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 선수들의 슈팅능력과 발목 및 무릎 관절의 등속성 근기능 관련성을 분석하여 슈팅 능력(속도)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레이닝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피험자는 2018-2019년 대한축구협회 K3리그에 소속된 남자 축구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인스텝 슈팅, 인프런트 슈팅의 속도를 측정하여 킥 능력을 중위 50%로 구분하여 각 슈팅별로 집단 내 우수그룹(n=20)과 집단 내 비우수그룹(n=10)으로 분류한 후 신체적 특성을 측정하여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모든 대상자는 2차 측정으로 등속성 근기능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발목 및 무릎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등속성 근기능의 결과 중 근력요소(절대 최대근력, 상대 최대근력, 동측근력비, 양측근력비), 위치요소(최대근력 발현각도)를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고, 각 슈팅별 집단의 측정 항목별 기술통계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였고, 동질성 검증을 위해 Levene의 등분산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각 슈팅별 집단 내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의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인스텝 슈팅 능력에 따른 무릎 및 발목관절 근력요소의 비교에서는 무릎 관절의 신전근의 최대근력과 상대 최대근력에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목 관절의 배측굴곡근과 저측굴곡근의 절대최대근력, 상대최대근력에서도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프런트 슈팅 능력에 따른 무릎 및 발목관절 근력요소의 비교에서는 무릎관절의 신전근의 절대최대근력과 상대최대근력에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목관절의 배측굴곡의 절대최대근력과 상대최대근력에서 또한 A그룹이 B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인사이드 슈팅능력은 집단 내 슈팅 능력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 간 발목관절의 배측굴곡근을 제외한 하지 근기능의 근력요소, 위치요소, 시간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인스텝 슈팅 능력과 인프런트 슈팅 능력은 집단 내 우수집단과 비우수집단 간 무릎 및 발목의 등속성 근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슈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훈련 이외에 무릎관절의 신전근, 발목관절의 저측굴곡과 배측굴곡의 기능 등 전반적인 하지의 근기능을 향상시키는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케이드형 전통시장 내 부유미생물 실태 조사 = Investigation of bioaerosols in arcade-type traditional market 이범묵, 정명규, 박장현, 송찬근 p. 1-7
손씻기 교육이 미얀마 학생들의 손씻기 지식, 태도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hand washing education toward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and washing to Myanmar students 배서현 p. 9-15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이 치매노인 돌봄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ementia knowledge, ageism and humanism on caring behaviors of certified caregivers in nursing homes 염은이, 서금숙 p. 23-29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온라인 토론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havruta-based online debate on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박혜서, 오윤희, 이정은, 임연길 p. 17-22
지역형 웰니스관광 클러스터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regional wellness tourism cluster model 맹해영 p. 31-38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소득효과와 사회적 관계 : Incom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relationship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ference group diversity / 준거집단 다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지아 p. 39-45
태권도지도자의 장애인 지도행동 예측 : Predic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teaching behavior : focus on extended planned behavior theory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 고대선, 윤민수 p. 47-53
중년남성을 위한 여가 스포츠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leisure sports for middle-aged men 전성우, 이경훈 p. 55-62
COVID-19 팬데믹 현상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a 김정순 p. 63-68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의 리더-멤버 교환관계(LMX), 팀 몰입, 팀 성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leader-member exchange(LMX), team commitment and team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baseball athletes 김성훈, 유병인 p. 69-74
노인스포츠지도자의 그릿과 직업전문성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rofessionalism in elder sports instructor 설수황, 이광용 p. 75-81
피클볼 초심자와 경험자의 참여 경험 내러티브 비교 = Comparison of the narrative of participation experience of novice and experienced 윤인애 p. 83-90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 affecting relationship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최명희, 박은하 p. 91-96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수행 관련 요인 = Factors related to hand hygiene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안미정 p. 97-103
장애유아 개별화교육계획(IEP) 관련 연구 동향분석 : A study on trend analysis of research related to the individual ized education plan(IEP)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Korean professional journals / 국내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배성현, 이병인 p. 105-112
테니스 동호인의 계획행동, 동기, 실행계획, 극복계획, 심리적 웰빙과 일빙 간의 관계 = Influences of tennis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ll-being, action and coping planning,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lanned behavior 김관중, 송용관 p. 113-122
스크린골프 시설의 서비스품질 이미지가 구전의도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image of service quality of screen golf facilities on word of mouth and revisit intention 김학신, 김은희 p. 123-130
