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소비자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SNS 광고 소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생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consumer's consumption experiences of SNS advertising based on consumer narrative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김봉현 ; 조수선 1
목차 1
국문초록 1
I. 연구 배경 및 목적 2
II. 이론적 논의 4
III. 연구 방법 7
1. 데이터 수집 방법과 절차 8
2. 데이터 분석 과정 9
IV. 연구 결과 9
1. 광고 수용관련 주제 : 양면의 복합적 감정과 인식 10
2. 광고의 의미관련 주제 : 일상적 삶의 맥락과 연결된 광고 소비 13
3. 광고의 용도 : 정보적 활용에서 사회적 활용으로 15
4. 총체적 경험으로서의 광고 : 통합의 공간, 노출부터 구매까지 16
5. 프라이버시 관련 주제 : 맞춤광고의 양날의 칼 18
IV. 결론 및 시사점 20
참고문헌 24
Abstract 28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핵심 이용 층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SNS 광고 이용 및 소비 경험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질적으로 해석하고 광고 소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소비자의 내러티브 사례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광고 소비경험의내용들을 구성하는 일련의 유형 혹은 주제(theme)들이 존재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주된 초점을맞추고 있다.
소비자 내러티브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 소비자들은 자신의 하루가 SNS로 시작해 SNS 로 마무리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소셜미디어 이용이 개개인 일상의 한 부분으로 확고히 자리하고 있었으며, SNS 광고 및 광고 콘텐츠의 소비 과정에서 광고에 대한 양면적이면서도 때로는 매우 상반되는 복합적인 인식과 감정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귀납적 주제 분석 방법을 적용해본 결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주제 즉, ① 광고 수용관련 주제, ② 광고 의미관련 주제, ③ 광고의 용도, ④ 총체적 경험으로서의 광고, ⑤ 프라이버시 관련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을 통한 SNS의 이용이 일상 그 자체가 된 상황에서 대학생들은 광고 및 광고 콘텐츠 소비의 의미는 개인의 일상과 맞물려 사회생활 맥락 내의 체험으로서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광고의 소비경험 역시 삶의 일상 속에서 개인적 차원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연관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