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雙淸堂題詠』에 수록된 詩文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문인들의 공간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우선 대상 공간인 쌍청당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누정 주인 송유와 쌍청당의 건립에 관해 검토한 후, 주요 텍스트인 『쌍청당제영』의 구성을 살폈다. 이때 누정 주인 송유와 수록 작가와의 관계를 밝혀 작품이 창착된 배경을 탐색하였다. 이어 쌍청당 시문에 나타난 형상화 양상 및 공간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선 시대 문인들이 제작한 쌍청당시문의 내용은 크게 도학적 관물인식의 발현, 전원생활의 흥취, 선조의 덕행을 계승하고 가문을 선양하는 것으로 나눠볼 수 있다. 또한 쌍청당 시문의 이러한 내용적 특징은 쌍청당을 인격수양 및 隱居의 공간, 接賓의 공간, 가문 결집의 공간으로 인식한 문인들의 사유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 가운데 특히 인격 수양 및 은거의 공간으로써의 이미지를 형상화 한 작품이 전체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당호에서 표방한 바람과 물[雙淸]의 맑음을 본받아서 심성을 수양하고자 하는 도학적 관물인식에서 비롯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곧 쌍청당 시문의 공간 인식 및 그 형상화 양상은 대체로 누정 주인과 당호의 합일 관계를 읊는 전통 및 당호에 제시된 뜻을 밝혀 심성을 도야하고자하는 도학적 관물의식과 연관되어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평서문과 의문문의 음성적 차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onetic differences of Korean sentence types : ‘-어’ 종결형 문장을 중심으로 김민지 p. 5-27

충남 태안지역의 복수지명 연구 = A study on the plural placenames of Taean-gun, Chungcheongnam-do 성희제 p. 29-83

<심청전> 이본에 나타난 '심청 사몽'의 변모 양상과 의미 = The transformation aspect and the meaning of 'Shimcheong's dead dream' appeared in a different version of <Shimcheongjeon> 경일남 p. 85-107

이화영의 가사 작품 실상과 현대적 가치 = The reality and modern value of Lee Hwa-Young's lyric verse 김기영 p. 109-134

안락국태자전승의 서사 계통과 장르적 변용 = A study on change of genre and genealogy of narration in the tradition of Anrackooktaeja 김진영 p. 135-163

『雙淸堂題詠』에 나타난 공간 인식 = Spatial awareness appearing in 『Ssangcheongdangjeyoung』 조정윤 p. 165-194

고원 시의 정치성과 문학적 감각 = The political and literary sense of Go Won's poetry 이형권 p. 195-222

편혜영 소설의 현실성과 비현실성 : A study on the reality and unreality of Pyun Hye-young's novels : focusing on 《Aoi Garden》 / 『아오이가든』을 중심으로 홍혜원 p. 223-252

시-노래 <향수>를 활용한 한국어 음운 변동 교수·학습 방안 = Teaching method of Korean phonological alternation utilizing the Poem-song 윤정기 p. 253-279

AI 시대의 리터러시 특성에 관한 연구 : Literacy in the AI era : focusing on AI literacy and relationship literacy / AI 리터러시와 관계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이유미 p. 281-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