. 137-155
노인 성범죄자 현황 및 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auses of elderly sex offenders 이은주, 차시환 p. 157-175
경찰공무원의 폭력피해 두려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ear of violence among police officers 이재영, 박상진 p. 177-190
테러행위의 범위와 확장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tent and extensibility of terrorism activities 이정덕, 하상군 p. 191-203
스토킹처벌법상 온라인 스토킹 행위의 유형과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scope of online stalking behavior under the Act on Punishment of Stalking 임수민, 강소영 p. 205-223
자치경찰사무 담당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조제성, 박준휘 p. 225-237
색채가 인간심리에 미치는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on human psychology : focus on primary and achromatic color / 1차색과 무채색 중심 최선우 p. 239-256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 경계선 성격특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혜자, 손세림 p. 257-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