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 선수들의 슈팅능력과 발목 및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관련성을 분석하여 슈팅 능력(속도)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2018-2019년 대한축구협회 K3리그에 소속된 남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스텝 슈팅, 인프런트 슈팅의 속도를 측정하여 킥 능력을 중위 50%로 구분하여 각 슈팅별로 집단 내 우수그룹(n=20)과 집단 내 비우수그룹(n=10)으로 분류한 후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모든 대상자는 2차 측정으로 등속성 근기능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발목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등속성 근기능의 결과 중 근력요소(절대 최대근력, 상대 최대근력, 동측근력비, 양측근력비), 위치요소(최대근력 발현각도)를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고, 각 슈팅별 집단의 측정 항목별 기술통계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동질성 검증을 위해 Levene의 등분산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슈팅별 집단 내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의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인스텝 슈팅 능력에 따른 무릎 및 발목관절 근력요소의 비교에서는 무릎 관절의 신전근의 최대근력과 상대 최대근력에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목 관절의 배측굴곡근과 저측굴곡근의 절대최대근력, 상대최대근력에서도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런트 슈팅 능력에 따른 무릎 및 발목관절 근력요소의 비교에서는 무릎관절의 신전근의 절대최대근력과 상대최대근력에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목관절의 배측굴곡의 절대최대근력과 상대최대근력에서 또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인사이드 슈팅능력은 집단 내 슈팅 능력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 간 발목관절의 배측굴곡근을 제외한 하지 근기능의 근력요소, 위치요소, 시간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인스텝 슈팅 능력과 인프런트 슈팅 능력은 집단 내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 간 무릎 및 발목의 등속성 근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슈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훈련 이외에 무릎관절의 신전근, 발목관절의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기능 등 전반적인 하지의 근기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