(An) improvement to the terms used by the Korean emergency alert system through the review of working-level manuals = 일부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의 검토를 통한 국가위기경보 용어의 개선 Min, Mo-Se, Yun, Eun-Jeong, Uhm, Tai-Hwan p. 131-136
체육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전공실기수업에서 교수행동, 수업행동활성화 및 수업흥미의 관계 = Relationships among teaching behavor, activating class behavior, and course interest to major practical classes perceived by physical education majors 박윤식, 박철홍 p. 137-144
중소병원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감염관리 수행정도 = Knowledge, attitude and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of corona19 by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권성복, 이은하 p. 145-151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집단예술치료가 아동·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focused on psychological changes diagnosis test, PPAT and DAPR drawing tests / 심리변화 진단도구, PPAT와 DAPR 그림검사 중심으로 박주연, 황현주, 김선희 p. 153-161
사회적 배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of elderly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health / 신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새봄, 최송식 p. 163-170
중년기 성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건강관리 자기효능감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psychosocial stress, health self-efficacy on wellness in middle aged adults 양승경, 이혜린, 정연주 p. 171-177
산욕기 수유모의 스트레스, 수면의 질, 배우자 지지, 식이섭취 및 LATCH와 모유성분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of breast milk and stress, sleep quality, spousal support, dietary intake, and LATCH in postpartum nursing mothers 류청자, 강남미 p. 179-185
외국인 유학생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failure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foreign students 정은지, 김근향 p. 187-194
청소년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 및 행복과의 구조적 관계 = The analysis on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 str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유병인 p. 195-200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에서 아침식사, 수면, 신체활동의 조절효과 검증 = The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reakfast, sleep, and physical ac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김예성, 김은정 p. 201-209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이미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que anxiety and body image of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하혜진, 김은아 p. 211-217
골프참여자의 자기관리와 회복탄력성 및 건강지각의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resilience and health-perception for golf participants 최석환, 이승범 p. 227-233
간호대학생의 체형만족, 주관적체형, 비만스트레스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body figure, subjective body shape and obesity stres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정향진 p. 219-225
청년의 인터넷 과의존과 분노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over-dependency and anger in youth : moderating effect on negative emotion of COVID-19 /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정서의 조절효과 검증 강선경, 권진 p. 235-240

학생 골프 선수 자기효능감이 운동몰입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 by student golf players on exercise commitment and emotion 김용두 p. 241-246
필라테스 리포머 운동이 바이올린 연주자의 경부통증관련 지표, 삶의 질 및 연주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ilates reformer exercise on neck pain-related marker, quality of lif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in violin players 정소연, 이신영, 이선경 p. 459-466
심폐소생술 시 일개 치위생과 재학생의 성향, 수행자신감, 수행불안 및 수행스트레스가 가슴압박 깊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disposition, performance confidence, performance anxiety and performance stress to depth of chest compression during CPR in dental hygiene students 김명은, 김희경, 이명열 p. 247-253
노인의 악력, 우울, 주관적기억감퇴 및 뇌파의 인지감퇴 지표와의 관계 = Relations between grip strength, depression and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of the elderly and cognitive decline indicators of electroencephalogram 심준영 p. 255-261

청소년의 건강체력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특성과 신체적 자기개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fitness-oriented potential profil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self-concept facto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김은성, 신민혜 p. 451-457
청소년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련지속 의도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youth Taekwondo training, physical self-efficacy, and training continuance intention 장원용 p. 263-268
승마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자기효능감 및 여가이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orse-riding club members on achievement goal tendency, self-efficacy, and leisure benefits 김동건 p. 269-275
카이로프랙틱 처치가 인라인스케이트 선수들의 고관절 가동범위와 기록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ropractic treatment on inline skate player's hip joint range of motion and record improvement 이봉규, 정한석, 함주현, 한승혜 p. 443-450
