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본 연구는 체육계열 전공 여학생의 진로 선택 및 취업 과정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체육계열 전공 여학생의진로준비행동을 지원하고, 대학의 진로교육프로그램에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체육관련 직종에서 3~7년 이상의 업무 경험을가지고 있는 여성 5명을 선정하였다. 내러티브를 통해 도출된 체육계열 전공 여학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시간적 차원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 검증법(triangulation), 동료 간 협의(peer debriefing), 구성원 간 검토(member check)를 실시하였다.

결과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대학진학하기(대학 가야하는 곳, 중요한 타인, 전공과 적성), 대학생활하기(이론교육, 실기교육: 현장과의 괴리감, 잔재되어 있는 체대 문화), 진로 및 취업하기(휴학: 방황⋅진로탐색의 시간, 현장실습: 무엇이든 해보기, 진로장벽: 진입좁은 문으로 들어가기), 성장하기(취업: 나의 노력-타인과의 관계, 직업만족-목표변화: 아직도 나아가는 길, 대학의 진로교육 문제점, 후배들의 진로 및 취업준비)로 도출되었다.

결론 진로선택 및 취업이 어려운 체육계열 전공 여학생을 위해 대학 차원에서의 실제적인 진로 및 취업지도 프로그램과 취업의 질관리가 요구되며, 미래여성스포츠전문가를 위한 정책적 방안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사의 감사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비의 매개효과 연구 =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work stress of preschool teachers 박선혜, 민희정 p. 1-22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 Differences in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between clusters of reading environments at home 최나야, 노보람, 최지수, 오태성 p. 23-37
2015개정교육과정 6학년 영어 교과서 과업 분석 = A task analysis of the 2015 sixth grade English textbook 김지원, 김정렬 p. 39-50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llege life adjustment 성소연, 김은영 p. 51-66
취학 전 자녀를 둔 기혼간호사의 양육효능감과 남편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arenting efficacy and husband's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married nurse with pre-school children 김효연, 노윤구 p. 67-76
ARCS모델 기반 아동간호학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pediatric nursing online class based on the ARCS model 김진영, 김주리 p. 77-87
어린이공원 관련 연구 동향 고찰 : A study on research trends children's parks : from 2001 to 2020 /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류수진 p. 89-103
예 만들기 활동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추상화 및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thematical abstraction and communi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generate their own mathematical examples in the classroom : focused on the 5th grade geometry / 5학년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민샬롬, 김민경 p. 105-127
COVID-19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심리적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leadership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이종란, 황인주 p. 129-139
코로나19 이후 4학년 간호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경험 = The experience of get a job stress on nursing student four grade during COVID-19 김상남, 김현영 p. 141-152
소설 감상문 쓰기 교육 연구 : Study of education of writing a novel report : focused on Lee Seung-Woo's short story, The Knife / 이승우의 단편소설 <칼>을 중심으로 박선영 p. 1053-1074
역량 중심 교육으로서의 율곡의 교육사상 연구 : A study on Yulgok's educational ideology as a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 through comparison with learner-centered education / 학습자중심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김병국 p. 653-676
부모의 창의효능감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하여 유아의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s' creative self-efficacy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by mediating creative home environment 최형윤, 이경화, 배희라, 김해리 p. 153-163

플립드러닝 운영 교수자의 경험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running in flipped learning 장연주 p. 165-182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university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components 권영애, 이효숙 p. 183-192
교환형 문제 만들기 주고받기를 적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to the class applying exchangeable problem making and exchange activities 안종수 p. 193-212
엔지니어링 디자인 접목 과학 수업을 통한 창의역량의 신장 :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through science class with engineering design :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cognition /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이정하, 김미숙, 유선아 p. 213-230
협력 학습적 미술과 디자인을 활용한 유아 STEAM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children STEAM program utilizing collaborative learning art and design 송영, 김정희, 김정열, 김민송 p. 231-250
미래 미술교육을 위한 첨단매체 활용방안 탐구 : Exploring the use of high-tech media for future art education : focusing on 360-degree cameras and VR (tilt brush) / 360도 카메라와 VR(틸트 브러쉬/Tilt Brush)를 중심으로 이지연 p. 251-265
서클 프로세스와 비폭력대화에 기초한 '소통 중심 평화⋅통일교육' = A study on 'communication-centered peace-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circle process and nonviolent communication 안지영 p. 267-285

고등학교 교양 심리학 수업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high school psychology class operated by online interschool program /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은정, 이주 p. 287-304
장애 영⋅유아 음악 활동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usic activity for disabled infants and toddlers 정대현, 김선혜 p. 305-319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integrated arts group program for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using gestalt therapy / 게슈탈트 기법을 활용하여 현의숙, 황혜정 p. 321-339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xperience adults and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on of spirituality and forgiveness / 영성 및 용서의 매개효과 김송이, 이수경 p. 341-355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탐색 = Exploring data literacy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big data 문명희 p. 357-372
영아의 사회-의사소통 능력이 영아-부모 및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study of effect of child's social-communic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parent and child-teacher 김선미, 김영실, 최진숙 p. 373-387
미혼모의 임신 기간 중 심리사회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psycho-social experiences of unmarried single mothers in their pregnant period 고은애, 김혜정 p. 389-404
블렌디드 러닝 교수 역량에 대한 대학교수의 인식변화 및 교육요구도 분석 = Teaching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f blended learning : an analysis of professors' perspectives 장선영, 이지안 p. 405-419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의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 A survey of perceptions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basic education for in-company trainer of Korean apprenticeship 장신철, 조한진 p. 421-443
유아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 Preliminary study of development fo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scale 유수정, 이경화 p. 445-462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self-growth on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최경화, 김희수 p. 463-475
강의식 대형강좌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및 특징 분석 = An analysis on motiv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in a large-scale lecture 박효진, 주현정 p. 477-491

