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雙淸堂題詠』에 수록된 詩文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문인들의 공간인식을 고찰한 것이다.
우선 대상 공간인 쌍청당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누정 주인 송유와 쌍청당의 건립에 관해 검토한 후, 주요 텍스트인 『쌍청당제영』의 구성을 살폈다. 이때 누정 주인 송유와 수록 작가와의 관계를 밝혀 작품이 창착된 배경을 탐색하였다. 이어 쌍청당 시문에 나타난 형상화 양상 및 공간인식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선 시대 문인들이 제작한 쌍청당시문의 내용은 크게 도학적 관물인식의 발현, 전원생활의 흥취, 선조의 덕행을 계승하고 가문을 선양하는 것으로 나눠볼 수 있다. 또한 쌍청당 시문의 이러한 내용적 특징은 쌍청당을 인격수양 및 隱居의 공간, 接賓의 공간, 가문 결집의 공간으로 인식한 문인들의 사유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이 가운데 특히 인격 수양 및 은거의 공간으로써의 이미지를 형상화 한 작품이 전체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당호에서 표방한 바람과 물[雙淸]의 맑음을 본받아서 심성을 수양하고자 하는 도학적 관물인식에서 비롯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곧 쌍청당 시문의 공간 인식 및 그 형상화 양상은 대체로 누정 주인과 당호의 합일 관계를 읊는 전통 및 당호에 제시된 뜻을 밝혀 심성을 도야하고자하는 도학적 관물의식과 연관되어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