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양반 여성이 결혼생활을 통해 가정에서 수행한 일의 내역과 범주를 노동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하고, 시부모와 남편 봉양, 간병, 상장례와 제사 등, 효와 윤리의 관점에서 담론화되었으나, 사실상 종을 통해 (부분적으로) 대체-가능했던 여성의 ‘일’을 ‘노동 없는 노동(노동으로 간주되지 않은 일종의 그림자 노동)’으로 간주하고, 해당 내역을 재성찰했다.

이를 통해, 효와 내조, 부덕으로 명명되던 윤리적 규범이나 직분으로 강조된 의무가 사실상 여성 노동을 품성/인성으로 전치시키는 언설 구조를 형성해, 양반 여성에게 정성ㆍ공경ㆍ진정을 요청하는 ‘영혼 노동’을 자연화했고, 여성이 결혼생활에서 수행한 실질적인 노동의 어려움과 고통을 윤리적 언어와 자기 수양, 인격성의 문제로 전치시키는 문화를 파생시켰음을 해명했다.

여성은 가내 노동을 통해 질문 없는 수행, 학습 없는 숙련, 과정 없는 결과라는 3중의 부담을 감당했다. 이는 효 또는 내조의 언어로 포용되었으며, 여기에 수반된 노동에는 감정 노동의 수준을 넘어선 ‘진정성 노동’이자 ‘영혼 노동’이 필수적으로 전제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양반 여성에게 암묵적으로 요구된 노동에 드리워진 ‘그림자’의 실상을 해명하고, 여훈, 내훈, 규훈서 등이 여성의 활동이나 수행성의 내용에 대한 판단을 태도, 인성으로 흡수하여 명분 있게 정당화하는 논리를 해명했다. 이를 통해 여성 노동의 실상을 재사유하는 인식적 전환의 계기를 제안하고자 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와 불어 상호 번역과 관계된 사유패턴의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 of thinking in the Far East and the Europe revealed by analyzing translations between the Korean and French : with regard to Yin-Yang and the trigrams of Sasang / 사상(四象) 이획괘의 비교언어학 오정민 p. 367-400

女工·婦德·梱政과 '영혼 노동' : Women's skill·virtue·household management and soul labor : refletive resrarch on the marriage life and labor/field of Yangban women in Chǒson era / 조선시대 양반 여성의 결혼생활과 노동/장 재성찰 최기숙 p. 297-331

"조선문학이란 무엇이냐" : "What is Korean literature?" : the literati's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and formation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 해방기 문학자들의 '국어' 인식과 '조선문학'의 형성 임세화 p. 257-295

Morphemes of Pureuda in Korean complex nouns : traits and motivations of grue in use Lim, Dhonghui, Kwon, Yeonjin p. 207-256

플립드 러닝에 기초한 온라인 중국어 독해 수업을 위한 제언 = Recommendation for online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김세미 p. 137-171

(A) study on the content analysis capabilities of voyant tools : targeting the letters of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y W. Junkin Goo, Jiyeon p. 107-136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서 종교철학의 역할 : The role of philosophy of religion in the research of digital humanities : through the experience of building a digital archive of protestant missionary letters from Korea(1880-1942) / "내한 선교사 편지(1880-1942)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경험을 통하여 김종우 p. 79-105

미 국무부재외공관문서 소장 선교사 편지 고찰 : A study on a missionary's letter in the 'records of the foreign service posts of the department of state' : focusing on a letter sent from Haeju in 1903 / 1903년 해주에서 보낸 편지를 중심으로 윤현숙 p. 41-78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사례 연구 : Teaching digital humanities : a case study of a Korean church history course / 초기 내한 선교사 사료 수업과 연계하여 한미경 p. 7-39

'민족 개념'의 정형화와 '다언어=탈배제성'의 문제 : The standardization of the 'national concept' and the problem of 'multilingual = exclusivity' : focus on Kautsky, Renner, Bauer and Stalin / 카우츠키, 레너, 바우어, 스탈린을 중심으로 전성곤 p. 333-366

損窩 崔錫恒의 卽興詩 연구 : A study on the impromptu poems of Sonwa (損窩) Choi, Seok-Hang (崔錫恒) : focused on Guho(口號)" type poems / '口號'류를 중심으로 김효정 p. 173-206