성인학습자를 위한 Online Collaborative Tool을 활용한 자서전쓰기 지도 사례 = Study of autobiography using the online collaborative tools for adult learners 하정혜, 유정록, 배홍연 p. 493-512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학습몰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learning flow : the mediating effects of regulatory focus /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이승태, 장유진 p. 513-529
코로나 19에 따른 비대면 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 Focus group interview on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due to COVID-19 송은화, 김명찬, 임선미 p. 531-549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강진 p. 551-565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교과서 구성 방안 탐색 :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extbooks with the big idea of curriculum : focusing on the content analysis of American science textbooks / 미국 과학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박수련 p. 567-581
대학 신입생 대상 온라인 동료 튜터링에 참여한 튜티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online synchronous peer tutoring for freshmen at university : from the perspective of tutees 박가영, 이정민 p. 583-605
대학생의 핵심역량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 efficacy on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윤지원, 최천근 p. 607-621
계획된 우연 기술 촉진 과정 탐구 :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facilitation process : a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processing of ex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ttribution style / 대학생의 진로장벽에 대한 인지적 처리를 중심으로 이은정, 김보영 p. 623-633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대한 수요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An analysis of Consumer's perception and needs for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daycare centers 홍성희, 채혜경, 김선형 p. 635-652
제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Martin Buber's philosophy of encounter / Martin Buber의 만남의 철학 관점에서 강경리 p. 677-692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반영 및 제시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reflecting and presenting competency in the national curriculum pursu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based on the example of the Finnish national curriculum / 핀란드 교육과정의 사례를 바탕으로 김선영 p. 693-713
코로나(COVID-19) 상황에서 대학생활적응, 학업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nd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of college women in the COVID-19 pandemic 홍세훈 p. 715-723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studi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박민지, 김수임 p. 725-742
유아교사 놀이지원역량 영역 및 지표 구성에 관한 탐색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struct of areas and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 focusing on the content validity using Delphi method /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내용타당도를 중심으로 김화록, 김보현, 구광현 p. 743-760
멘토링 기반 진로효능감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발달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장단기 효과 = The long and short-term effects of mentoring-based career efficacy enhancement program on career development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정영미, 유인영 p. 761-775

명상을 적용한 인지행동치료 : A single-case stud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application of meditation for depression and anxiety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 우울과 불안을 호소하는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단일사례연구 최서영, 송영숙 p. 777-794
융합교육 중심 창의성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reativity program focused on convergence education o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김효원, 이선경 p. 795-808
시간 관리를 활용한 대학의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s online learning support program using time management : focusing on the university's bachelor of science warning program / A대학 학사경고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경민 p. 809-823
학원의 교육문화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A cultural and descriptive study on the educational culture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 focusing o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중⋅고등학생 학원을 중심으로 정은경 p. 825-844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유아의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모분노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 a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conflict and infant's depression·anxiety 강선모, 조리경 p. 845-858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 영향요인 : Mediating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focused on relative deprivation,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 상대적 박탈감,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김미정, 김문옥 p. 859-871
확률 단원에서 토의⋅토론식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및 정의적 영역의 효과성 연구 = The effectiveness studie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classes in the probability unit 안종수 p. 873-890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 Exploring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d by a teacher in the kindergarten field 박선우, 오채선 p. 891-918
체육계열 졸업 여학생의 진로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about the career choice experiences of female students graduated from physical education majors 김수연 p. 919-938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 유아교사 경험의 의미 = Understan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focusing on the 'teacher agenc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조은지, 이경진 p. 939-956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cooperation of adolesc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연희, 정혜원 p. 957-967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 및 미술교사의 미술교육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trengthen the art education competencies of nursery teachers and art teacher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이성화, 김경숙 p. 969-997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정가(正歌) 관련 내용 분석 및 문제점 고찰 =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and problem consideration of Jeongga in music textbooks 오지연 p. 999-1015
유아의 신체활동역량이 놀이성, 또래유능성 및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capacity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peer competence, and learning behavior 이미경, 부성숙 p. 1017-1032
유아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행복의 구조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esteem, resilienc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happiness 조윤희 p. 1033-1051
선박 기관실 시뮬레이션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 방식에 따른 피드백 수용성, 피드백 활용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차이 = Differences in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instructor's feedback provision method in engine room simulation 배철오, 최현준, 김누리 p. 1075-1086
학교문화예술교육 측면에서의 국악교수 전문성 개념 및 구성요소 탐색 = Exploration on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components : from the perspectiv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김민지 p. 1087-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