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른 차이 및 영향력 분석 = A study of difference and impact according to self-directed learn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in online learning situation / 주라헬 ; 조수선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2. 이론적 배경 2
2.1. 자기주도 학습 2
2.2. 학습참여 3
2.3. 학습몰입 3
2.4. 학습만족 및 인식된 학업성취 3
3. 연구방법 4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분석 방법 4
3.2. 측정도구 및 신뢰도 분석 4
4. 연구결과 4
4.1. 타당도 검증 4
4.2. 상관관계 분석 5
4.3. 검증결과 5
5. 논의 및 결론 6
References 7
[저자소개] 9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른 상·하위 두 집단 간의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를 비교하고 이들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 학습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주도 학습이 높을수록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보다 높은 몰입을 경험하며 학습에 대한 만족과 성취 측면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기주도 학습과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 간에는 상위 및 하위집단 모두 정적인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영향력의 크기는 상위 집단은 학습참여, 하위 집단은 인식된 학업성취에서 가장 컸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주도 학습이 높은 학생들은 학습의 과정을 보다 중시하는 반면, 자기주도 학습이 낮은 학생들은 학습의 결과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 학습이 온라인 학습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역량임을 재확인하고 자기주도 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참여,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식된 학업성취에 다르게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upper and lower -performing groups concerning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undergoing online learning. The study then verified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the two groups, on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upper-performing group showed higher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of the lower-performing group. Second, both upper and lower-performing group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variables, including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upper-performing group was most significant on student engagement and in the lower-performing group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 shows that students with high self-directed learning place more import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hile students with low self-directed learning place more value on the learning outcom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a core competency for online learning success and affects student engagement,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