Epidemiology and outcomes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mong the elderly = 병원전 노인 심정지 환자의 역학적 특성과 생존 결과 Park, Sang-Kyu, Uhm, Tai-Hwan p. 437-441
가구유형별 성인의 행복감 비교 : Comparison of happiness in the adults by household types : analysis of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2019) /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분석(2019) 신미아 p. 277-284
축구선수 부상 예방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 = Application of wearable device to prevent injuries for football players 서용석, 강지훈, 김영석 p. 431-436
미술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상담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rt therapy group program on counselor's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이진아, 오은주 p. 285-293
체중부하 서킷운동이 비만 아동의 렙틴 및 스트레스 호르몬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weight load circuit exercise on leptin and stress hormones in obese children 장용우, 안요한 p. 425-430
Cajori 5단계 상대평가를 통한 대학 운동선수들의 Y-Balance Test 기준개발 = Development of the Y-balance test criteria for university athletes through the Cajori 5-step relative evaluation 양명주 p. 419-424
생활체육 참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운동몰입 및 심리적행복감의 관계에 대한 탐구 =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port commitment, psychological happiness on participants of sports for all 이정우, 이지항, 오성민 p. 295-304
초등학생의 줄넘기 수행능력과 신체구성, 무릎 및 허리부위 근기능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umping rope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muscular function of knees and lumbar regions 전용균, 강익원 p. 411-417
긍정적 심상의 속성이 해석편향과 사회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ositive image properties on the reduction of interpretation bias and social anxiety 김민혜, 윤혜영 p. 305-313
8주간의 수중운동이 유방암 환자의 어깨관절가동범위, 통증역치 및 어깨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8 weeks of aquatic exercise on range of motion of shoulder joint, pain threshold and shoulder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강양훈, 서연순, 송인영 p. 405-410
종목별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신체안정화운동 중재 후 Y-Balance에 의한 유연성과 평형성 평가 비교 = Comparison of flexibility and balance evaluation by Y-balance after body stability exercise intervention in high school sports athletes 윤종혁, 강양훈, 김철승 p. 397-403
청소년 엘리트 레슬링 선수의 성취목표와 완벽주의성향이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and perfectionism orientation on burnout of youth elite wrestler athletes 정진성, 이석준, 김원재 p. 315-322
트레드밀용 하네스 착용이 심폐기능과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earing a treadmill harness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lactate 조원제, 최치선 p. 391-396
취업 상담사 관점에서 본 초기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불안 = Job-seeking anxie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entry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counselors 박현정 p. 323-331
비만 유·무에 따른 저항성운동이 일시적, 장기적 Irisin 및 Myonect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according to obesity on acute and long-term irisin and myonectin expression 최재일, 신정엽 p. 385-390

목단의 전처리가 피부 항노화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pre-treatment of Paeonia suffruticosa on skin anti-aging 김정기, 명길선, 백지훈 p. 333-339
대학축구선수의 부위별 근력수준과 슈팅스피드 및 정확도와의 관계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sokinetic contraction level, shooting speed and accuracy of college soccer players 강익원 p. 377-383
아제라늄을 함유한 기능성 팬츠의 착용이 성인 남성의 혈행 동태 및 생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earing functional pants with ageranium on hemodynamic and fertility in adult men 이선아, 이호성 p. 341-349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훈련이 여자 청소년 치어리딩 선수들의 견관절 근력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NPE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training on shoulder joint strength and range of motion in female adolescent cheerleading athletes 공민희, 윤소미, 김기정 p. 371-376
중강도 유산소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비만지표와 뇌 활성 및 항 스트레스 지수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moderate-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obesity index, brain activity, and anti-stress index in middle-aged women 이승범, 윤성준 p. 351-35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후 중년남성의 복부비만 개선을 위한 비침습적 캐비테이션 초음파에 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non-invasive cavitation ultrasound to improve abdominal obesity in middle-aged men after coronavirus infection 김현지, 권기한 p. 365-370
Effects of a band training intervention on dementia factors of Alzheimer's disease, cognitive functions, an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among elderly women with suspected mild dementia = 밴드 트레이닝 중재가 경증치매 의심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형 치매관련인자와 인지기능 및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 Hyang-Beum, Lee, Tae-Sang, Kim p. 357-3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